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대학생의 주제통각검사(TAT) 반응

A study of the 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in Korean college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 이하 TAT) 주제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83명을 대상으로 1, 2, 3BM, 4, 6BM, 7GF, 8BM, 10, 11, 14의 10개 TAT 도판을 실시하였다. 실시된 각 도판의 반응을 주제 분석(Patton, 2002) 하였고, TAT 반응의 분류과정에서 두 연구자 간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ohen의 kappa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평정자간 kappa계수의 범위는 0.6~1.0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았다. 각 도판별 주제는 주인공, 성취욕구, 주요 정서, 이야기의 결과 그리고 죽음의 빈도 등 다섯 가지 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0개 도판에서 한국대학생의 TAT 공통주제가 나타났다. 일부 도판(3BM, 7GF)의 경우 인물들의 관계나 지각에 있어서 미국인의 TAT 주제(Stein, 1981)와 다소의 차이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도판에서 드러난 주제의 뚜렷한 차이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 시기나 대상이 다른 한국대학생에 있어서 심리검사도구로서 TAT의 적용성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이는 추후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며,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심리검사, 주제 분석, 일치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mon themes on the Thematic Apperception Test (TAT)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tudy included eighty-thre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en of the original TAT cards (Murray, 1943) were used: 1, 2, 3BM, 4, 6BM, 7GF, 8BM, 10, 11, and 14. In addition Korean TAT themes were compared with Japanese TAT themes (Gray, 1998), and American TAT themes (Stein, 1981). At the stage of classification of all TAT narratives, the level of agreement was determined using a Cohen's kappa statistic. The results of the kappa statistics show relatively high levels of agreement ranging from 0.6 to 1.0. The authors qualitatively analyzed all narratives for each of the ten cards using thematic analysis (Patton, 2002), and narratives were then analyzed using five themes: hero, need for achievement, dominant emotional tone, outcome of the story and the incidence of death. For thematic analysis, common TAT themes for the Korean students were identified for all ten of the cards that were administe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me content were identified in two cards: 3BM, 7GF. These findings show the adaptability of the TAT as a psychological assessment tool for Korean students, and open the door for future studies. Als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suggested.

keywords
psychological test, TAT, thematic analysis, the level of agreement
투고일Submission Date
2017-04-15
수정일Revised Date
2017-05-2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7-06-1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