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국내 거주 중인 성인을 대상으로 COVID-19 상황 속에서 우울, 불안, 회복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이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는지를 확인하고 각 계층이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지각된 위험에 의해 유의하게 분류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509명의 성인이 참여하였으며 분석에는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총 3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우울, 불안이 가장 높고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가장 낮은 계층은 전체 참여자의 8.7%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 불안이 가장 낮고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이 가장 높은 계층은 전체 참여자의 61.6%가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잠재계층을 구분함에 있어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지각된 위험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VID-19 및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미래 전염병 상황에서의 개인의 부정 정서를 다루고, 회복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을 구상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among adults based on depression, anxiety,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Furth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each latent class would be significantly classified with the fear of infection and perceived risk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pandemic. A total of 509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Second, 8.7% of all participants who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lso indicated, the lowest levels of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Furthermore, 61.6% of all participants who exhibited the lowest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also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in classifying each latent class, fear of infection and perceived risk had significant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elp to identify high-risk individuals vulnerable to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related to COVID-19. Developing interventions to improve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s necessary to prepare for similar situations in the futur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