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사회적 상황과 소비자 애국심에 따른 애국심소구 광고효과 연구: 제품관여를 중심으로
유승엽(남서울대학교) ; 정희준(한양대학교) pp.1-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애국심소구 광고가 IMF외환위기와 2002년 한․일 월드컵과 같은 특정시기에 그 집행빈도가 높아지는데 주목하여 사회적 상황을 세가지(긍정적, 부정적, 일반적)로 구분하여 각각의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 애국심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제품관여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2 피험자간 요인설계를 통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상황(3)과 소비자애국심(2) 및 제품관여(2)에 따른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광고태도,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황을 조작하기 위해 세가지 사회적 상황과 관련된 뉴스를 편집하여 10분정도의 분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상황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는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상황에 비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상항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소비자 애국심 수준이 높은 집단이 애국심이 낮은 집단보다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관여여부에 따른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쇄광고를 실험자극물로 사용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와 관련된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회적 상황을 고려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기업은 사회적 상항에 주목하여 특정상황에서 애국심소구 광고를 제작하여 집행하게 되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al situation and consumer patriotism on the patriotic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this study, social situation was divided to positive situation(2002 Korea-Japan World Cup), negative situation(IMF) and general situation(neutral) because many patriotic advertising tended to concentrate in specific situation.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by 3×2×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As a study results, first,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was shown some difference through social situation. Advertisement appealing patriotism effect was appeared more higher in positive or negative social situation than general social situation. It is shown that social situation can function as a context in the patriotic advertising and it can influence o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rough this result. Second, it was shown that 25% high rank group's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is more positive than 25% low rank group. These result agreed with existing result that consumer patriotism work as important variable to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is study cleared that social situation can be the important considerable fact with consumer patriotism i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제품유형과 제품친숙성에 따른 온라인 소비자의 브랜드 의존도 차이에 관한 연구
이철선(현대경제연구원) ; 최인혁(중앙대학교) ; 유승엽(남서울대학교) pp.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유형과 제품친숙도에 따라 브랜드에 의존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을까? 라는 의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시장과 오프라인에서 진행된 정보탐색행동 및 브랜드 의존도에 관한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온라인에서의 브랜드 의존도 차이에 관한 연구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 이유를 다중감각의 취약성과 제품속성정보의 가용성으로 대변되는 온라인의 환경특성이 소비자 선택의 불확실성과 브랜드 의존도에 미치는 경로관계와 영향크기로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유형(경험제품, 탐색제품)과 제품친숙도(고,저)를 이용하여 2x2 between factorial design을 설계하고 340명의 대학생을 편의표본 추출하여 무작위 할당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이 연결된 전산실에서 가상의 인터넷 쇼핑을 경험하게 한 후, 가설 검증에 필요한 자료를 수입하였다. 가설검증결과, 제품유형에서는 탐색제품보다 경험제품에서 브랜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제품의 경우, 속성정보의 가용성이 다중감각의 취약성을 감소시켜 브랜드 의존도를 감소시키지만, 경험제품에서는 제품속성정보의 가용성이 다중감각의 취약성을 감소시키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제품친숙도가 높은 소비자보다는 낮은 소비자가 브랜드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친숙도가 높은 소비자가 친숙도가 낮은 소비자들 보다 제품지식이 많아서 브랜드보다는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하기 때문이었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and explain the differences in terms of online consumers' brand reliance by product types and product familiarity and to derive strategic implications for online businesses. Based upon the previous research on brand dependence, onlin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multi-sensory weakness and availability of attribute information, and consumer uncertainty, the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and the correspond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empirically tested. In empirical study, the experimental method was carried out in a computer lab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can use the Internet. For experience goods, perfume, clothes, and dress were adopted; and for search goods, computer, walkman and VTR.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AMOS 3.61 computer program. The reason of the difference of brand reliance is that the availability of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cannot reduce multi-sensory weakness in the case of experience goods. In turn, in the case of search goods and consumers with high product familiarity, online multi-sensory weakness is not considered important in the purchase decision and information provided online makes comparison among alternatives easier, which eventually reduces consumer uncertainty and therefore, brand reliance.

