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기업 페이스북 팬페이지 포스팅의 메시지 전략 유형에 따른 효과

The effectiveness of posts in corporate Facebook Fan-page by types of message strategies

초록

본 연구는 기업 페이스북 팬페이지에 게재된 포스팅의 메시지 전략 유형에 따라 효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스팅은 팬페이지의 여러 가지 커뮤니케이션 요소들 중 가장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잘 구현되고 있는 것이며, 포스팅의 메시지가 점차 다양화되고 그 사용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요한 실무적 및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팬페이지의 메시지에 대한 효과를 두 가지 차원에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우선 실제 집행된 포스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 팬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세 가지 행동 반응 지표들 - ‘좋아요,’ ‘공유,’ ‘댓글’ - 을 중심으로 메시지 유형간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즉각적인 반응의 결과물 이외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라 할 수 있는 감정적 차원의 효과 및 공유 차원의 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소비자들의 페이스북 포스팅에 대한 행동 반응 중 ‘좋아요’와 ‘공유하기’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댓글’에 있어서는 ‘프로모션’ 유형의 메시지가 ‘브랜드 이미지’, ‘일상,’ ‘정보제공’ 유형보다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감정적 차원인 광고태도 및 브랜드태도에 있어서는 ‘일상’ 메시지의 효과가 다른 유형의 메시지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향후, 국내에서 비교적 적게 집행되어 온 ‘일상’ 메시지의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메시지 유형의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소비자 변인들을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페이스북, 포스팅, 메시지 전략, 광고효과, Facebook, Message Strategy, Advertising Effectiveness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essage posts in corporate Facebook Fan-page by various message strategies. Since the posting is the most popular tool for real-time communication and companies have employed various types of posts more and more these days, the empirical investigation focusing on the posting is important. The effectiveness has two folds;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posts executed in reality.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in various corporate Fan-pages in Facebook with three index of the effectiveness - ‘Like,’ ‘Share,’ and Replies, and compared the effects of different message strategies. Additionally, but more importantly, affective dimensions and sharing intentions of the effectiveness was examined with an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essage strategies in ‘Like’ and ‘Share,’ however ‘promotion’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s in the volume of replies. It was supported that ‘Daily life stories’ was the most effective types of message strategies in affective dimensions of the effectiveness - attitude toward the ad and attitude toward the brand. This type of message strategy which has been less executed in the domestic market should be utilized later on. Followings studies ne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consumer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ssages strategies and the effectiveness of posts.

keywords
Facebook, Message Strategy, Advertising Effectiveness

참고문헌

1.

김남이, 이수범 (2011).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306-341.

2.

김상훈, 안대천 (2011). SNS를 활용한 효과적인감성광고 전략: 현대자동차그룹 ‘gift-car’기업PR캠페인 사례연구, 광고학연구, 22(5), 273-290.

3.

김재휘, 김희연, 부수현 (2012). 소셜 미디어를활용한 공공캠페인 커뮤니케이션 전략:해석수준이론에 따른 메시지 구성과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3(1), 183-205.

4.

김지호, 박신영, 김재휘 (2012). SNS를 이용한복합매체상황에서 노출순서에 따른 시너지 효과: SNS 광고의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3(2), 255-281.

5.

류지영, 윤 각 (2013).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이용과 구전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4(1), 297-318.

6.

심성욱, 김운한 (2011).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342-375.

7.

안대천, 김상훈 (2012).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광고학연구, 23(3), 53-84.

8.

양 윤, 김신혜 (2011). 메시지 틀, 조절초점, 지각된 위험이 광고메시지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22(1), 257-276.

9.

이귀옥, 남경태, 황장선 (2003). 한국 텔레비전광고의 메시지 전략에 관한 연구: 6분할메시지 전략모델의 적용. 광고학연구, 14(5), 285-307.

10.

이세진, 방혜진, 노승화 (2012). 유대강도, 정보의 속성 및 관여도가 SNS 내 구전 효과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23(4), 119-146.

11.

이은선, 김미경 (2012).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수단으로서의 기업 페이스북 팬페이지 이용행태 분석. 광고학연구, 23(2), 31-55.

12.

최은정 (2012). SNS의 불이 꺼지고 있는가?:SNS의 지속 이용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3(2), 229-253.

13.

홍지미, 황장선, 도선재 (2011). 배너광고와 웹기사 맥락에 따른 광고 효과, 광고학연구, 22(3), 75-101.

14.

황장선, 임지은 (2013). 기업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눈: 한-미간 주요 기업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내용분석. 광고학연구, 24(4), 143-178.

15.

Chu, S. (2011). Viral Advertising in Social Media:Participation in facebook groups and responses among college-aged user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2(1), 30-43.

16.

Frazer, C. (1983). Creative strategy: a management perspective, Journal of advertising, 12(4), 36-41.

17.

Kelly, L., G. Kerr, & J. Drennan (2010). Avoidance of advertising in social networking sites: the teenage perspective,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0(2), 16-27.

18.

Laskey, H., E. Day, & M. Crask (1989). Typology of Main message strategies for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advertising, 18(1), 36-41.

19.

Lipsman, A., G. Mudd, M. Rich, & S. Bruich (2012). The power of “Like”: How brand reach (and influence) Fans through social-media Marke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2(1), 40-52.

20.

Nelson-Field, K. E. Riebe & B. Sharp (2012). What’s not to “Like”: Can a Facebook Fan base give a brand the advertising reach it need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2(2), 262-269.

21.

Puto, P., & W. Wells (1984). Informational, and Transformational advertis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im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638-643.

22.

Taylor, D., J. Lewin, & D. Strutton (2011). Friends, Fans, and Followers: do ads work on social networks? How gender and age shape receptivit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1(1), 258-275.

23.

Taylor, D., D. Strutton & K. Thompson (2012). Self-enhancement as motivation for sharing online advertising.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2(2), 13-28.

24.

Zeng, F., L. Huang, & W. Dou (2009). Social factors in user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advertising in online social networking communitie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0(1), 1-13.

25.

IT투데이 (2013.08.14.).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810

26.

KISDI STAT Report (2013.4.29.). http://m.kisdi. re.kr/mobile/news/news_view.m?seq=2810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