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학급차원의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이초등학생들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업수행 증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Universal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Reducing Problem Behavior and Increasing Academic Performance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한 학급차원의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PBS)이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부터 9월까지 D광역시의 한 일반 초등학교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우울증을 지닌 학생을 포함한 총 21명(남: 11명, 여: 10명)으로 구성된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PBS의 1차 지원에 초점을 둔 보편적 PBS를 실시하였으며, 학급 담임은 5년 경력을 지닌 교사로 본 연구의 실행자로 참여하였다. 연구 설계는 단일 대상 연구 설계 중 반전설계를 이용하였으며, 문제행동의 변화는 비디오 촬영 후, 훈련된 관찰자들이 1분 단위로 전체 학생들의 문제행동발생 수를 체크하여 아동 당 평균문제행동 발생률을 계산하여 PBS 전후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학업수행결과는 PBS 전후의 학력평가에서 60점 미만의 수행을 보인 학생 수의 비율을 측정하여 알아보았으며, 학생과 학부모에게 사회적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담임교사는 PBS워크샵과 PBS지원팀의 개별교육에 참가하였다. 학생들에 대한 보편적 PBS중재전략으로는 기대행동과 교실규칙 개발, 개별 및 집단강화를 통한 토큰체계 실시, 학급차원의 사회기술 훈련을 실시하였고, 동시에 학부모와 학교와의 협력체계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 학생 당 평균 문제행동발생률과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비율이 감소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긍정적 행동지원, 학급차원, 1차 지원, 문제행동, 학업수행, 초등학교, Positive Behavior Support, Class-Wide, Tier 1, Universal Support, Problematic Behavior, Academic Performance, Elementary Schoo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universal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mplementation on student problem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in a 6th-grad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Participants were 21 students (11 boys and 10 girls) including a student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a student with depression, and the classroom teacher with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September 2016, and the classroom outcomes were evaluated employing a reversal design, a type of single case experimental design. Data on problem behavior were collected using a 1-min momentary time sampling procedure, to obtain an estimate of class-wide problem behavior. The overall level of class-wide problem behavior was obtained as the average percentage of intervals with problem behavior per student. Academic performanc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ho performed at low levels on achievement tests. Social validity was assessed with both students and parents. The classroom teacher participated in a group PBS workshop and individual training provided by a PBS support team. During implementation, the classroom teacher developed and taught class-wide expectations and rules, implemented token economies to provide reinforcement at the individual student and classroom levels, and class-wide social skills training. Throughout the study, the teacher collaborated with other school personnel and the students’ parents. The results indicated decreases in both problem behavior and the number of low performing studen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긍정적 행동지원, 학급차원, 1차 지원, 문제행동, 학업수행, 초등학교, Positive Behavior Support, Class-Wide, Tier 1, Universal Support, Problematic Behavior, Academic Performance, Elementary School

참고문헌

1.

강삼성, 이효신 (2012).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8(3), 1-35.

2.

김경민, 노진아 (201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방안으로서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적용 가능성 탐색. 통합교육연구, 8, 44-67.

3.

김경양, 남보람, 김영란, 박지연 (2010).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문헌연구. 특수교육, 9(3), 117-140.

4.

김광수 (2007).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문제 개선을 위한 상담전략과 실제: 용서상담교육의 적용. 초등상담연구, 6(1), 19-46.

5.

김미선, 박지연 (2009). 다차원적인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특수교육, 8(2), 135-160.

6.

김미선, 송준만 (2006).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학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1, 207-227.

7.

김보경, 박지연 (2017). 학년 단위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실시된 보편적 지원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사회적 능력, 수업참여행동 및 학교 분위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3(1), 85- 105.

8.

김수연, 이대식 (2008). 초등학교 일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학급 내 문제행동 실태와 그 대처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3, 183-201.

9.

김정선, 여광응 (2005). 학교(School-setting)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정신지체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12(1). 305-338.

10.

손경원, 주향란 (2012).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기반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론과 실제. 도덕윤리과교육, (37), 427-465.

11.

