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은 식품, 의약품뿐 만 아니라 화장품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보존료이다. 그러나 이들 보존료들의 여러 가지 독성이 보고되면서,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들에서 식품 중의 이들 보존료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위하여 세가지 분석물질의 동위원소를 내부표준물질로 이용하는 동위원소 희석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ID-LC/MS)을 개발하였다. 메틸, 부틸 파라벤보다 pKa가 낮은 안식향산을 고려하여 acetic acid로 pH 4.0으로 조정한 5 mM ammonium acetate를 이동상 용매로 사용하여 C18 컬럼으로 분리하였다. 질량분석 조건으로는 전기분무이온화법으로 음이온을 생성하여 음이온 모드에서 분석하였으며, 방해물질로부터 선택성을 향상하기 위해 선택반응분석법 (Selected Reaction Monitor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의 색깔과 간장 중의 여러 가지 방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C18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최적화된 조건과 방법을 이용하여 싱가포르 Health Science Authority(HSA)가 제공하는 간장 기준시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원에서 측정한 결과값은 HSA가 제공하는 기준값과 불확도 내에서 일치하였다.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은 식품, 의약품뿐 만 아니라 화장품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보존료이다. 그러나 이들 보존료들의 여러 가지 독성이 보고되면서,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들에서 식품 중의 이들 보존료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위하여 세가지 분석물질의 동위원소를 내부표준물질로 이용하는 동위원소희석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ID-LC/MS)을 개발하였다. 메틸, 부틸 파라벤보다 pKa가 낮은 안식향산을 고려하여 acetic acid로 pH 4.0으로 조정한 5 mM ammonium acetate를 이동상 용매로 사용하여 C18 컬럼으로 분리하였다. 질량분석 조건으로는 전기분무이온화법으로 음이온을 생성하여 음이온 모드에서 분석하였으며, 방해물질로부터 선택성을향상하기 위해 선택반응분석법 (Selected Reaction Monitor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의 색깔과 간장 중의 여러 가지 방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C18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최적화된 조건과 방법을 이용하여 싱가포르 Health Science Authority(HSA)가 제공하는 간장 기준시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원에서 측정한 결과값은 HSA가 제공하는 기준값과 불확도 내에서 일치하였다.
1. A. L. Branen, R. M. Davidson, S. Salminen, and J. H. Thorngate III, Food additives, 2nd Ed., Marcel Dekker;USA, 2005.
2. J. Boverg, C. Taxvig, S. Christiansen, and U. Hass, Reproductive Toxicol., 30(2), 301-312 (2010).
3. A. Azzouz and A. J. Rascon, E. Ballesteros, J. Pharm. Biomed. Anal., 119, 16-26 (2016).
4. C. Haman, X. Dauchy, and C. Rosin, J.-F. Munoz, Water Res., 68, 1-11 (2015).
5. D. Bledzka, J. Gromadxinska, and W. Wasowicz, Environ. Int., 67, 27-42 (2014).
6. R. S. Tavares, F. C. Martins, P. J. Oliveira, J. Rama, J. P. Santos, and F. P. Peixoto, Reproductive Toxicol., 27(1), 1-7 (2009).
7. F. A. Anderson, Int. J. Toxicol., 27 (Suppl. 4), 1-82(2008).
8. Y. Guo and K. Kannan, Environ. Sci. Tchno., 47(24), 14442-14449 (2013).
9. M. G. Soni, I. G. Carabin, and G. A. Burdock, Food Chem. Toxicol., 43(7), 985-1015 (2005).
10. F. J. M. Mota, I. M. P. L. V. O. Ferreira, S. C. Cunha, M. Beatrix, and P. P. Oliveira, Food Chem., 82, 469-473 (2003).
11. L. K. Gardner, and G. D. Lawrence, J. Agri. Food Chem., 41, 693-695 (1993).
12. A. Panusa and L. Gagliardi, J. Pharm. Biomed. Anal., 47, 786-789 (2008).
13. P. D. Darbre, J. Appl. Toxicol., 28(5), 561-578 (2008).
14. A. L. Cashman, and E. M. Warshaw, Dermatitis, 16(2), 57-66 (2005).
15. N. Aubert, T. Ameller, and J.-J. Legrand, Food Chem. Toxicol., 50, 445-454 (2012).
16. N. Raza, K.-H. Kim, M. Abdollah, W. Raza, and R. J. C. Brown, TrAC Trends Anal. Chem., 98, 161-173(2018).
17. Korea Food Additives Code https://www.foodsafetykorea. go.kr/foodcode/04_03.jsp?idx=509.
18. G. Shanmugam, B. R. Ranaswamy, V. Radhakrishnan, and H.Tao, Microchem. J., 96(2) 391-396 (2010).
19. F. De Crpp. J. de Schutter, W. Van den Bossche, and P. De Moerloose, Chromatograpia, 18(5), 260-264 (1984).
20. R. Jain, M. K. R. Mudiam, A. Chauhan, R. CH, R. C. Murthy, and H. A. Khan, Food Chem., 141, 436-443(2013).
21. E. Sottofattori, M. Anzaldi, A. Balbi, and G. Tonello, J. Pharm. Biomed. Anal., 18, 213-217 (1998).
22. M. J. Akhtar, S. Khan, I. M. Roy, and I. A. Jafri, J. Pharm. Biomed. Anal., 14, 1609-1613 (1996).
23. C. Piao, L. Chen, and Y. Wang, J. Chromatogr. B, 969(15), 139-148 (2014).
24. C.-W. Chen, W.-C. Hsu, Y.-C. Lu, J.-R. Weng, and C.-H. Feng, Food Chem., 241, 411-418 (2018).
25. J. Lv, L. Wang, X. Hu, Z. Tai, and Y. Yang, Anal. Let., 45(14), 1960-1970 (2012).
26. A. Panusa and L. Gagliardi, J. Pharm. Biomed. Anal., 47, 786-789 (2008).
27. S. Cao, Z. Liu, L. Zhang, C. Xi, X. Li, G. Wang, R. Yuan, and Z. Mu, Anal. Methods, 5, 1016-1023 (2013).
28. C. Han, B. Xia, X. Chen, J. Shen, Q. Miao, and Y. Shen, Food Chem., 194, 1199-1207 (2016).
29. P. De Bivère, Anal. Proc., 30, 328-333 (1993).
30. K. G. Heumann, J. Mass Spectrom. Rev., 11, 41-67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