대안의 수와 제시형태가 소비자의 선택·비선택에 미치는 영향
하환호(경남과학기술대학교) ; 현정석(제주대학교) pp.29-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선택 대안의 수와 제시형태가 소비자의 비선택 옵션에 대한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선택 대안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비선택 비율이 줄어드는 것(선택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선택 대안의 수가 선택․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대안의 제시형태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대안이 아주 적거나 많은 경우에는 동시 제시조건보다 순차 제시조건에서 비선택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안을 동시에 제시한 경우에는 대안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비선택 비율이 증가하다 감소하는 역U자 형태를 보인 반면, 대안을 순차적으로 제시할 경우에는 3개 대안에서 6개 대안으로 대안의 수가 증가할 때 비선택 비율이 감소하다가, 대안의 수가 9개로 늘어났을 때에는 비선택 비율이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number of alternatives and presentation format on the likelihood of purchase from the choice set. The preference for the no choice option decreased as the number of alternatives increased. and it became higher when the alternatives form an efficient set, especially, presented sequentially than simultaneously. When alternatives were presented simultaneously, th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no choice option, as expected, showed an inverted U-shaped trend, first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hen alternatives were presented sequentially, there was a U-shaped trend. Th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no-choice option were decreased from three to six alternatives and increased from six to nine alternatives. It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대안의 수와 제시형태가 소비자의 선택ㆍ비선택에 미치는 영향
하환호(한국갤럽조사연구소) ; 현정석(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pp.29-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선택 대안의 수와 제시형태가 소비자의 비선택 옵션에 대한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선택 대안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비선택 비율이 줄어드는 것(선택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선택 대안의 수가 선택·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대안의 재시형태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대안이 아주 적거나 많은 경우에는 동시 제시조건보다 순차 제시조건에서 비선택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안을 동시에 제시한 경우에는 대안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비선택 비율이 증가하다 감소하는 역U자 형태를 보인 반면, 대안을 순차적으로 제시할 경우에는 3개 대안에서 6개 대안으로 대안의 수가 증가할 때 비선택 비율이 감소하다가, 대안의 수가 9개로 늘어났을 때에는 비선택 비율이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number of alternatives and presentation format on the likelihood of purchase from the choice set. The preference for the no choice option decreased as the number of alternatives increased. and it became higher when the alternatives form an efficient set, especially, presented sequentially than simultaneously. When alternatives were presented simultaneously, th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no choice option, as expected, showed an inverted U-shaped trend, first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hen alternatives were presented sequentially, there was a U-shaped trend. The participants' preference for the no-choice option were decreased from three to six alternatives and increased from six to nine alternatives. It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연령(加齡)에 따른 추구화장이미지 연구
이화순(신안산대학교) ; 이운현(안산공과대학) pp.49-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외적 아름다움을 증진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장에 대하여 자신이 추구하는 화장이미지가 연령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화장품 소비자들의 욕구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화장품시장의 마케팅활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질문지를 사용한 조사연구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편의표집된 10대에서 50대까지의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942명이며, 2001년 8월 20일에서 31일 사이에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에는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단변인변량분석, 다변인변량분석, 경향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구화장이미지는 품위성, 세련성, 여성성, 적극성의 4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연령에 따른 화장이미지를 요인별로 분석해본 결과 세련성과 여성성은 연령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위성과 적극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세련성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여성성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are occurred the make-up image which one feel by the age. Therefore, we would like to give helpful information about efficient marketing to the cosmetic market and to understand the customer's desire who are using cosmetics. For this positiv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t random from in their 10's to in their 50's women who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period of this research was followed from Aug. 20 through Aug. 31, 2001 and th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a frequency analysis, a percentage, a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ANOVA), a trend analysis. The conclusion is as below. In the make-up image, there were a difference to the nobility and courtesy by the age, bu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to the refinement and personality. Also the nobility was increased wild range with age and the courtesy was decreased wild range with age.

공익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과 결과 지각이 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중앙대학교) ; 신진석(중앙대학교) pp.65-8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물(水)이라는 동일한 주제에 보호와 절약이라는 다른 권고안에 대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자원 보호와 절약에 대한 사전 태도와 의식을 측정하고, 각각의 사안에 대해 긍정적/부정적 메시지와 기사를 제작, 이 자극물의 노출 후 환경 행동의도의 차이를 보았다. 연구결과, 수자원 절약의 경우, 환경 문제의 결과가 개인에게 미칠 영향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이 행동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자원 보호의 경우에는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높게 지각한 사람들이 그 결과가 개인에게 미칠 영향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 보다 높은 행동의도를 나타냈다. 환경 행동 의도에 대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는, 절약관련 메시지 일 때 긍정적 메시지가 부정적 메시지 보다 높은 행동 의도는 보였으며, 보호관련 메시지는 부정적 메시지가 긍정적인 메시지 보다 행동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절약에 대해서는 개인 피해 지각과 메시지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보호에 있어서는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effective public service advertising strategy. Specially, in related of water conservation, the environmental problem was divided two parts, water saving and water protecting. First, attention and perception were measured in terms of the each case. Then, to measure the intention of environmental behavior, messages and article were manipulated positive and negative those. The sample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295 respondents from Chung- Ang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In water saving case, behavioral intention was significant higher when exposed they to positive messages than negative ones. In contrast with, water protecting behavior intention was higher when negative messages. Even though, same messages and article exposed, in water saving case, they who more perceived personal effects than ecological ones had more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former, we could get opposite result. Through this study, we could propose various types available to increase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and the necessity for advertising strategy considering target audie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