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소비자 공감모듈에 기반을 둔 소비자 접점관리

Consumer Interface Management based on Consumer Sympathy Module

초록

이 연구는 소비자접점에서 소비자 공감모듈에 기반을 두고 효과적인 고객응대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실행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48명의 대학병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처리방식과 조절초점에 기초하여 공감모듈집단을 이성적 공감모듈집단과 감성적 공감모듈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공감모듈집단 이외에 통제집단을 포함하여 공감모듈집단의 특성에 따른 심리맞춤식 환자응대방식을 취한 다음에, 환자의 의료서비스 인식정도와 행복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은 먼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적일관성 계수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은 분산분석(ANOVA)과 Scheffe검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소비자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은 소비자공감모듈을 고려하지 않은 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보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정도가 더 호의적일 것이다.”라는 가설 Ⅰ과 “소비자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은 소비자공감모듈을 고려하지 않은 응대방식을 접한 사람들보다 행복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Ⅱ가 모두 지지되었다. 가설 Ⅰ을 지지하면서, 환자의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 Ⅱ를 지지하면서, 환자의 공감모듈에 적합한 환자응대방식을 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환자행복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신뢰 및 행복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접점에서 소비자를 공감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소비자의 공감모듈에 적합한 심리맞춤 서비스라는 고객응대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Consumer Interface Management, Consumer Sympathy Module, Medical Service Awareness, Consumer Happiness, 소비자 접점관리, 소비자 공감모듈, 의료서비스인식, 소비자행복

Abstract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that was performed to examine action plan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consumer encounter strategy based on consumer sympathy modules. In this experiment, 48 patients in university hospital were divided into rational sympathy module group and emotional sympathy module group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and regulatory focus. Psychological matching patient encounter method that is fit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sympathy module groups and a control group was taken place, and it was examined how much favorableness and happiness toward medical service were changed afterward.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used, data was analyzed with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for hypothese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Hypothesis Ⅰ(patients who were corresponded with a proper consumer sympathy module have more favorable medical service awareness than those who were not.) and Hypothesis Ⅱ(patients who were corresponded with a proper consumer sympathy module are higher patient happiness than those who were not.) were both supported. Patients who received a patient care method suited for sympathy module showed more favorableness in medical satisfaction and medical trust than patients who didn’t, supporting Hypothesis Ⅰ. Furthermore, patients who received a patient care suited for sympathy module showed higher patient happiness scale than the patients who did not, supporting Hypothesis Ⅱ, These findings showed that it is important to sympathize with consumers so as to increase consumer’s satisfaction, trust and happiness to medical service, and it points out that a customer encounter strategy which is psychological matching service suitable to consumer’s sympathy module is necessary.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keywords
Consumer Interface Management, Consumer Sympathy Module, Medical Service Awareness, Consumer Happiness

참고문헌

1.

권기대, 김승호 (2000). 이동통신서비스산업의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상품력과 관여도의 선행효과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3(2), 29-47.

2.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3.

김상희 (2007).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감정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정서감염현상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8(1), 97-131.

4.

김성수, 김문홍 (2011).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14(4), 151-185.

5.

김은주, 김정일, 우훈식, 남승규 (2012). 소비자공감과 메시지 전략.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3(4), 729-750

6.

김항중, 남승규 (2013). 메시지 전략과 메시지다양성. 대전대학교 사회과학논문집, 31(2), 59-76.

7.

남승규 (2009). 소비자분석. 서울: 학지사.

8.

남승규 (2010). 소비자 공감에 대한 이론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1(4), 619-636.

9.

남승규 (2012a). 소비자 공감과 소비자 행복. 한국소비자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5-30.

10.

남승규 (2012b). 소비자행복 척도의 개발 및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3(3), 403-420.

11.

남승규, 우훈식, 조충식, 김영일 (2012). 의료서비스인식에 대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대전대학교 사회과학논문집, 31(1), 93-107.

12.

윤성욱, 유명길, 서미옥 (2011). 판매원 언어적메시지의 측면성 효과: 설득지식과 쇼핑목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2(3), 297-316.

13.

이성림, 손상희, 박미혜, 정주원, 천경희 (2011). 소비생활에서의 행복과 갈등. 소비자학연구, 22(1), 139-166.

14.

이석규, 정용재, 차태훈 (2009). 고객가치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고객유지율과 Take-Off 시점의 영향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0(4), 287-304.

15.

이유재 (2009). 서비스마케팅, 4판. 서울: 학현사.

16.

제러미 리프킨 (2010). 공감의 시대. 서울: 민음사. 이경남 역.

17.

조영석, 황장선 (2011). 제품광고의 사회적 메시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감정이입과 조절적 동기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1), 149-168.

18.

최명일, 김찬아, 유재웅 (2011). AHP를 이용한병원선택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병원마케팅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89, 155-176.

19.

한성희 (2011). 스마트폰의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2(3), 233-260.

20.

Barsky, J. D. (1998). World-class customer satisfaction. Irwin McGraw-Hill.

21.

Cesario, J., Grant, H., & Higgins, E. T. (2004). Regulatory fit and persuasion: Transfer from “feeling righ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3), 388-404.

22.

Covey, S. M. R. (2006). The speed of trust. CoveyLink, LLC

23.

Eagly, A. H. & Chaiken, S. (1993). The psychology of attitudes. Orlando: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24.

Escalas, J., & Stern, B. (2003). Sympathy and empathy: Emotional responses to advertising drama.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 566-578.

25.

Forsyth, R. (2001). Six major impediments to change and how to overcome them in CRM. CRM-Forum.

26.

Freitas, A. L., & Higgins, E. T. (2002). Enjoying goal-directed action: The role of regulatory fit. Psychological Science, 13(1), 1-6.

27.

Higgins, E. T. (1997). Beyond pleasure and pain. American Psychologist, 52, 1280-1290.

28.

Higgins, E. T. (2000). Making a good decision:Value from fit. American Psychologist, 55, 1217-1230.

29.

Higgins, E. T. (2005). Value from regulatory fit. Psychological Science, 14(4), 209-213.

30.

Kotler (2003). Marketing insights from A to Z. NJ:John Wiley & Sons, Inc.

31.

Lyubomirsky, S. (2013). The myths of happiness:What should make you happy, but doesn’t what shouldn’t make you happy, but does. New York:The Penguin Press.

32.

Newell, F. (2003). Why CRM doesn’t work: How to win by letting customers management the relationship. New York: Bloomberg Press.

33.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e Press.

34.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35.

Zaltman, G. (2003). How customers think: Essential insights into the mind of the market. Harvard Business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