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129명의 만성 조현병 환자(평균 유병 기간 17.69년)를 대상으로 내재화된 낙인과 속박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상관분석에 따르면, 내재화된 낙인, 속박감, 우울은 행복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내재화된 낙인과 속박감은 우울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Macro 분석 결과, 내재화된 낙인과 행복의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내재화된 낙인은 행복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우울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속박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속박감은 행복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우울을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성 조현병 환자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내재화된 낙인과 속박감을 줄이고 우울감을 완화할 수 있는 개입들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tigma and entrapment on happiness in 129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The mean duration of illness was 17.69 year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internalized stigma, entrapment,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while internalized stigma and entrapment were positive correlated with depression. As a result of the PROCESS macro analysis,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tigma and happiness. Internalized stigma had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depression. Moreover,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apment and happiness. Entrapment had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and an indirectly effect through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inica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reduction of internalized stigma and entrapment but also relief from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