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A total of 501 Korean college students(Males: 191/Females: 310) from two colleges in Seoul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ctual and Ideal Selves Questionnair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s(CES-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Statistics 18.0 VERSION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2.16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self-discrepancy, depression. Second,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y depression.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was found, but not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inal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In this study, the pathway leading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examined jointly, including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counseling and prevention education practice for SNS addiction. Also,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자기불일치, 우울, SNS중독경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조절된 매개효과, Self-Discrepancy, Depression, SNS Addiction Tendenc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derated Mediating Effect

Reference

1.

강 석, 이지연 (2013).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 중등교육연구, 61(4), 811-839.

2.

강현욱 (2013) 대학생의 SNS중독성향과 사회적지지, 외로움 건강지각, 대인관계의 관계와 신체활동을 통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지, 22(1), 121-133.

3.

강혜자, 한덕웅 (2005). 자기차이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49-374.

4.

권혜민 (2016).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6.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양은 (2013). 걸음마기 영아의 정서성,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166-166.

8.

김영수, 신희천 (2012). 자기불일치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3(2), 745- 760.

9.

김유정 (2002). 청소년 인터넷 게임 중독 척도 개발 및 심리사회적 취약성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은영, 김정기, 최승애, 남태현 (2016). 대학(원)생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관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6), 97-118.

11.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부모의 인간관계를 통해 본 신뢰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103-137.

12.

김정화 (2015). SNS 중독경향성과 인터넷 중독의 온라인 익명성, 자기애, 우울, 불안 및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비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지연 (2018).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희정 (2012). 부모양육태도와 인지적 정서조절 및 대인관계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나은영 (2013). 트위터 이용자의 온라인 자기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위협감소 요인과 이익기대 요인의 효과. 한국언론학보, 57(4), 124-148.

16.

문예지 (2017).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지각된 일상적 스트레스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광현 (2018). 대학생의 우울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예기불안을 매개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덕하 (2008). 자기불일치와 현실 및 가상 자기효능감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박미향, 김정숙, 함경애 (2014).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1(2), 189- 206.

20.

박민희, 전해옥 (2013). 성별에 따른 한국 청소년의 건강행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3), 1283-1293.

21.

박서정. (2004).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박선영 (2014). 중학생의 우울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자기조절을 매개변인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289-297.

24.

박순천, 백경임(2005).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청소년의 MMPI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2(9), 135-147.

25.

박 은, 김정민 (2017).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 및 우울간의 관계: 재확인 추구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669-685.

26.

백현기, 윤지원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과 심리적 마음상태와의 관계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7), 389-400.

27.

서경현, 조성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28.

서수균 (1996). 자기집중적 주의, 실제 자기개념 및 자기 안내자 선호성을 고려한 자기불일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성미향, 홍혜영 (2014). 중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1), 247-270.

30.

손수아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정서조절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송명준 (2000). 인터넷 중독자의 온라인 및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신미경 (2015).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 심리, 사회적 변인과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 경향성 및 SNS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3.

양심영, 박영선 (2005).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지, 43(4), 1-16.

34.

오윤경 (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오현이, 심미정, 오효숙 (2010). 농촌지역 고등학생의 정신건강, 우울정도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농촌의학․지역보건, 35(2), 124-133.

36.

우공선 (2011).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Mobile 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 충족과 중독 연구: 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경민, 장성숙 (2004). 인터넷 중독자의 자기개념과 자기도피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43-756.

38.

이상호, 고아라 (2013). 소셜미디어 중독의 영향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57(6), 176- 210.

39.

이소연, 신민섭, 김은정 (2010). 반추적, 반성적, 경험적 자기초점화가 우울 기분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0(1), 75-95.

40.

이소영, 전혜정 (2015). SNS 이용시간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 차이.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11), 7607-7616.

41.

이신영 (2015). 대학생의 실제-이상적 자기불일치가 열등감을 매개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은영, 한기연 (1991). 대학생들의 실제적 자기, 이상적 자기, 의무적 자기에 대한 내용 분석. 정신건강연구, 10, 195-209.

43.

이정민. 김미리혜, 김정호 (2012). 청소년들의부정적 정서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와 메타기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229-242.

44.

이정화, 김호영, 강정석 (2017).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2), 154-164.

45.

이주영 (2017).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은폐 및 우울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임강희, 정혜경, 김정민 (2015). 청소년의 사회불안이 인터넷 게임중독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85- 285.

47.

임 진, 김은정 (2012).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79-306.

48.

장성화, 조경덕 (2010).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0(11), 285- 293.

49.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50.

전호성, 장승옥 (2014).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8), 103-129.

51.

정소영, 김종남 (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47-166.

52.

정승교, 김춘길 (2010). 대학생의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2(1), 41- 50.

53.

정아영, 김은하, 신희천 (2017).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4(3), 281-304.

54.

정한결, 김정민, 박지수. (2018).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SNS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9(2), 441-452.

55.

정희진 (2014). 우울과 불안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채려분 (2013). 사회관계형 SNS이용에 따른 부정적 감정유발에 관한연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최정화 (2012). SNS 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27, 369-408.

