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1930년대 항일아나키스트단체 남화한인청년연맹의 이념과 활동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the ideology and activities of the anti‒Japanese anarchist group in the 1930s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2, pp.383-428
https://doi.org/10.25024/ksq.42.2.201906.383
차현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1930년 중국 상해에서 조직된 한국인 아나키스트들의 결성단체인 남화한인청년연맹의 이념, 활동과 항일독립운동의 특수성을 고찰하였다. 국내, 중국, 일본 각지에서 민족운동과 아나키즘 운동에 참여했던 한국인 아나키스트들은 남화연맹이라는 이름의 단체를 결성하였다. 일본제국주의를 조선에서 몰아내고 아나코코뮤니즘에 입각한 자유연합사회의 건설을 위해 투쟁하기를 결의하며 항일무력투쟁을 위한 항일구국연맹과 흑색공포단도 창당했다. 남화연맹원들은 반국가・반권력의 아나키즘식 입장을 토대로 공산주의, 자본주의, 제국주의를 비판하였다. 더불어 민족주의를 지양하며 독립운동 단체의 권력조직 성립과 민족독립이후 자국민의 지배적인 권력수립을 ‘민중의 착취적 지위를 교체”로써 인식하는 반면 피압박 조선민중의 해방과 승리를 염원하며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즉 남화연맹원들은 민족주의에는 반대했지만 민족의식은 소유했다. 남화연맹원들은 제국주의자 척결, 아나키즘 운동에 대한 안정성 확보를 목표로 항일무력투쟁에 적극적이었으며 이를 직접행동이라고 칭했다. 외국인 아나키스트들과 함께 거사를 도모한 국제적 아나키스트 연대와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기타 민족운동진영과 합작항일투쟁을 진행한 민족전선결성은 남화연맹원들의 직접행동의 특징이었다. 이는 상호부조론에 입각한 자유연합사회의 건설을 위하여 집단들 간에 자유로운 일시적 연합을 허용한다는 아나키즘의 이론에서 이탈하지 않은 행동이었다.

keywords
남화한인청년연맹(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아나키즘(Anarchism), 민족주의(Nationalism), 아나코코뮤니즘(anarcho‒communism), 항일직접행동(anti‒Japanese direct actions), 자유연합사회(free‒association society), 민족전선결성(organization of forces with Korean nationalists)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its ideology and activities as a par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anarchists that participated in both national and anarchists’ movements came together in 1930 in Shanghai, China and established the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To pursue a “true liberation of Korean people” and overcome an oppressive rule of the Japan Empire they also formed the Anti‒Japanese alliance and the Black terrorists’ party (B.T.P). Members of the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embraced Peter Kropotkin’s theory of anarcho‒communism and his concept of ‘Mutual aid’. They criticized communism, capitalism, and imperialism, but stressed their anarchistic views towards concepts of anti‒nation and power organizations. They also rejected nationalism and disapproved of the establishment of influential unions of Korean nationalists. They thought the both of establishment of powerful Korean nationalists’ unions and setting up the predominant Koreans’ organizations after liberation of Korea could be the “substituted exploitative status”. However, they rather chose to work for the exploited classes of Korean people, and supported them to be liberated and achieve victories. In other words, the anarchists of the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opposed nationalism while developing a national conscious. Members of the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carried out numerous acts of terror, which they referred to as “direct actions” to secure stabilities of anarchists’ movements and to destroy imperialists. Sometimes they cooperated with foreign like‒minded fellows from China and Japan to prepare and execute a “direct action". Also for a purpose of anti‒Japanese struggle they occasionally joined forces with Korean nationalists in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other nationalistic groups. These alliances were of a temporary nature, but the anarchists believed that they were necessary to achieve a goal of establishment of a free‒association society’, which would rely on the ideologies of Anarcho‒communism. In other words, the 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was the anarchist‒oriented organization which pursued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s based on the anarchistic methodologies for liberation of the people for imperialism.

keywords
남화한인청년연맹(Nam‒Hwa Korean Youth Federation), 아나키즘(Anarchism), 민족주의(Nationalism), 아나코코뮤니즘(anarcho‒communism), 항일직접행동(anti‒Japanese direct actions), 자유연합사회(free‒association society), 민족전선결성(organization of forces with Korean nationalists)


참고문헌

1

《남화통신》,

2

《독립신문》,

3

《동아일보》,

4

《흑색신문》,

5

《自由聯合新聞》,

6

《南華通信》.

