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도심 지역의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주요 악취성분들의 발생특성 및 배출경향을 평가하였다.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총 6 가지의 지정 악취물질들(H₂S, CH₃SH, DMS, DMDS, CH₃CHO, NH₃)을 주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건조한 조건과 습한 조건을 유지하는 2개의 비교대상 하수관거에서 악취시료를 채취하였다. 측정한 악취물질들을 농도기준의 절대값과 이를 경험식에 주입하여 산출한악취지수(OI, SOI)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실험 결과, 전체 분석 성분 중 CH₃SH,H₂S, DMS 등의 환원황화합물(reduced sulfur compounds: RSC) 성분들이 악취세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결과들을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주요 악취성분들의 일간 발생경향은 식생활및 배수 등의 인간활동과 어느 정도 연관성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ajor offensive odorants were investigated using odor samples collected from two urban stormwater catch basins with highly contras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 total of 6 major offensive odorants (H₂S, CH₃SH, DMS, DMDS, CH₃CHO (AA), and NH₃) were measured. For this comparative analysis, odor intensity (OI) of all odorants was derived from their concentration data via empirical equations introduced by Nagata. Both the absolute magnitude of odorant concentrations and their OI values were used concurrently to evaluate the occurrence pattern of each individual odorant. According to our analysis, RSCs including CH₃SH, H₂S, and DMS tend to exhibit the highest odor strengths among all 6 compounds investigated.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the emissions of major offensive odorants from urban stormwater catch brains can be explained at least partially by the temporal trend of human activity.
1. R. Fernandez, R. Pereiro and S. Medel, Anal. Chim. Acta, 471, 13-23(2002).
2. 나기정, 김두희, 環境科學硏究所論文集, 5, 1(1991).
3. 환경부,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
4. 이태윤, 김도용, 김재진, 이준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 10(2), 13-20(2009).
5. 이기한, 안지원, 박신영, 김기현, 한국냄새환경학회지, 7(1), 26-33(2008).
6. “개정악취방지법”,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7. K. H. Kim, J. Sep. Sci., 31(10), 1761-1768(2008).
8. 홍원필, 김기현, In press
9. R. Pal and K. H. Kim, Anal. Chim. Acta, 610, 289- 296(2008).
10. 김기현, 박신영, 김선태, 한국분석과학회, 18(5), 425- 430(2005).
11. K. H. Kim and S. Y. Park, Atmos. Environ., 42(20), 5061-5070(2008).
12. M. Jurgens, F. Jacob, P. Ekici, A. Friess and H. Parlar, Atmos. Environ., 41, 4571-4584(2007).
13. 박신영, 세종대학교 대학원(2008).
14. O. Hao, J. Chen, Li. Huang and R. Buglass, Critical Reviews in Environ. Sci. Tech., 26(1), 155-187(1996).
15. 박귀환, 오길영, 이지헌, 정경훈, 정선용, 한국냄새환경학회지, 4(4), 196-206(2005).
16. 박상진, 서정석, 한국대기환경학회 1, 217-218(1998).
17. “환경기초시설 악취 저감 방안 연구”,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2007).
18. 김정웅, Kweku Sekyama, 이도원, 김현욱, 한국냄새환경학회, 5(3), 180-192(2006).
19. S. Lau, E. Khan and M. Stenstrom, Water Sci. Technol. 44, 23-34(2001).
20. G. Schauberger, M. Piringer, E. Petz, J. Agric. Engng. Res., 74, 251-259(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