손유니, 박지연 (2015). 특수학교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리더십팀을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50, 197-224.

12.

신윤희 (2008). 초등학생들의 문제행동과 관련 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여희영 (2010).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대안학교 중등 학생들의 문제 행동, 삶의 질, 학교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윤예니 (2009). 학급차원의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성봉 (2006). 문제행동지도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 진리논단, 12, 513-529.

16.

이오연 (2015). 초등교사의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지각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인숙, 조광순 (2005). 가정과 유치원, 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바람직한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5(2), 161-190.

18.

장미순, 김진호 (2014). 초등학교 학생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0(2), 436-458.

19.

장은진 (2017).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개발. 사회과학연구, 28(1), 175-191.

20.

차재경, 김진호 (2014). 학급단위의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과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적장애연구, 16(4). 95-109.

21.

최진오 (2010). 학년 단위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 개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 (2), 311-332.

22.

최진화, 류명옥, 노진아 (2015).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6(2), 19-42.

23.

허미영, 전효정 (2013). 학령기 아동의 교실 내 문제행동 지원방안 연구. 어린이재단 연구논문모음집, 2013(0). 174-219.

24.

홍준표. (2009). 응용행동분석. 학지사.

25.

Alberto, P., & Troutman, A. C. (2009). Applied behavior analysis for teachers (8th de.).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26.

Conroy, M. A., Sutherland, K. S., Snyder, A. L., & Marsh, S. (2008). Classwide interventions: Effective instruction makes a difference.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40(6), 24-30.

27.

Heumann, J., & Warlick, K. (2001). Prevention research and the IDEA discipline provisions: A guide for school administrators. Washington, DC United States.

28.

Horner, R. H., Sugai, G., & Anderson, C. M. (2010). Examining the evidence base for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42(8), 1-14.

29.

Jimerson, S., Egeland, B., & Teo, A. (1999). A longitudinal study of achievement trajectories: Factors associated with chang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1), 116-126.

30.

Kaiser, B., & Rasminsky, J. S. (2007).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Boston, MA: Pearson.

31.

Kratochwill, T. R., Hitchcock, J. H., Horner, R. H., Levin, J. R., Odom, S. L., Rindskopf, D. M., & Shadish, W. R. (2013). Single-case intervention research design standards.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4, 26-38.

32.

Lassen, S. R., Steele, M. M., & Sailor, W. (2006). The relationship of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academic achievement in an urban middle school. Psychology in the Schools, 43(6), 701-712.

33.

Lewis, T. J., Lewis-Palmer, T., Newcomer, L. L., & Stichter, J. (2004). Applied behavior analysis and the education and treatment of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R. B. Rutherford, M. M. Quinn & S. R. Mathur (Eds.), Handbook of research i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pp. 523-545). New York, NY: Guilford.

34.

McClelland, M. M., Morrison, F. J., & Holmes, D. L. (2000). Children at risk for early academic problems: The role of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307-329.

35.

Morrissey, K. L., Bohanon, H., & Fenning, P. (2010). Positive behavior support: Teaching and acknowledging expected behaviors in an urban high school.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42(5), 26-35.

36.

Scheuermann, B. K., & Hall, J. A. (2011).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for the classroom.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37.

Scott, T. M., & Barrett, S. B. (2004). Using staff and student time engaged in disciplinary procedures to evaluate the impact of school-wide PB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6(1), 21-27.

38.

Shaw, M. (2004). Comprehensive approaches to school safety and security: An international view. Lessons in danger: School Safety and Security, 91-107.

39.

Stormont, M., Lewis, T., Becknet, R., & Johnson, N. W. (2012). 긍정적 행동지원 시스템을 실행하기[Implement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Systems: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ettings]. (노진아, 김연하 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8에 출판)

40.

.Sugai, G., & Horner, R. (2002). The evolution of discipline practices: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s. Child & Family Behavior Therapy, 24, 23-50.

41.

Vitaro, F., Larocque, D., Janosz, M., & Tremblay, R. E. (2001). Negative social experiences and dropping out of school. Educational Psychology, 21(4), 401-415.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