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마음챙김 성향이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positional Mindfulness on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초록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정서 자극을 경험하였을 때에 극단적인 정서에 압도되지 않고 온전히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선행 연구들에서 마음챙김에 기반한 개입을 통해 정서 자극에 반응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지만 자기 보고로 측정한 마음챙김 성향과 정서 반응 간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101명의 참여자들에게 국제정서 사진체계(IAPS)의 긍정, 중립, 부정 자극을 정서가와 각성 두 가지 차원으로 평가하도록 한 후, 평가 결과가 마음챙김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정서가와 각성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고 마음챙김 집단 간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정서가의 경우 비판단 요인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고, 각성은 자각행위 및 기술 요인과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판단 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자극은 덜 부정적으로 그리고 긍정적 자극은 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자각행위와 기술 수준이 높은 경우엔 긍정 자극에 대한 각성 수준이 낮았다. 한편 마음챙김 성향은 IAPS 과제 전후로 측정한 기분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기보고로 측정된 마음챙김 성향이 하위 측면들에 따라 정서 반응의 각 차원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keywords
마음챙김, 정서반응, 정서가, 각성

Abstract

Mindfulness is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nt moment nonjudgmentally, so one who is mindful can aware entirely without feeling overwhelmed. If so, we can hypothesize a person with higher mindfulness responds to emotional stimuli different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facets of self-reported dispositional mindfulness on emotional response to emotional pictures. A total of 101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ed measurements of mindfulness and viewed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pictures from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IAPS), rating affective valence and arousal for each picture. Next, we examined whether emotional response is affected by dispositional mindfulness facet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a main effect for arousal and valence, no main effect for groups(mindfulness facets), interactions between valence and nonjudgmental facet, arousal and acting with awareness, describing. Participants with a higher nonjudgmental level view negative stimuli less negatively and positive stimuli less positively. Groups with higher acting with awareness and describe facets level experience lower arousal for positive stimuli. Negative affect increased and positive affect decreased after IAPS task; however, mindfulness facets did not moderate these effect. The finding suggest that emotional response is affected by dispositional mindfulness differently by each facet.

keywords
mindfulness, dispositional mindfulness, emotional response, IAPS, valence, arousal
투고일Submission Date
2017-08-14
수정일Revised Date
2017-09-0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7-09-0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