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i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shame of adolescents affecting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purpose, 595 middle school students, 522 high school students, 1,117 students were surveyed in Gyeonggi, Gangwon, Chungbuk, Chungnam, Jeonbuk, and Kyungnam area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of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terpersonal problem. Second, anger-in mediated the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 was also mediating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interpersonal problems counseling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keywords
internalizing shame, anger-i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terpersonal problems,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대인관계문제

Reference

1.

강지연 (2011).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

김남연, 양난미 (2012).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3(5), 2309- 2328.

3.

김민경 (2008).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검증.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4.

김성주, 이영순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1), 199-216.

5.

김소연 (2015).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대학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6.

김수민 (2018).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7.

김용희 (2014). 대학생의 애착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1), 291-316.

8.

김현주, 이정윤 (2011). 청소년의 애착과 분노표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 효과. 상담학연구, 12(3), 965-981.

9.

박경애, 이재규, 권해수 (1998). 대인관계향상프로그램.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10.

박상혁, 노윤경, 조은혜, 김동귀 (2011).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하위집단 간 대인관계문제 및 행복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3), 77-92.

11.

박지연, 양난미 (2014).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363-388.

12.

박지현 (2007).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3.

서수균, 이훈진, 권석만 (2004). 분노표출/분노억제 태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521-540.

14.

서은혜 (2005).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양식 및 사회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15.

설희정 (2014). 중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6.

성소영 (2015).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 분노억제와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17.

송지은 (2007). 분노수준 및 표현양식과 대인관계 성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8.

신나현 (2016).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9.

안봉화 (2011).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학교.

20.

안은화 (2012). 대학생의 분리개별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21.

안현의, 박철옥, 주혜선 (2012). 성별에 따른 외상관련 정서가 PTSD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5), 2363- 2378.

22.

안현진 (2017).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3.

오남경 (2009). 대학생의 애착요인과 분리개별화의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관계.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4.

우현주 (2016).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분노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25.

유보라 (2018).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26.

이규미 (1998). 청소년의 분노와 분노처리과정에서의 공격행동에 대한 체험 분석.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7.

이기은, 조유진 (209). 성인애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 중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6(2), 191 -204.

28.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의 타당화 연구-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29.

이정윤, 최정훈 (1997). 사회불안증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와 노출치료의 효과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 583-598.

30.

이지연 (2008).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 표현의 관계. 상담학연구, 9(2), 353- 373.

31.

이지우 (2017).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2.

이지유 (2018).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안전행동과 사후반추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33.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인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6), 2273-2291.

34.

전겸구, 한덕응, 이장호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60-78.

35.

정해숙, 정남운 (2011). 완벽주의와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2(2), 89-107.

36.

정혜진 (2014).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37.

조유나 (2018).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38.

차혜련, 김종남 (2016).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3(12), 373- 401.

39.

최임정, 심혜숙 (2010). 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2.

40.

한은진 (2015).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고등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41.

허 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42.

홍경화 (201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43.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 척도의 단축형(KllP-SC)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23-940.

44.

홍세희 (2009).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시리즈 6: 구조방정식모형 초급. 서울: S&M 리서치 그룹.

45.

Allan, S., Gilbert, P., & Goss, K. (1994). An exploration of shame measure-Ⅱ. Psychopatholog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17(5), 713-717.

46.

Averill, J. (1982). Anger and aggression: An essay on emotion. New York: Springer-Verlag.

47.

Bradshaw, J. (2002). Child Poverty and Child Outcomes. Children and Society, 16(1), 131-140.

48.

Bradshaw, J. (2010). 수치심의 치유[Healing the Shame that Binds You]. (김홍찬, 고영주 역). 서울: 사단법인 한국상담심리연구원(원전은 1988년에 출간).

49.

Brookhart, S. M., & Freeman, D. J. (1992) Characteristics of teacher candidat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1), 37-65.

50.

Cook, D. R. (1987).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4(2), 197-215.

51.

Diclemente, R., Hansen, W., & Ponton, L. (1996). Adolescents at risk: A generation in Jeopardy. In R. Diclements, W. Hansen, & L. Ponton (Eds.), Handbook of Adolescent Health Risk Behavior (pp. 1-4). New York: Plenum.

52.

Gati, I., & Asher, I. (2000).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S. T. Higgins (Ed), Psychology (pp. 30-43). New York: Basic Books.

53.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

54.

Harder, D. H., & Zalma, A. (1990). Two promising shame and guilt scales: A constrect validity comparison.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3), 729-745.

55.

Harder, D. W., & Lewis, S. J. (1987).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In J.N. Butcher, & C. D. Spielberg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6, 89-114.

56.

Horney. K. (2006). 신경증적 갈등에 대한 카렌 호나이의 정신분석〔Our Inner Conflicts〕. (이희경, 윤 인, 이해라, 조한익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1992에 출판).

57.

Horowitz, I. M. (1996).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 A leary lega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6(2), 283-300.

58.

Kaufman, G. (1989).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New York: Springer [London: Routledge (paper edition) 1993].

59.

Leary, R. M. (1983). Social Anxiousness: The Construc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7(1), 66-75.

60.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61.

Lewis, M. (1993). The development of anger and rage. in Glick, R and Roose, S. (Eds.), Rage, Power, and Aggress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62.

Lewis, R. L. (1983). Architecture Matters: What soar has to say about modularity. In Steier, D. and Mitchell, T., editors, Mind Matters: Contributions to Cognitive and Computer Science in Honor of Allen Newell. Erlbaum, Hillsdale, NJ. To appear.

63.

Marks, I. M., & Gelder, M. (1996). Different ages of onset in varieties of phob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3(2), 218-221.

64.

Novaco R. W. (1979). A Cognitive regulation of anger and stress. In P. C. Kendall, & S. D. Hollon (Eds.),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Theory, Research and Procedures. New York: Academic Press, 241-285.

65.

Rapee, R. M., Abbott, M. J., Baillie, A. J., & Gaston, J. E. (2007). Treatment of social phobia through pure self help and therapist-augmented self help.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1(3), 246-252.

66.

Sebald, H. (1986). Adolescents shifting orientation toward parents and peers: a curvilinear trend over recent decad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1), 5-13.

67.

Spielberger, C. C., Johnson, E. H., Russell, S. F., Crane, R. J., Jacobs, G. A., & Worden, T. J. (1985).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ger expression scale. In M. S. Chesney & R. H. Rosenman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 (pp.5-30). New York: Hemisphere.

68.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New York: Guilford Press.

69.

Tangney, J. P., Barlow. D. H., Wagner, P., Marschall, J. E., Borenstein, L. K., Sanftner, J., Mohr, T., & Garmzow, T. (1996). Asses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constructive versus destructive responses to anger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4), 780-796.

70.

Tangney, J. P., Wagner, P. E., & Gramzow, R., (1992). Shamed into anger?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anger and self-reported agg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4), 669-675.

71.

Wheeler, G. (1997). Self and Shame: A Gestalt Approach, Gestalt Review, 1(3), 221-224.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