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PP) o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The questionnaires designed to measu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depression, self-focused attention, self-criticism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wice at an interval of three weeks to 273 students (83 men, 190 women) enrolled at high schools in Gyeonggi-do Province. The findings for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P, depression, social anxiety,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showed all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mediation effect from the SPP to depression via self-focused at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indirect effect from the SPP to depression via self-criticism was not. Third, the pattern in depression was the same in social anxiety. The results provide indirect support for the social anxiety cognitive model (Clark & Wells) with regards to social anxiety particularly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강병은, 신현숙 (2017). 청소년 자의식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4(1), 105- 128.
권석만 (2014). 이상심리의 기초: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이해. 서울: 학지사.
김내환 (2016).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 자기비난과 반추의 연속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명식 (2008). 아동, 청소년 상담: 일 도시의 남녀 중학생 우울증 유병률과 우울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9(2), 645-658.
김병직, 이동귀, 이희경 (2012).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매개변인 탐색: 사회불안과 반추. 상담학연구, 13(2), 417-436.
김선은 (2011). 남녀 고등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소린, 이은정, 조수현, 이성찬, 이상민 (2014). 심리적 요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자존감, 우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5(3), 1049-1065.
김정미 (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정서의 관계: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6(10), 205- 225.
김정미 (2010). 아동 및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7(8), 79-104.
김현진 (2002).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나빛나, 장성숙 (2016). 고등학생의 내현적자기애와 우울 관계에서 수치심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8, 1-23.
문혜신, 오경자 (2002).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29-443.
박 은, 김정민 (2017).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669-685.
박정화 (2013).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연, 양난미 (2014).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363-388.
서선주 (1999). 아동의 역량지각과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20(3), 97-106.
세계일보. “명문대 아니면 뭐 할래?”…‘성공 강박’ 시달리는 아이들.(2018.08.08.) http://www.segye.com/newsView/20180808005171
송은영, 하은혜 (2008).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8(1), 41-56.
신지은, 이동귀 (2011). 고등학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 한국청소년연구, 22(2), 55-79.
신현숙, 이경성, 이해경, 신경수 (2004). 비행 청소년의 생활적응 문제에서 우울/불안 및 공격성의 합병 효과와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3), 491-510.
양선경, 송원영 (2018). 남자고등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2), 277-287.
양옥성 (2011). 사회불안이 청소년기 발달단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신학대학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재원, 양윤란, 오경자 (2008). 아동,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측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861-878.
오은주, 남재걸 (2017). 고등학생의 사회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7), 105- 128.
원영주, 조성호 (2013). 자기초점적 주의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2), 173- 191.
유성은, 권정혜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2), 67-84.
윤현영 (2003). 중학생의 완벽성향과 스트레스대처방식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7(3), 313-330.
이동귀, 배병훈, 함경애, 천영아. (2015).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305-333.
이민규, 김근홍 (1998).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211-222.
이시형, 신영철, 오강섭 (1994). 사회공포증에 관한 10년간의 임상 연구. 신경정신의학, 33(2), 305-312.
이지영 (2010).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정신병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371-388.
이지영, 권석만 (2005).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의 개발: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451-465.
임소영 (2017). 신경증적 경향성이 정서중심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정하, 송지은, 곽태희, 백지민, 권오연 (2017). 남녀 청소년의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8(3), 209- 235.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제미영 (2014). 청소년 우울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용래, 원호택 (1999).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평가 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41-162.
조은주, 이은희 (2013).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 역할. 한국청소년연구, 24(1), 35-70.
조재임 (1996). 우울의 두 차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현주, 현명호 (2011).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자비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49-62.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2017). 제13차 청소년건강 행태온라인조사 통계.
하정희, 장유진 (2011).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지지 제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427-449.
하정희, 조한익 (2006). 비합리적 신념에 따른 완벽주의의 순기능과 역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873-896.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주연, 박 경 (2011).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9), 169-188.
한창환 (2001). 생물학적 기질과 가정환경이 청소년기 우울, 품행장애 성향 및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성격, 자아상 및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Beck, A. T. (Ed.). (1979).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Guilford press.
Bieling, P. J., Israeli, A. L., & Antony, M. M. (2004). Is perfectionism good, bad, or both? Examining models of the perfectionism constru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6), 1373-1385.
Blatt, S. J., & Homann, E. (1992). Parent-child interaction in the etiology of dependent and self-critical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1), 47-91.
Blatt, S. J., & Zuroff, D. C. (1992). Interpersonal relatedness and self-definition: Two prototypes for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5), 527-562.
Burns, J. M., & Patton, G. C. (2000).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youth suicide: a risk factor-based approach.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4(3), 388-407.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41(68), 00022-3.
Flett, G. L., & Hewitt, P. L. (2002). 완벽주의 이론, 연구 및 치료(박현주, 이동귀, 신지은, 차영은, 서해나 공역)(2013), 서울: 학지사.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Gould, M. S., & Kramer, R. A. (2001). Youth suicide preven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1(Supplement to Issue 1), 6-31.
Hankin, B. L., Abramson, L. Y., Moffitt, T. E., Silva, P. A., McGee, R., & Angell, K. E. (1998). Development of depression from pre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emerging gender differences in a 10-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7(1), 128-140.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Hewitt, P. L., Caelian, C. F., Flett, G. L., Sherry, S. B., Collins, L., & Flynn, C. A. (2002). Perfectionism in children: Association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6), 1049-1061.
Hewitt, P. L., Flett, G. L., Sherry, S. B., Habke, M., Parkin, M., Lam, R. W., & Stein, M. B. (2003). The interpersonal expression of perfecti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6), 1303-1325.
Hodson, K. J., McManus, F. V., Clark, D. M., & Doll, H. (2008). Can Clark and Wells'(1995)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be applied to young people?.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36(4), 449-461.
Johnson, H. S., Inderbitzen-Nolan, H. M., & Schapman, A. M. (2005). A comparison between socially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youth: A focus on perceived family environment.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9(4), 423-442.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 173.
Nepon, T., Flett, G. L., Hewitt, P. L., & Molnar, D. S. (2011). Perfectionism, negative social feedback, and interpersonal rumination in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u Comportement, 43(4), 297-308.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582.
Rapee, R. M. (1995). Descriptive psychopathology of social phobia.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41-66.
Rapee, R. M., & Spence, S. H. (2004). The etiology of social phobia: Empirical evidence and an initial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7), 737-767.
Schreiber, F., Höfling, V., Stangier, U., Bohn, C., & Steil, R. (2012).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applicability in a large adolescent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gnitive Therapy, 5(3), 341-358.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Thapar, A., Collishaw, S., Pine, D. S., & Thapar, A. K. (2012). Depression in adolescence. The Lancet, 379(9820), 1056-1067.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