7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1 헌법, 공보』. 국사편찬위원회, 2005.

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자료집 <제11집> 의열투쟁사 자료집』. 독립유공자사업기금 운용위원회, 1976.

9

社會問題資料叢書, 『思想情勢視察報告集(基の二)』. 中西利雄, 1976.

10

金光洲, 「上海時節回想記(上)」. 『世代』 제3권 통권 29호, 1965년 12월.

11

유자명,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편, 『유자명 수기: 한 혁명자의 회억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12

이강훈, 『민족해방운동과 나』. 도서출판 제삼기획, 1994.

13

이규창, 『운명의 여신』. 클레버, 2004.

14

이정규, 『友堂 李會榮 略傳』. 乙酉文化社, 1987.

15

정화암, 『어느 아나키스트의 몸으로 쓴 근세사』. 자유문고, 1992.

16

구승회, 『한국 아나키즘 100년』. 이학사, 2004.

17

국민문화연구소, 『항일혁명가 구파 백정기 의사』. 국민문화연구소 출판부, 2004.

18

김명섭 외 12인, 『류자명의 독립운동과 한・중연대』. 경인문화사, 2015.

19

김영범 외,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국사편찬위원회, 2001.

20

김학준,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21

박도, 『사진으로 엮은 한국독립운동사』. 눈빛, 2005.

22

박환, 『식민지시대 한인아나키즘운동사』. 선인, 2005.

23

어네스트 겔너 저, 최한우 역, 『민족과 민족주의』.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09.

24

이강훈, 『민족해방운동과 나』. 도서출판 제삼기획, 1994.

25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 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26

이호룡,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27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 운동편』. 지식산업사, 2015.

28

朝鮮無政府主義運動史編纂委員會, 『아나키즘運動史』. 형설출판사, 1978.

29

조지 우드코크(George Woodcock) 저, 하기락 역, 『아나키즘: 自由人의 思想과 運動의 歷史』. 형설출판사, 1962.

30

크로포트킨 저, 이을규 역, 『現代科學과 아나키즘: 아나키즘의 道德』. 創文閣, 1973.

31

河岐洛, 『奪還』. 형설출판사, 1994.

32

E. 카멘카, 『민족주의』. 청하, 1986.

33

Peter Kropotkin 저, 河岐洛 역, 『相互扶助論』. 형설출판사, 1983.

34

김광재, 「上海시기 玉觀彬 밀정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근현대사연구』 63권, 2012, 42‒70쪽.

35

김명섭, 「1930년대 재일한인 아나키스트들의 항일선전지 《흑색신문》」. 『한국근현대사연구』 77권, 2016, 271‒303쪽.

36

성주현, 「기획논문: 아나키스트 원심창과 육삼정 의열투쟁」. 『숭실사학』 24권, 2010, 77‒109쪽.

37

이동언, 「如山 李容俊의 生涯와 抗日獨立鬪爭」. 『국학연구』 9권, 2004, 107‒129쪽.

38

최병우, 「김광주의 상해 체험과 그 문학적 형상화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25권, 2008, 95‒125쪽.

39

하승우, 「항일운동에서 ‘구성된’ 아나코‒코뮨주의와 아나키즘 해석경향에 대한재고찰: 크로포트킨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제7권제1호, 2008, 5‒25쪽.

40

한상도, 「나월환의 독립운동 역정과 피살 사건의 파장」. 『한국독립운동사연구』50권, 2015, 115‒158쪽.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