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PAI-A(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재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Restandardization Study of the Korea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PAI-A): Reliability and Validity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성격검사 질문지(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PAI-A; Morey, 2007)를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초중등통계를 근거로 전국의 중고등학생 2,223명을 유층표집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PAI-A와 함께 PAI-A의 척도들과 유사한 영역을 평가하는 14가지의 준거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판 PAI-A 척도들의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PAI-A의 척도들과 준거 척도들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사한 개념을 평가하는 척도들과는 상관이 높고, 상반되는 척도들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AI-A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제와 성격 특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keywords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 PAI-A, 청소년, 정신병리, 성격 특성, PAI-A, adolescent, psychopathology, personality trai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K-PAI-A). Based on the educational statistics, data from 2,22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nd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PAI-A were adequate. In order to examine validity of the K-PAI-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cales of the K-PAI-A and other tools that evaluate similar areas such as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ppropriat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PAI-A is a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tool for evaluating psychological problems and personality traits of adolescents.

keywords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 PAI-A, 청소년, 정신병리, 성격 특성, PAI-A, adolescent, psychopathology, personality trait

참고문헌

1.

교육통계서비스 (2016). 유초중등통계. Retrieved from http://cesi.kedi.re.kr/index

2.

권선중 (2015). 간이정신진단검사Ⅱ(KSCL95)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3.

김근향 (2013).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청소년의 적응문제에 대한 기질 및 성격 차원의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 455-464.

4.

김보경, 민병배 (2006). 청소년 우울과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 기질 및 성격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 221-236.

5.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임영란, 홍상황 (2001). PAI 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 311-329.

6.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이수정, 조은경, 홍상황 (2006). 청소년성격평가질문지 지침서. 서울: 인싸이트.

7.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이수정, 조은경, 홍상황 (2014). 청소년성격평가질문지 지침서(개정판). 서울: 인싸이트.

8.

김인석 (2001). 음주 및 음주문제의 위험요인과 취약성 요인에 관한 구조 방정식 모델링.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민병배, 이정흠,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청소년용 매뉴얼. 서울: (주)마음사랑.

10.

김지혜, 이은호, 황순택, 홍상황 (2015a). 한국판 벡우울척도 2판 지침서. 대구: 한국심리주식회사.

11.

김지혜, 이은호, 황순택, 홍상황 (2015b). 한국판 벡불안척도 지침서. 대구: 한국심리주식회사.

12.

김지혜, 이은호, 황순택, 홍상황 (2015c). 한국판 벡절망감척도 지침서. 대구: 한국심리주식회사.

13.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 298-314.

14.

박영신, 김의철 (2003).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81-114.

15.

변영주 (1995).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 및 스트레스의 상호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서초구립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연구지원팀, 서울대학교 실천사회복지연구회 (2003).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 척도집. 서울; 나눔의집.

17.

손애리 (2012). 청소년 성격병리 척도의 타당화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안동현 (2009). 청소년 정신건강장애. 대한의사협회지, 52, 745-757.

19.

안현의, 안창규 (2006). NEO 아동 및 청소년 성격검사의 해석과 활용. 서울: 인싸이트.

20.

유찬우, 김근향 (2014). 고등학생의 우울 및 불안이 음주동기 및 흡연동기에 미치는 영향: 걱정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73, 47-77.

21.

이은희, 손정민 (2011).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건강 영향 요인 연구 -탄력성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49-171.

22.

이종연 (2008). 빈곤가정 청소년의 일탈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C. D.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 60-78.

24.

전태선 (2013). PAI-A 약물문제척도(DRG)의 변별타당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현희 (1997). 청소년기의 정신건강과 예방. 한국심리학회지. 16, 98-119.

26.

한국청소년학회 (1996). 청소년 약물남용 실태와 예방대책 연구. 서울: 문화체육부.

27.

홍상황, 김영환 (2001). PAI 무선반응과 인상관리의 탐지: II. 탐지지표의 구성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 751-761.

28.

황순택, 김지혜, 안이환, 조선미, 한태희, 홍상황, 홍창희 (2010). 한국 청소년 성격검사(KAPI-S). 서울: 인싸이트.

2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30.

Cheung, F. M., Leung, K., & Cheung, S. F. (2005). The Cross-Cultural (Chines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Adolescent version (CPAI-A). Available from FM Cheung,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SAR.

31.

Cooper, M. L., Wood, P. K., Orcutt, H. K., & Albino, A. (2003). Personality and the predisposition to engage in risky or problem behavio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390-410.

32.

Dryfoos, J. G. (1991). “Adolescents at risk: A summation of work in the field programs and policie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2, 630-637.

33.

Fergusson, D. M., Horwood, L. J., Ridder, E. M., & Beautrais, A. L. (2005). Subthreshold Depression in Adolescence and Mental Health Outcomes in Adulthood. Arch Gen Psychiatry, 62, 66-72.

34.

Groves, J. A., & Engel, R. R. (2007). The German Adapt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8, 49-56.

35.

Hammen, C. (1990). Generation of stress in the course of unipolar affective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 1112-1117.

36.

Hopwood, C. J., Wright, A. G. C., Krueger, R. F., Schade, N., Markon, K. E., & Morey, L. C. (2013). DSM-5 Pathological Personality Traits and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ssessment, 20, 269-285.

37.

Kotov, R., Gamez, W., Schmidt, F., & Watson, D. (2010). Linking “big” personality traits to anxiety, depressive,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36, 768-821.

38.

Krueger, R. F., Caspi, A., Moffitt, T. E., Silva, P. A., & McGee, R. (1996). Personality traits are differentially linked to mental disorders: A multitrait-multidiagnosis study of an adolescent birth cohor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5, 299-312.

39.

Krueger, R. F., Derringer, J., Markon, K. E., Watson, D., & Skodol, A. E. (2012). Initial construction of a maladaptive personality trait model and inventory for DSM-5. Psychological Medicine, 42, 1879-1890.

40.

Morey, L. C. (1991).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1.

Morey, L. C. (2007).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Adolescent professional manual. Lutz,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2.

Robins, L. N. (1991). Conduct disorde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2, 193-212.

43.

Williamson, D. E., Dahl, R. E., Birmaher, B., & Goetz, R. R. (1995). Stressful life events and EEG sleep in depressed and normal control adolescents. Biological Psychiatry, 37, 859-86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