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의 품질 실태 조사 및 안전성 평가

A survey on status of quality and risk assessment in dentifrices and mouthwashe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23, v.36 no.6, pp.300-314
https://doi.org/10.5806/AST.2023.36.6.300
곽재은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박원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류회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한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최정은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김성단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황인숙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신용승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유통되고 있는 치약제 31품목(어린이치약 6품목 포함) 및 구중청량제 18품목(어린이구중청량제 2품목 포함)의 불소 함량, pH, 보존제와 타르색소의 함량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 실태를 조사하고 기준및 제품의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치약은 26건에서 48~1472 ppm, 구중청량제는 15건에서 85~225 ppm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었고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의 불소 검출률은 각각 83.9%, 83.3%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불소가검출된 치약제와 구중청량제 41건 중 40건은 표시량의 90.7~109.8%로 불소 함량 기준인 90.0~110.0%에적합하였으나, 치약 1건이 제품에 표시된 불소함량의 36.3%로 부적합을 나타내었다. 치약의 pH는 5.1~9.4, 구중청량제의 pH는 4.2~6.2로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6종의 보존제 함량을 동시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은 치약 6건과 구중청량제 9건 총 15건에서 30.6%의 검출률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소르빈산은 구중청량제 9건(검출률 18.4%)에서 검출되었으며,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4종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황색4호 등 10종의 타르색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치약 2건, 구중청량제 7건 총 9건에서 적색40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3호, 녹색3호, 청색1호등 6가지 종류가 검출되었으며, 청색 1호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에서 검출된 불소 농도, 첨가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제품의 표시사항과 일치하였고 표시면에 잘 기재되어 있었다. 검출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일일섭취량허용량과 비교하여 위해도가 낮아 안전한 수준이었다.

keywords
dentifrice, mouthwash, fluorine, preservatives, tar colors

Abstract

The quality of the product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fluorine content, pH, preservatives and tar colors in 31 dentifrice products (6 items for children) and 15 mouthwash products (2 items for children) marketed. It was intended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to consumers by checking whether the standards and product indications match.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fluoride concentration, 26 dentifrice and 15 mouthwash products contained from 48 to 1,472 ppm and from 85 to 225 ppm, respectively. Fluorine detection rates of dentifrice and mouthwash products were 83.9 and 83.3 %, respectively showing similar levels. Of the 41 fluoridedetected dentifrice and mouthwash products, 40 were 90.7~109.8 % of the displayed amount and suitable for the fluorine content standard of 90.0 to 110.0 %, but one dentifrice was found to be inappropriate at 36.3 % of the content indicated on the product. The pH of the dentifrice was 5.1~9.4, and the mouthwash was 4.2~6.2, which met all standards. As a result of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concentration of six preservatives, benzoic acid was detected the most in 15 cases with a 30.6 % detection rate, sorbic acid was detected in 9 cases (detection rate of 18.4 %), and all four types of methyl p-hydroxybenzoate, ethyl p-hydroxybenzoate, propyl phydroxybenzoate, butyl p-hydroxybenzoate were not det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10 types of tar colors, six types including red40, yellow4, yellow5, yellow203, green3, and blue1 were detected in a total of 9 cases (2 dentifrices and 7 mouthwashes) with blue1 being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Detected fluorine concentration, added preservatives and tar colors were consistent with the product markings and it was well written on product packaging. The detected preservatives and tar colors were at a safe level due to low risk compared to Acceptable Daily Intake.

keywords
dentifrice, mouthwash, fluorine, preservatives, tar colors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