58.

하진미, 손정락 (2016). 수용전념치료 (ACT) 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우울 및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1-16.

59.

하혜신, 김은정 (2007). 남녀 청소년에 따른 부적응도식,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7(1), 268-269.

60.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2017년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61.

한은미, 현명호, 박지선 (2013). 애착과 인터넷 사용 장애(IUD)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자기불일치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20(1), 243-262.

62.

한주연, 박 경 (2011).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9), 169-188.

63.

함성민, 현명호 (2015). 자기초점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적 반응양식에 의해 조절되는 자기비판의 매개효과: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스트레스연구, 23(4), 225-235.

64.

황민영, 방희정, 김영숙 (2014). 고등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우울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239-261.

65.

황희은, 김향숙 (2015).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9), 233-253.

66.

KT경제경영연구소 (2016). 2016년 모바일 트렌드 전망. 서울: KT경제경영연구소.

67.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6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69.

Brennan, T. (1982). Loneliness at adolescence.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269-290.

70.

Bryant, F. B., & Veroff, J. (2017). Savoring: A new model of positive experience. New York: Psychology Press.

71.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72.

Garnefski, N., & Kraaij, V. (2007).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3(3), 141-149.

73.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n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74.

Ginzgerg, E., Ginzgerg, S., Axelrad, S., & Herma, J. L. (1951). Occupational Choice and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Y: Columbia Univercity Press.

75.

Gramzow, R. H., Sedikides, C., Panter, A. T., & Insko, C. A. (2000). Aspects of self-regulation and self-structure as predictors of perceived emotional distr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2), 188-205.

76.

Gross, J. J. (2002).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3), 281-291.

77.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White paper, http://www.afhayes.com/public/process2012.pdf].

78.

Hayes, S. C. (2008). Climbing our hills: A beginning conversation on the comparison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5(4), 286-295.

79.

Higgins, E. T., Bond, R. N., Klein, R., & Strauman, T. (1986). Self-discrepancies and emotional vulnerability: How magnitude, accessibility, and type of discrepancy influenc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 5-15.

80.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 319-340.

81.

Hum, N. J., Chamberlin, P. E., Hambright, B. L., Portwood, A. C., Schat, A. C., &Bevan, J. L. (2011).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 A content analysis of Facebook profile photograph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1828-1833.

82.

Jung, J., Lennon, S. J., & Rudd, N. A. (2001). Self-schema or self-discrepancy? Which best explains body imag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9(4), 171-184.

83.

Kim, H., & Damhorst, M. L. (2010). The relationship of body-related self-discrepancy to body dissatisfaction, apparel involvement, concerns with fit and size of garments, and purchase intentions in online apparel shopping.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8(4), 239-254.

84.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85.

Lazarus, R. S., & Folkman, S. (1984). Coping and adaptatio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282-325.

86.

Michikyan, M., Subrahmanyam, K., &Dennis, J. (2014). Can you tell who I am? Neuroticism, extraversion, and online self-presentation among young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3, 179-183.

87.

Moretti, M. M., & Wiebe, V. J. (1999). Self-discrepancy in adolescence: Own and parental standpoints on the self. Merrill-Palmer Quarterly, 624-649.

88.

Neira, B., Corey, J., & Barber, B. L. (2014). Social networking site use: Linked to adolescents' soci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depressed mood.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66(1), 56-64.

89.

Petrie, H., & Gunn, D.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ffects of sex, age, depression, and introversion. In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London conference, 15, 33-43

90.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185-227.

91.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92.

Rogers, C. R. (1966). Client-centered 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93.

Rossman, B. R. (1992). School‐age children's perceptions of coping with distress: Strategies for emotion regulation and the moderation of adjust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3(8), 1373-1397.

94.

Scott, L., & O'hara, M. W. (1993).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ly anxious and depresse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2), 282-287.

95.

Smith, G. (2007). Social software building blocks. Retrieved November, 5, 2010. http://nform.ca/publications/social-software-building-block

96.

Strauman, T. J. (1989).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 depression and social phobia: Cognitive structures that underlie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1), 14-22.

97.

Tan, J. B., & Yates, S.(2011). Academic expectations as sources of stress in Asian students.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4, 389-407.

98.

Tangney, J. P., Niedenthal, P. M., Covert, M. V., & Barlow, D. H. (1998). Are shame and guilt related to distinct self-discrepancies? A test of Higgins's (1987) hypothe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256-268.

99.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25-52.

100.

Toma, C. L., &Hancock, J. T. (2010). Looks and lies: The role of physical attractiveness in online dating self-presentation and deception. Communication Research, 37(3), 335-351.

101.

Tosun, L. P. (2012). Motives for Facebook use and expressing “true self” on the Intern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4), 1510-1517.

102.

Young, K. S. (1997). What makes the Internet addictive: Potential explanations for pathological Internet use. In 105th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 12-30.

103.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17, 19-31. Florida: Professional Resource Press

104.

Young, K. S. (2011). Clinical assessment of Internet-addicted clients. Internet addiction: A handbook and guide to evaluation and treatment, 19-34.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