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의 경험과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차별적인 매개효과
전선영(아주심리상담센터) ; 김은정(아주대학교) pp.559-588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559
초록보기
초록

심리적 학대의 하위유형인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은 질적으로 다른 양육자와 아동의 해로운 상호작용방식으로, 이후 정서발달과 우울 증상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가해 행위로 이루어진 정서학대는 우울한 기분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 부재 행위로 이루어진 정서방임은 우울한 기분과 무쾌감성 우울 증상과 관련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의 경험과 우울 증상(우울한 기분, 무쾌감성 우울 증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정서조절능력의 차별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323명의 대학생들에게 아동학대 유형, 아동기 외상경험, 우울한 기분, 무쾌감성 우울 증상, 정서인식명확성, 부정정서강도, 적응 및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결과, 정서학대와 우울한 기분 간의 관계를 부정정서강도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이 연속 매개하는 동시에 부정정서강도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이 각각 단순 매개하였다. 반면, 정서방임과 무쾌감성 우울 증상 간의 관계를 낮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의 부족이 각각 단순 매개하였다. 정서방임과 우울한 기분 간의 관계를 낮은 정서인식명확성이 단순 매개하였다. 이는 아동기 정서학대와 정서방임이 다른 기제를 통해 대학생의 우울한 기분과 무쾌감성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re subtypes of psychological maltreatment, which are qualitatively different ways of detrimental interactions between caregiver and child, suggesting that they have different effects on later emotional development and depressive symptoms. Emotional abuse consisting of acts of commission was associated with depressed mood, whereas emotional neglect consisting of acts of omission was associated with depressed mood and anhedonic de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inct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ive symptoms(depressed mood and anhedonic depression). Three hundred and twenty-three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measures of childhood maltreatment, childhood trauma, anhedonic depression, depressed mood, negative affective intensity,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howed that negative affective intens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epressed mood. Also negative affective intens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imp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depressed mood, respectively. Whereas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lack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imp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anhedonic depression, respectively. And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ed m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inct emotion regulation migh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ed mood and anhedonic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주도성과 친화성 특성에 따른 병리적 자기애의 암묵적․명시적 자존감
전유겸(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임종민(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pp.589-613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5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병리적 자기애의 표현형인 자기애 웅대성 집단과 자기애 취약성 집단을 대상으로 실패 경험에서 암묵적 및 명시적 자존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아울러 자기애 웅대성이 높은 사람은 이상적인 자기상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에 따라 주도성 자기애와 친화성 자기애로 나뉠 것이라는 주도성-친화성 모델에 따라, 병리적 자기애와 주도성(Agency) 및 친화성(Communion)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303명에게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를 실시한 후, 자기애 웅대성 집단(16명)과 자기애 취약성 집단(15명), 통제 집단(17명)을 선정하였다. 암묵적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주도성과 친화성 각각의 단어로 구성된 암묵적 연합 검사(주도성 IAT, 친화성 IAT)를 제작했으며 명시적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 자존감 척도(RSES)를 사용하였다. RSES와 IAT를 실시한 후 해결 불가능한 애너그램 과제를 제시하여 실패 경험을 유도하였고 RSES와 IAT를 반복 측정하여 자존감 변화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병리적 자기애의 표현형에 따라 암묵적 자존감 변화의 방향이 달랐다. 특히 주도성 IAT에서는 자기애 웅대성 집단이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 친화성 IAT에서는 자기애 취약성 집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병리적 자기애 집단의 자존감이 불안정하며, 표현형에 따라 실패 경험에 대처하는 기제가 다름을 보여주는 한편, 병리적 자기애가 주도성 및 친화성과 연관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implicit and explicit self-esteem changes in the experience of failure in the narcissistic grandiosity group and the narcissistic vulnerability group, which are the phenotypes of pathological narcissis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gency-communion model, people with high narcissistic grandiosity were divided into agency narcissism and communion narcissism according to the means to maintain their ideal self-im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agency and communion was conducted. After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 (PNI) was administered to 303 university students, the narcissistic grandiosity group (n = 16), narcissistic vulnerability group (n = 15), and control group (n = 17) were selected. To measure implicit self-esteem, an implicit association test (Agency IAT, Communion IAT) consisting of each word of agency and communion was produced, and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was used to measure explicit self-esteem. After RSES and IAT, unsolvable anagram tasks were presented to induce failure experiences, an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esteem was examined by repeatedly measuring RSES and IA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implicit self-esteem chan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henotype of pathological narcissism. In particular, the narcissistic grandiosity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gency IAT, whereas the narcissistic vulnerability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mmunion IAT. It shows that the self-esteem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tic group is unstable, while different phenotypes show different mechanisms for coping with failure experiences. This suggests that pathological narcissism is associated with agency and communion.

