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Concept Maps of promotion and risk factors to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after dropout in secondary education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testimonies of eight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ies after having dropped out of secondary education, analyzed concept map and through it explored factors that make students drop out of education (risk factors) and factors that motivate them to resume education (promotion factors). 81 risk factors and 58 promotion factors were found. Concept map analysis of the core sentences revealed that risk factors of quitting school could be organized in a two-dimension with “maladaptive relations and controlled environment” an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n each axis. Risk factors then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conflict with parents, teacher, and school,” “low self-control and sense of alienation due to insufficient support system,” “resistance to existing education and pursuit of excessive autonomy,” and “negative perception of one’s restricted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 Promotion factors of resuming education could be organized in a two-dimension with “realistic, practical motivation, coping plan and intrinsic and social support base” and “external and internal resource” on each axis. Promotion factors then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active connection and activities of surrounding resource,” “self-realiza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effort towards clear goals and plans,” “support and encouragement by parents and surrounding people.” Studying the importance of each cluster, people who quit school chose “resistance to existing education and pursuit of excessive autonomy” 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and “effort towards clear goals and plans” as the most important promotion factor. Based on these results and responses, this study discusses the risk factors that lead to quitting school and promotion factors of resuming education, as well as the prospect of applying these studies in counseling and limits.

keywords
Interruption to Education, Risk Factors, Returning to Education, Promotion Factor, and Analysis of Concept Map, 학업중단, 위험요인, 학업복귀, 촉진요인, 개념도 분석

Reference

1.

강석영, 양은주, 방나미 (2011).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열린교육연구, 19(1), 89-125.

2.

고기홍 (2003). 학업중단 청소년 문제와 상담적 개입방안. 학생생활연구, 24(1), 117-136.

3.

교육부 (2017). 교육통계서비스.

4.

교육부 (2015). 관계부처 합동「학교 밖 청소년 지원대책」발표. 보도자료 별첨: 학교 밖 청소년 지원대책.

5.

구본용, 신현숙, 유제민 (200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중퇴 모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2), 35-57.

6.

구자경 (2003).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학교자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309-330.

7.

권이종, 권해수, 김동일, 허철수, 박병훈 (2004). 학교 밖 청소년 길 찾기: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현판식 및 학술 세미나. 청소년상담문제보고서. 한국청소년상담원, 1-7.

8.

금명자 (2008). 우리나라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 (1), 299-317.

9.

금명자, 권해수, 이문희, 이자영, 이수림 (2004). 학교밖 청소년 욕구 조사, 학교 밖 청소년 길찾기,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50, 21-44.

10.

금명자, 권해수, 이자영, 이수림, 김상수 (2004). 학교밖 청소년 종합지원체제 구축 운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9.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1.

김민 (2001). 자발적 학업중도탈락 현상 발생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12.

김상현, 양정호 (2013).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배경과 복교 후 학교생활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81-113.

13.

김옥엽, 이연숙, 원유미 (2004). 전라북도 청소년 학업중단에 대한 의식 및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분석. 상담학연구, 5(3), 725- 741.

14.

김지혜, 안치민 (2006). 가출청소년의 학업중단 영향 요인과 대책. 한국청소년연구, 17(2), 133-157.

15.

김혜영 (2002). 학교중도탈락의 사회적 맥락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9(3), 213-242.

16.

장원영 (2002). 복교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래영 (2005). 광복 60년 학업중단의 원인, 실태, 정책의 변화양상과 향후과제. 청소년복지연구, 7(2), 5-21.

18.

배영태 (2003). 학교 중도탈락의 선행요인과 판별. 청소년상담연구, 11(2), 23-35.

19.

성윤숙 (2005).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16(2), 295-343.

20.

신현숙, 구본용 (2002). 중퇴생, 중퇴 고위험 및 저위험 재학생의 비교: 개인 사회․환경 변인들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6(3), 121-145.

21.

안현의, 이소영, 권해수 (2002). 학교 중도탈락 청소년의 욕구와 심리적 경험 조사.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46, 19-31. 한국청소년상담원.

22.

오혜영, 지승희, 박현진 (2011).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9(2), 125-154.

23.

오혜영, 지승희, 박현진, 이정실 (2011). 학업중단청소년 학업복귀 강화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상담연구, 1-206.

24.

윤미경 (2002).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적응유연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상 (2003).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Ⅰ. 한국청소년개발원.

26.

이근창 (2003). 학교중퇴 청소년의 중퇴이후 적응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병환 (2002).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한국교육, 29(1), 175-196.

28.

이숙영, 남상인, 이재규 (1997). 중도탈락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 연구. 서울: 청소년대화의광장.

29.

이자영, 강석영, 김한주, 이유영, 양은주 (2010).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청소년상담연구, 18(2), 225-241.

30.

이정숙 (2017). 청소년의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386-398.

31.

정민선, 김현미, 유순덕 (2011).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9(1), 87-105.

32.

조규필, 박현진, 김래선, 김범구, 양대희, 이현진, 황수진 (2011).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교 재적응 과정 연구. 중등교육연구, 59 (4), 969-1000.

33.

조아미 (2002). 청소년의 학교중퇴 의도 결정요인. 청소년학연구, 9(2), 1-22.

34.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Concept Map) 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35.

한국아동청소년가족포럼 (2010). 학업중단 아동과 청소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정책토론 자료.

3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방안.

37.

홍나미, 신문희, 박은혜, 박지현 (2013).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청소년복지연구, 15(1), 121-153.

38.

홍임숙 (2004). 학교를 떠난 아이들의 세계: 학교중퇴자에 대한 사례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Bedi, R. P. (2006). Concept mapping the client's perspective on counseling alliance form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26-35.

40.

Giorgi, A. (1985).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y of learning and the verbal learning tradition. learning tradition. In A Giorgi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41.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California: Sage.

42.

Franklin. C. (1992). Family and individual patterns in a group of middle-Class dropout youths. Social Work, 37(4), 338-343.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