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포항 지진 경험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신적 웰빙의 양상: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예측변인과 정신건강 결과에 관한 검증

Pattern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Mental Well-being in Adults Exposed to the Pohang Earthquake: Findings on Predictors and Mental Health Outcomes from a Latent Profile Analysis

초록

본 연구는 2017년도 경북 포항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을 경험한 포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신적 웰빙을 토대로 잠재집단을 도출하고, 각 잠재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검증하며, 잠재집단들 간에 우울증상과 일상생활 적응 곤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포항 지진 경험자들 242명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신적 웰빙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3단계 잠재프로파일 분석(three-step latent profile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집단 구분에 대한 예측변인으로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심리적 유연성 부족 및 외상 후 부정적 신념, 그리고 집단 구분에 따른 결과변인으로 우울증상과 일상생활 적응 곤란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포항 지진 경험자들은 세 가지 잠재집단, 즉 ‘양호집단’, ‘쇠약이 있는 부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집단’, 그리고 ‘쇠약이 있는 완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성별과 연령은 집단을 분류하는데 부분적으로 기여하였으며, 심리적 유연성 부족과 외상 후 부정적 신념은 모든 집단을 분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우울증상과 일상생활 적응 곤란은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진 경험자들 중에서 고위험군을 식별하는데 뿐 아니라, 각 잠재집단에 대한 맞춤형 치료 개입과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험적인 근거 자료를 제공한다.

keywords
포항 지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정신적 웰빙, 잠재프로파일 분석, Pohang earthquak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Mental well-being, Latent profile analysi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istinct latent profiles based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PTSS) and mental well-being among residents who experienced an earthquake in Pohang, South Korea in 2017, an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profile membership.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latent profiles in terms of depressive symptoms and daily functional impairment. A total of 242 resi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Pohang earthquake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TSS, mental well-being, psychological inflexibility, posttraumatic negative beliefs, depressive symptoms, daily functional impairment, and demographic variables(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family income). A three-step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tilized. Three profiles were identified: a ‘moderately mentally healthy group’, ‘partial PTSD with languishing group’, and ‘full PTSD with languishing group’. Gender and age partially contributed to profiles classification, and psychological inflexibility and posttraumatic negative beliefs predicted all profile memberships. Furthermore, both depressive symptoms and daily functional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help identify high-risk groups amo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an earthquake, and establish tailored treatment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for each latent profile.

keywords
포항 지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정신적 웰빙, 잠재프로파일 분석, Pohang earthquak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Mental well-being, Latent profile analysi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