아동기 및 성인 ADHD 증상에 따른 대학생 OCD 집단의 실행기능 결함, 우울 및 불안의 차이
김선주(마음의 위로 임상심리연구소) pp.615-635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6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OCD 성향 집단의 아동기 ADHD 및 성인기 ADHD 증상의 유병율을 확인하고, 아동기 ADHD 증상을 동반하는 OCD 성향 집단, 성인기 ADHD 증상을 동반하는 OCD 성향 집단, ADHD가 없는 OCD 성향 집단 및 정상집단 간 실행기능의 결함, 우울 및 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대학생 1082명 중 강박성향군(SCL-90-R OCD score > 18) 121명과 정상집단 50명을 선발하여 총 171명(남64명, 여107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ADHD 증상(Childhood Symptom Scale), 성인기 ADHD 증상(K-AADHDS), 실행기능 결함(K-BDEFS), 강박증과 우울 및 불안(SCL-90-R)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기 ADHD 증상을 동반하는 OCD 성향 집단의 억제결함과 강박증상이 성인기 ADHD 증상을 동반하는 OCD 성향 집단, ADHD가 없는 OCD 성향 집단 및 정상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아동기 및 성인기 ADHD를 동반하는 OCD 성향 집단이 ADHD가 없는 OCD 성향 집단에 비해 실행기능 결함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결함을 보였다. 따라서 OCD 성향 집단의 실행기능 결함은 동반 ADHD로 인한 영향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불안과 우울은 정상집단 보다 OCD 성향 집단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OCD 성향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우울이나 불안은 ADHD 증상보다 강박증상과 관련성이 더 높아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DHD and adult ADHD symptoms in the OCD tendency group of college students. And this is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xecutive function deficits,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the OCD group with childhood and adult ADHD symptoms and the OCD group without ADHD and the normal group.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1(64 males and 107 females)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including 121 with OCD and 50 from the normal group among 1,082 community college students. They conducted self-reported assessments of childhood ADHD symptoms, adult ADHD symptoms(K-AADHDS), executive function deficits(K-BDEFS), OCD, depression and anxiety(SCL-90-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hibition deficit and obsessive- compulsive symptoms in the OCD group with childhood ADH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other groups. Also, the OCD group with childhood and adult ADH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ficits of self-organization/problem-solving, inhibition, self-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of emotion in executive function than the OCD group without ADHD.

억제통제훈련이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동환(계명대학교) ; 윤혜영(계명대학교) pp.637-658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6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제성 도박자들을 대상으로 억제통제훈련을 실시하고, 이러한 훈련이 반응억제수준과 도박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참가자는 불법 온라인 도박 게임인 파워볼이나 사다리게임 경험이 있으며 한국판 캐나다 문제도박지수(Korean-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K-CPGI) 척도에서 3점 이상을 기록한 만 18세 이상 성인 20명이었다. 참가자는 각각 훈련집단 도박NoGo(n = 10)과 통제집단 도박Go(n = 10)에 무작위 할당 되었다. 억제통제훈련 전후로 멈춤신호 과제(SST, Logan, Schachar, & Tannock. 1997)와 슬롯머신 게임(AllJ slots 2.2)을 실시하여 참가자들의 반응억제 능력과 도박행동을 측정하였다. 훈련집단(도박NoGo 조건)에서는 도박자극이 제시될 때 반응을 하지 않다가 중립자극이 제시될 때 반응을 하도록 억제통제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도박Go 조건)에서는 반대로 훈련하였다. 연구결과, 억제통제훈련 처치 후 훈련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반응억제 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도박게임횟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억제통제훈련이 문제성 도박자들의 반응억제수준과 도박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hibitory control training on the inhibitory control and gambling behavior of problem gamblers. The participants were 20 adults over the age of 18 with experience in Powerball and ladder games, namely illegal online gambling games who scored three or higher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K-CPGI).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aining group (Gambling NoGo, n=10) or the control group (Gambling Go, n=10). The participants’ inhibitory control and gambling behavio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nhibitory control training with a stop signal task (SST) and a slot machine game (AllJ slots 2.2), respectively. The training group (Gambling no go condition) received inhibitory control training to not react when a gambling stimulus was presented and react when a neutral stimulus was presented, whereas the control group (Gambling go condition) received reverse training.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training, inhibitory control increased in the train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gambling frequency of the train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ory control training may affect the inhibition ability and gambling behavior of problem gambl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paper.

