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search areas and trends of reading (reading instruction) abroad in the respect of LI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First, I reviewed the controlled keywords in SU field of LISTA database and the entries of DDC 23, and identified the research areas of reading and reading instruction in overseas. Second, I analysed the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by applying a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on 2,115 research articles (1914~2014) retrieved from a representative database in the area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TA).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I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tasks of this field in the domai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김선호. (2011). 문헌정보학 분야의 신체장애 및 독서치료 관련 연구 동향. 사회과학연구, 22(1), 133-150.
김판준. (2011). 저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독서 연구 영역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21-44.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95.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1.265.
김판준. (2012).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전자기록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29-50.
김판준. (2007). 연구 영역 분석을 위한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4), 285-303.
마이클 매케나. (2011). 미국 문식성 교육의 현황과 문제들: 모든 것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어떤 힘에도 움직이지 않는 대상을 만났을 때. 독서교육연구, 7, 5-25.
문화체육관광부. (2014).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
박인기. (2006). 독서 진흥을 위한 환경과 독서정책. 독서연구, (16), 333-356.
변회균. (2013). 키워드 프로파일링을 통한 분야별 국내독서 연구방향 분석. 한국독서교육학회지, 1(1), 51-66.
오용순. (2012). 독서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이명희. (2011). 독서치료 연구동향 :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이순영. (2011).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국내외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 10, 311-340.
이순영. (2012). 21세기의 독서와 독서교육. 새국어생활, 22(4), 37-47.
이인제. (2013). 소통, 화합, 문화 융성의 핵심 역량으로서 독서 능력 향상 정책의 방향. 청람어문교육, (48), 225-288.
이재윤. (2013). tnet과 WNET의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241-26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41.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인형숙. (2008). 어린이를 위한 독서치료연구의 국내 동향분석 : 2001년-2007년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장령령. (2014).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95-318.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1.295.
정수연. (2011). 초등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 관련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2003-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317-333.
조근영. (2012). 독서치료분야의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2000년∼2010년 중심으로.
조부근. (2008). 독서진흥정책과 출판계 동향. 독서문화연구, 7, 1-27.
최인자. (2013).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 방향. 독서연구, (30), 261-286.
최태산. (2006). 국내 독서치료 연구 동향 : 독서치료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1988~2005). 한국놀이치료학회지, 9(1), 17-31.
한복희. (2007). 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201-215.
허재영. (2005). 국어과에서의 독서교육 발달 과정 연구: 근대계몽기에서 건국기까지. 정신문화연구, 28(3), 61-98.
황금숙. (2005).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117-130.
황금숙. (2005). 외국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305-320.
Alexander, P. A.. (2004).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European Commission. (2012). For 1 in 5 Europeans, The world is hard to read (EU High Level Group of Experts on Literacy, Final Report, September 2012). http://www.grundtvig.org.pl/sites/grundtvig.org.pl/files/page/2011/12/literacy_summary_en_bd.pdf.
Fitzgerald, J.. (2005). ENGLISH-AS-A-SECOND-LANGUAGE READING I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A RESEARCH REVIEW.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7(2), 115-152.
Moore, D. W.. (1999). Adolescent literacy: A position statement for the commission on adolescent literacy of the 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
Karetzky, S.. (1982). Reading research and librarianship: A history and analysis:Greenwood Press.
Kamil, M. L.. (2000). Handbook of reading research:Lawrence Erlbaum Associates.
Sears, L. A.. A short history of united states’ reading research and instruction: 1900 to 2006. http://www.historyliteracy.org/download/Sears1.pdf.
Stahl, S. A.. (2006). Reading Research at Work: Foundations of Effective Practice:Guilford Press.
Summers, E. G.. (2007). A review and application of citation analysis methodology to reading research journal literature. JASIST, 35(6), 332-343. http://dx.doi.org/10.1002/asi.463035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