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와 우울, 일상적 스트레스, 신경증 성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Daily Stress, and Neurotic Tendencies in High School Students

초록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요인으로 우울과 일상적 스트레스, 신경증 성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개월 간 2회 조사를 실시하는 단기 종단적 연구로써 청소년의 자살사고의 변화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경북 소재 4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427명을 대상으로 자살사고 척도, 우울 척도,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신경증 척도로 구성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별과 학년 간에 자살사고 현황을 알아보았으며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요 관심사인 시점 1 및 시점 2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자살사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살사고와 우울, 일상적 스트레스, 신경증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고등학생의 우울과 일상적 스트레스, 신경증 성향 순으로 시점 1의 자살사고를 유의하게 설명했다. 시점 2의 자살사고는 시점 1의 자살사고, 우울, 일상적 스트레스, 신경증 성향 순으로 유의한 설명량을 보였다. 단, 시점 1과 시점 2간의 자살사고는 변화 없이 3개월간 유지되는 양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청소년, 자살사고, 우울, 일상적 스트레스, 신경증, 단기종단 연구,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daily stress, neurotic tendencie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daily stress, and neurotic tendencies as a contributing factor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It conducted survey twice over three months as a short-term longitudinal design. It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changes and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427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four high school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collected data consisting of suicide ideation scale, depression scale, daily stress scale, and neurotic tendency scale. The current status of suicidal ideation surveyed across gender and grade, there were no differences. Correlationa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at time 1 and 2 which are the main concer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daily stress, and neurotic tendencies.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t time 1, depression, daily stress, and neurotic tendencies led them to suicidal ideation. The suicidal ideation at time 2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explanation in the order of suicidal ideation at time 1, depression, daily stress, and neurotic tendencies. However, the suicidal ideation between time 1 and 2 was maintained for three months without chang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current issue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청소년, 자살사고, 우울, 일상적 스트레스, 신경증, 단기종단 연구,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daily stress, neurotic tendencies

참고문헌

1.

김남희, 민지연, 신종호, 최효식 (2013).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부호화 및 인출 전략 간의 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4(1), 331-352.

2.

김민주 (2018). 청소년의 오프라인 및 온라인 괴롭힘 피해경험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29-52.

3.

김수진, 이주영 (2018). 청소년의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걱정과 파국화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7(1), 54-65.

4.

김치건 (2018).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족탄력성,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제61호, 51-80.

5.

김혜원, 조현주, 홍은영 (2019). 청소년이 지각한 위험 요인과 자살위험성의 관계에서 외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천안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6(2), 1-24.

6.

김희경, 김성훈 (2019). 청소년의 자기감과 수면 상태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30(2), 33-57.

7.

박병금 (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05-522.

8.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298-314.

9.

배성만 (2016). 정서적 문제, 비행, 학업스트레스 및 진로성숙도가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6), 317-332.

10.

배정이, 김윤정(2009). 청소년 우울의 인과적 구조분석. 대한스트레스 학회, 스트레스硏究 17권 3호, 295-305.

11.

통계청 (2017). 2017 청소년 통계. 통계청.

12.

보건복지부 (2018).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정보 보고서: 자살시도율.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 (2019). 제15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보건복지부.

14.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직 관계에 대한 분석.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9(1), 1-19.

15.

심미영, 김교헌 (2005). 한국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성과 발달시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13-325.

16.

오승환 (2009). 정서적 문제, 비행, 학업스트레스 및 진로성숙도가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학교 사회복지, 제16권, 53-73.

17.

육성필 (2002). 자살관련변인의 탐색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유태용, 이기범 (2004). 한국판 HEXACO 성격검사의 구성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61-75.

19.

이소우, 김미희 (1996). 약물남용 청소년의 주관적경험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大韓身心스트레스學會誌 4(1), 23-40.

20.

이흥표 (2014). 신경증 외래 환자 집단에서 사회적 배척과 자살 사고와의 관계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24.

21.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2.

전선영, 홍영수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9, 25.

23.

정의롬 (2015). 청소년 스트레스 요인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 연구, 22(2), 193-214.

24.

중앙자살예방센터 (2016). 2016년 전 세계 국가 자살률. 중앙자살예방센터.

25.

중앙자살예방센터 (2018). OECD 자살통계. 중앙자살예방센터.

26.

최진영, 김기현 (2019). 부모의 간접적 애정표현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66, 185- 217.

27.

하정희, 안성희 (2008).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149-1171.

28.

한미현, 유안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17(1), 173-188.

29.

한상영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신체증상, 정신건강 비교분석: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 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12), 5800-5807.

30.

Ang, R. P., Huan, V. S. (2006).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esting for depression as a mediator using multiple regression.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7(2), 133-143.

31.

Angold, A., Costello, E. J., Erkanli, A., & Worthman, C. M. (1999). Pubertal changes in hormone levels and depression in girls. Psychological medicine, 29(5), 1043-1053.

32.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33.

Costa Jr, P. T., & McCrae, R. R. (1992). Four ways five factors are basic.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3(6), 653-665.

34.

Goldberg, L. R. (1999). A broad-bandwith, public-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everal Five-Factor models. In I. Mervielde, I. J. Deary, F. de Fruyt, & F. Ostendorf (Eds.). Personality psychology n Europe (Vol. 7, pp. 7–28). Tilburg: Tilburg University Press

35.

Kuo, Gallo, & Tien (2001) Incidence of suicide ideation and attempts in adults: the 13-year follow-up of a community sample in Baltimore, Maryland. Psychological Medicine, 31, 1181–1191.

36.

McCrae, R. R., & Costa, P. T. (1987).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1), 81-90.

37.

Meneese, W. B., Yutzenka, B. A. 1990.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mong Rural Adolescents. Suicide and Life-Threatenting Behavior, 20(3), 206-212.

38.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39.

Rowlison, R. T., & Felner, R. D. (1988). Major life events, hassles, and adaptation in adolescence: Confounding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and adjustment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432-444.

40.

Waldvogel, Rueter, & Oberg. (2008). Adolescent Suicide: Risk Factors and Prevention Strategies. Current Problem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Health Care, 38(4), 110-12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