코로나 19 스트레스 척도(COVID Stress Scales, CSS)의 타당화: 한국 성인표본을 대상으로
지은혜(한림대학교) ; 조용래(한림대학교) ; 김선영(하와이대학교 심리학과) pp.659-681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659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19(코로나 19)의 장기적인 팬데믹 동안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들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코로나 19 관련 여러 가지 스트레스 및 불안 반응들을 다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Taylor 등(2020b)이 개발한 36문항의 COVID Stress Scales(CSS)는 연구와 임상 실무의 측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 527명을 대상으로 CSS의 요인구조, 내적 일치도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SS의 원저자들이 보고한 CSS의 원래 개념화 및 요인구조, 그리고 다른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요인 모형들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 19의 위험에 대한 공포, 사회경제적 결과에 대한 공포, 오염에 대한 공포, 외국인 혐오, 외상적 스트레스증상, 그리고 강박적 확인 및 안심추구 등으로 이루어진 6요인 모형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각 요인에 기초한 6가지 하위요인들의 내적 일치도는 양호하였고, CSS의 하위요인들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 역시 전반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CSS가 한국 성인들이 코로나 19와 관련하여 겪고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와 불안 관련 반응들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Abstract

It has been reported that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people are suffering from various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the long-term pandemic of COVID-19. In this context, the 36-item COVID Stress Scales (CSS) were recently developed by Taylor and colleagues (2020) to measure COVID-19-related stress and anxiety responses. This scale has been drawing much attention for its utility in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SS in a sample of 527 Korean adul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fit of the alternative factor models, based on the original conceptualization and factor structure of the CSS reported by the original developers and the result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Among them, a 6-factor model consisting of fear of COVID-19-related dangerousness, fears of socioeconomic consequences, fear of contamination, COVID-19 xenophobia, symptoms of traumatic stress about COVID-19, and compulsive checking and reassurance seeking, provided the best fit to the collected data.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CSS was good, and their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supported. These results support the CSS 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various stress and anxiety responses related to COVID-19 experienced by Korean adults.

한국판 실존불안 질문지 타당화 및 관련 변인 탐색
강규림(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명호(중앙대학교) pp.683-711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6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실존불안을 측정하는 실존불안 질문지(Existential Concerns Questionnaire: ECQ)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실존불안이란 ‘죽음, 무의미, 죄책감, 고립, 정체성과 같은 삶의 궁극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동반하는 부정적 감정’으로, ECQ는 해당 영역을 측정하는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내 성인 497명의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요인 Bifactor 모형이 가장 적합했다. 모형기반 신뢰도와 설명된 공통분산을 산출해 척도의 속성과 요인구조를 평가한 결과, 원척도와 같이 일반요인으로 대표되는 총점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했다. K-ECQ는 내적 일치도와 수렴 및 변별타당도가 모두 우수했으며, 임상 수준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있는 집단과 아닌 집단을 91% 정확하게 변별하였다. 이어 민감도와 타당도를 사용해 절단점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K-ECQ가 실존불안의 고유한 영향력을 측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CQ는 추후 실존불안에 취약하다고 알려진 우울, 불안, 강박, 섭식, 신체화 장애 등의 연구에서 초진단적 역할을 확인하여 치료 및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validate the Existential Concerns Questionnaire (ECQ), which measures Existential Anxiety(EA), in Korea. EA is ‘the negative emotions accompanied by an awareness of the ultimate concerns of life,’ and ECQ consists of 22 items measuring those concern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497 Korean adults, the two-factor Bifactor model was most appropriate. Additionally, the Omega coefficients and Explained Common Variance were computed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The result shows that most variances of K-ECQ reflected a general factor, so it is reasonable to use a total score like ECQ. K-ECQ showed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ies, and discriminated between the clinical posttraumatic stress group and nonclinical group by 91%. It was found that K-ECQ measures the unique effect of EA. In future studies, K-ECQ would contribute to treatment and prevention by confirming the transdiagnostic role in depression, anxiety, obsessive compulsion, eating, and somatic disorders known to be vulnerable to EA.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회복력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성우(충북대학교) ; 유성은(충북대학교) pp.713-745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7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별소수자 특수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자살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성별소수자의 자살생각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성별소수자가 겪는 외부 및 내부 스트레스와 회복력 요인을 측정하는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회복력 척도(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GMSR)를 번안하여 국내 성별소수자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다음으로 성별소수자의 외부 스트레스가 내부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매개모델에서 성별소수자 스트레스 모델의 회복력 요인인 성별소수자 정체성에 대한 자긍심과 성별소수자 공동체 연결성이 보호요인으로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자살에 대한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이 위험요인으로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성별소수자 성인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MSR 척도의 요인 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는 적합하였다. 하지만 원척도에서 제안한 9요인 모델은 본 자료에 적합하지 않았고, 성별소수자 외부 스트레스, 내부 스트레스, 회복력 요인 각각에 대한 단일 요인 모델이 한국 성별소수자 인구에서 적합한 요인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성별 소수자 외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내부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에서 회복력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에서는 짐이 되는 느낌만이 유의하게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소수자가 경험하는 내부 스트레스와 짐이 되는 느낌이 이들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Gender minorities face the problem of various discrimination in mainstream society, which is divided into men and wome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is study validated the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GMSR) measure, a self-report measure of stress and resilience of gender minorities in a Korean population. Second, based on the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model and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model of suicid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minority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gender minority resilience factors, such as pride and community connectedness would protect against suicidal ideation in the face of gender minority stress, and that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would function as facilitators for suicidal ideation. Using two hundred Korean gender minority data,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GMSR is a valid measure of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in a Korean gender minority population. However, the nine-factor model of the GMSR did not meet the standards of good measurement. Instead, the one-factor model of gender minority external stress, internal stress, and resilience, respectively, had appropriate model fits, suggesting these three factors retain independent psychological concepts. The results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factors revealed that internal str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nd only perceived burdensome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mediation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 minority-specific stress, especially internal str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are important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the gender minority population in Korea.

