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국외 독서 및 독서교육 연구동향 분석: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ading and Reading Instruction in Overseas: Focused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3, pp.69-97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069
김판준 (신라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측면에서 국외 독서 및 독서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데이터베이스(LISTA)의 통제 키워드와 DDC 23판을 검토하여 독서 및 독서교육 관련 주요 연구 영역을 설정하였다. 둘째, 문헌정보학 분야 국외 데이터베이스(LISTA)에서 검색한 지난 100년(1914년~2014년) 동안의 독서 및 독서교육 관련 학술논문(2,115편)을 대상으로 지적구조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이러한 연구동향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독서 및 독서교육 분야의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국외, 독서, 독서교육, 연구동향, 지적구조 분석, 연구과제, reading, reading instruction, research trends,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research task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search areas and trends of reading (reading instruction) abroad in the respect of LIS, and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First, I reviewed the controlled keywords in SU field of LISTA database and the entries of DDC 23, and identified the research areas of reading and reading instruction in overseas. Second, I analysed the research trends of this field by applying a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on 2,115 research articles (1914~2014) retrieved from a representative database in the area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TA).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I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tasks of this field in the domai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eywords
국외, 독서, 독서교육, 연구동향, 지적구조 분석, 연구과제, reading, reading instruction, research trends,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research tasks

참고문헌

1.

김선호. (2011). 문헌정보학 분야의 신체장애 및 독서치료 관련 연구 동향. 사회과학연구, 22(1), 133-150.

2.

김판준. (2011). 저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독서 연구 영역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 21-44.

3.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95.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1.265.

4.

김판준. (2012).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국내 전자기록 분야 지적구조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29-50.

5.

김판준. (2007). 연구 영역 분석을 위한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4), 285-303.

6.

마이클 매케나. (2011). 미국 문식성 교육의 현황과 문제들: 모든 것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어떤 힘에도 움직이지 않는 대상을 만났을 때. 독서교육연구, 7, 5-25.

7.

문화체육관광부. (2014).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

8.

박인기. (2006). 독서 진흥을 위한 환경과 독서정책. 독서연구, (16), 333-356.

9.

변회균. (2013). 키워드 프로파일링을 통한 분야별 국내독서 연구방향 분석. 한국독서교육학회지, 1(1), 51-66.

10.

오용순. (2012). 독서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11.

이명희. (2011). 독서치료 연구동향 :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12.

이순영. (2011).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국내외 2005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 10, 311-340.

13.

이순영. (2012). 21세기의 독서와 독서교육. 새국어생활, 22(4), 37-47.

14.

이인제. (2013). 소통, 화합, 문화 융성의 핵심 역량으로서 독서 능력 향상 정책의 방향. 청람어문교육, (48), 225-288.

15.

이재윤. (2013). tnet과 WNET의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241-26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41.

16.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17.

인형숙. (2008). 어린이를 위한 독서치료연구의 국내 동향분석 : 2001년-2007년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18.

장령령. (2014).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295-318.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1.295.

19.

정수연. (2011). 초등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 관련 학위논문의 동향 분석: 2003-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317-333.

20.

조근영. (2012). 독서치료분야의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2000년∼2010년 중심으로.

21.

조부근. (2008). 독서진흥정책과 출판계 동향. 독서문화연구, 7, 1-27.

22.

최인자. (2013).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 방향. 독서연구, (30), 261-286.

23.

최태산. (2006). 국내 독서치료 연구 동향 : 독서치료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1988~2005). 한국놀이치료학회지, 9(1), 17-31.

24.

한복희. (2007). 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201-215.

25.

허재영. (2005). 국어과에서의 독서교육 발달 과정 연구: 근대계몽기에서 건국기까지. 정신문화연구, 28(3), 61-98.

26.

황금숙. (2005).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117-130.

27.

황금숙. (2005). 외국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305-320.

28.

Alexander, P. A.. (2004).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9.

European Commission. (2012). For 1 in 5 Europeans, The world is hard to read (EU High Level Group of Experts on Literacy, Final Report, September 2012). http://www.grundtvig.org.pl/sites/grundtvig.org.pl/files/page/2011/12/literacy_summary_en_bd.pdf.

30.

Fitzgerald, J.. (2005). ENGLISH-AS-A-SECOND-LANGUAGE READING I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A RESEARCH REVIEW. Journal of Reading Behavior, 27(2), 115-152.

31.

Moore, D. W.. (1999). Adolescent literacy: A position statement for the commission on adolescent literacy of the 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

32.

Karetzky, S.. (1982). Reading research and librarianship: A history and analysis:Greenwood Press.

33.

Kamil, M. L.. (2000). Handbook of reading research:Lawrence Erlbaum Associates.

34.

Sears, L. A.. A short history of united states’ reading research and instruction: 1900 to 2006. http://www.historyliteracy.org/download/Sears1.pdf.

35.

Stahl, S. A.. (2006). Reading Research at Work: Foundations of Effective Practice:Guilford Press.

36.

Summers, E. G.. (2007). A review and application of citation analysis methodology to reading research journal literature. JASIST, 35(6), 332-343. http://dx.doi.org/10.1002/asi.4630350605..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