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브랜드 성격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커뮤니티 몰입도에 따른 차이 비교

The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Attachment: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of Brand Community Commitment

초록

본 연구는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소비자와 커뮤니티 활동을 하지 않는 일반 소비자들이 그 브랜드의 성격을 지각하는데 어떤 차이가 있으며, 브랜드 애착을 형성한 정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브랜드 애착 개념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문항구성과 요인분석, 교차타당화 과정을 통해 브랜드 애착 척도를 제작하였다. 브랜드 성격이 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분석 하고자 특정 브랜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활동여부와 활동량을 기준으로 브랜드 몰입도를 구분하고, 이들이 지각하는 브랜드 성격과 브랜드 애착 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도가 높을수록 브랜드의 성격을 더 긍정적으로 명확하게 지각하고, 브랜드에 대한 애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성격의 하위 요인들이 브랜드 애착을 형성하는 데 미치는 영향력에서도 차이가 있어서, 커뮤니티에 몰입도가 높은 소비자는 브랜드의 ‘품위성’과 ‘유능성’ 요인이 브랜드 애착 형성에 중요한 반면, 몰입도가 낮은 소비자는 브랜드의 ‘유능성’만이 애착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브랜드 성격, 브랜드 애착, 브랜드 커뮤니티, 커뮤니티 몰입., brand personality, Brand attachment, Brand community, community commitment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attachment in terms of the levels of brand community commitment and developed the measurement scale for brand attachment construc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First, brand attachment construct had two factor structure maned care(factor 1) and love(factor 2). Second, brand personality was an excellent preceding variable that predicted brand attachment. Third, brand community commitment was an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brand attachment. The more committed to the brand, the stronger consumers had formed brand attachment. From the regression analyses, the predicting variables of brand personality to attachment were different in according to the degrees of commitment. Finally, we discussed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brand personality, Brand attachment, Brand community, community commitment

참고문헌

1.

(2000) 브랜드 개성의 FCB 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

2.

(2003) 브랜드 성격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2003) 국내 및 해외 유명브랜드의 브랜드성격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품관여도와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4.

(2004) 브랜드-소비자 성격 일치성과 브랜드 애착과의 관계 자기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5.

(2000) 상표자산의 심리학적 접근 소비자와 상표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6.

(2002)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 왜 하는가. ,

7.

(2001) 구매자-판매자 관계 몰입의 다차원 모형 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8.

(2002) 브랜드 퍼스낼리티-브랜드동일시-브랜드자산 모형: 이용자와 비이용자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9.

(2003) 브랜드 경험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실무적 시사점 ,

10.

(2002)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충성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1.

(2001) 브랜드 커뮤니티 몰입의 성과와 결정요인, 고려대학교

12.

(1991)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The Free Press

13.

(1997)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

14.

(2001) The Chain of Effect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

15.

(1992) The Role of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Consumer Behavior,

16.

(1988)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18.

(1979) The Making and Breaking of Affectional Bonds,

19.

(1998)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

20.

(1987) A Social Influence Theory of Consumer Coopera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1.

(1999) The Different Roles of Satisfaction and Commitment in Consumer Relationship ,

22.

(1958)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23.

(2002) Building Brand Community,

24.

(1958) Three Processes of Attitude Chang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5.

(2001) Brand Community,

26.

(2004) The Ties That Bind Measuring the Strength of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s to Brands ,

27.

(2001) Building Service Brands via Social Identity: Lessons from the Sports Marketplac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