고통 과잉감내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인지적 경직성, 완벽주의 및 정서조절 곤란을 중심으로
김현성(서울대학교병원) ; 조현석(서울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pp.747-767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747
초록보기
초록

고통 과잉감내력(distress overtolerance)은 고통을 회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지속적으로 감내하는 경향성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통 과잉감내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들(인지적 경직성, 부정 완벽주의 성향, 정서조절 곤란)을 탐색하며 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고통 과잉감내력 척도(Distress Overtolerance Measure: DOM)를 새롭게 번안하고, 그 요인 구조와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N = 273). 번안된 척도는 원 척도의 요인 구조와 동일하게 2요인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2에서는 인지적 경직성 및 부정 완벽주의 성향, 정서조절 곤란과 고통 과잉감내력의 관계를 탐색하고,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 분석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N = 273). 상관 분석 결과, 인지적 경직성과 부정 완벽주의 성향이 고통 과잉감내력 및 정서조절 곤란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인지적 경직성과 고통 과잉감내력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이 완전매개하였으며, 부정 완벽주의 성향과 고통 과잉감내력의 관계에서는 정서조절 곤란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Distress overtolerance refers to the tendency to continue tolerating excessively despite being able to avoid distres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distress overtolerance. In Study 1, the Distress Overtolerance Measure (DOM) was newly translated and validate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upported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DOM and demonstrate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2 explored the association of distress overtolerance with cognitive rigidity, negative perfectionism, and emotion dysregulation. It also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dysregula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gnitive rigidity and negative perfectionis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tress overtolerance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cognitive rigidity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distress overtolerance via emotion dysregulation, and negative perfectionism had a direct effect on distress overtolerance with an indirect effect via emotion dysregul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COVID-19 상황에서의 우울, 불안, 회복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안찬영(강원대학교) ; 최윤경(계명대학교) ; 이종선(강원대학교) pp.769-790 https://doi.org/10.15842/CPKJOURNAL.PUB.8.4.7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중인 성인을 대상으로 COVID-19 상황 속에서 우울, 불안, 회복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이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는지를 확인하고 각 계층이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지각된 위험에 의해 유의하게 분류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509명의 성인이 참여하였으며 분석에는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총 3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우울, 불안이 가장 높고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가장 낮은 계층은 전체 참여자의 8.7%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 불안이 가장 낮고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가장 높은 계층은 전체 참여자의 61.6%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잠재계층을 구분함에 있어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지각된 위험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VID-19 및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미래 전염병 상황에서의 개인의 부정 정서를 다루고,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을 구상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among adults based on depression, anxiety,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Furth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each latent class would be significantly classified with the fear of infection and perceived risk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pandemic. A total of 509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Second, 8.7% of all participants who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lso indicated, the lowest levels of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61.6% of all participants who exhibited the lowest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lso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in classifying each latent class, fear of infection and perceived risk had significant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elp to identify high-risk individuals vulnerable to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related to COVID-19. Developing interventions to improve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s necessary to prepare for similar situations in the futur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