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심리적 장애와 관련된 행동동기체계, 자기통제와 내재화(우울, 불안), 외현화(공격성) 문제의 관계를 탐색하여 추후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특히 Carver 등(2008)이 제안한 자기조절의 이중양식 모형이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을 설명할 수 있을지에 대해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행동동기체계인 행동억제체계와 행동활성화체계, 자기통제, 우울, 불안, 공격성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23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통해 행동억제체계 민감성, 행동활성화체계 민감성, 자기통제, 우울, 불안, 공격성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행동억제체계 민감성, 행동활성화체계 민감성은 우울, 불안, 공격성과 차별적인 설명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행동억제체계 민감성과 우울, 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으나, 행동활성화체계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ehavioral activation/inhibition systems and self-control are associated with a wide range of psychologic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many psychological problems, especially the role of behavioral activation/inhibition systems and self-control in psychological problems. In particular, it sought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two-mode models of self-regulation proposed by Carver et al. (2008) could explain various forms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of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self-control, internalization problems (e.g., depression, anxiety),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e.g., aggression). A total of 435 under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BIS/BAS Scale, Brief Self-Control Scale, Aggression Questionnair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havioral inhibition and behavioral activation system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Furthermore,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self-control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state anxiety and aggression differently. Finally, self-control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and state anxiety. Howev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agg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높은 사람들이 보이는 사회불안을 이해하고 돕기 위해 그들과 사회불안을 연결하는 중간기제로서 거절민감성의 매개 작용을 탐색하고, 치유 요인으로서 기질적 마음챙김이 이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교 재학생과 일반 성인 391명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 거절민감성 질문지(RSQ),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5요인 마음챙김 질문지(K-FFMQ)를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해서, 내현적 자기애가 높으면 거절에 대한 불안과 기대가 높아져서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거절민감성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는 기질적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되었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거절민감성이 증가되어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나, 이 때 마음챙김의 수준이 높으면 사회불안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완화됨이 시사되었다. 끝으로 마음챙김의 조절된 부분 매개효과가 갖는 임상적 시사점, 현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o understand and alleviate social anxiety (SA) experienced by covertly narcissistic people (CN), we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RS) as a possible mechanism and investigated whether dispositional mindfulness (DM) could moderate this mediating process. We administered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Five-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to 391 cyber university students and community adults through an online survey. RS was found to have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CN on SA.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via RS on SA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one’s DM, which thereby supported the assum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hen the level of DM was high, the adverse influence on SA through RS decreased.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와 사후반추사고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02명의 남, 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사후반추사고 척도, 학업스트레스 척도, 자기위로능력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사후반추사고, 학업스트레스는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위로능력은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사후반추사고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후반추사고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수준에 따라 효과의 크기가 달라지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변인 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영향력을 조절해 줄 수 있는 치료적 요인을 발굴함으로써 치료적 장면에서 자기위로능력 요인을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시사되는 개입의 방향, 연구의 한계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sought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through post-event rumination. To this end, 30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using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the post-event rumination scale, the academic stress scale, and the self-soothing abili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version 23.0 and SPSS Macro,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ost-event rumination, and academic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while self-soothing abil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Secon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on the proces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roved to affect academic stress. Third, as to the effects of post-event rumination on academic stress, the adjustment effect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soothing ability.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was verified. The indirect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wa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oothing ability,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This study has provided empirical evidence for utilizing the self-soothing ability factors in therapeutic scenario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stress, and by identifying the therapeutic factors that can control these influenc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esent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