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비판적 지성과 젠더, 그 재현의 문제- 박순녀의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Representation Problem of Critical Intellect and Gender: Focusing on Park Sun-yeo’s Novels in the 1960s–70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2, pp.65-99
서은주 (용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의 담론 장 혹은 문학 장에서 교육받은 여성이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지성의 결핍’이라는, 여성에 대한 매우 오래된 고정관념의 문제성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사실 이 시기 지식인·엘리트여성은 성장주의적 근대화 프로젝트라는 틀 안에서 국가 이데올로기로의 강력한 동원체제와 자본주의적 속물성에 노출되었고, 다른 어떤 계층보다 쉽게 그것에 순응한 측면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동시에 고등교육의 수혜와 사회적·문화적 자극 등을 통해 계급적·젠더적 자의식이 형성·분화되어 저항적 지향성도 표출되었다. 당대 담론 장에서는 교육받은 여성의 반지성과 속물성을 지적하는 글들이 제출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이러한 고정관념을 확대·재생산하는 데 일조한다. 그러나 교육받은 여성에 대한 부정적 재현만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이 시기 박순녀 소설은, 교육받은 여성 인물들을 통해 젠더·정치체제·물질주의 등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시시비비(是是非非)’함으로써, ‘비판적 지성’을 인상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다만 박순녀 소설이 지식인 여성과 하층계급 여성들과의 관계 맺기나 연대에 소극적이어서, 그에 대한 기억할만한 문학적 재현을 갖지 못한 점은 아쉽다. 그럼에도 분명 「어떤 파리」로 대표되는 그녀의 이 시기 소설은 ‘비판적 지성’의 한 사례로서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educated women, critical intellect, gender, the 1960s–70s, snobbishness, 교육받은 여성, 비판적 지성, 젠더, 1960-70년대, 속물성, 박순녀, 「어떤 파리」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how women who have been educated in the discourse or literary field of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are reproduced. Through this, I want to recall the problem of the outdated stereotype of women having ‘a lack of intellect.’ In fact, in this period, intellectual and elite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powerful mobilization of the state ideology of a growth-oriented modernization project and capitalist snobbism than were women of other social class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ir classical and gendered self-consciousness was formed and differentiated through the benefits of higher education and social and cultural stimulation. As a result, resistibility was also found. In the discourse of contemporary history, articles pointing to the anti-intellect and snobbishness of educated women were submitted,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these stereotypes. Of course, there was no negative representation of educated women. In this era, the novels of Park Sun-yeo are impressively reproducing “critical intellect” by educating female characters through “telling right from wrong” in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gender, political systems, and materialism. Of course, it is regrettable that her literature seems passive in constructing the relationship or solidarity between intellectual women and lower-class women, and it has not included a memorabl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is. Nevertheless, her novel, which is clearly represented as “A Paris,” should be remembered as an example of “critical intellect.”

keywords
educated women, critical intellect, gender, the 1960s–70s, snobbishness, 교육받은 여성, 비판적 지성, 젠더, 1960-70년대, 속물성, 박순녀, 「어떤 파리」

참고문헌

1.

박순녀, 「어떤 파리」, 정음사, 1972.

2.

박순녀, 「칠법전서(七法全書)」, 일지사, 1976.

3.

크리스챤 아카데미 편, 「여성문화의 도전」, 삼성출판사, 1975.

4.

「세대」

5.

「대화」

6.

「동아일보」

7.

강수택, 「다시 지식인을 묻는다」, 삼인, 2001, 196-231.

8.

김병익, 「지성과 반지성」, 민음사, 1974, 65.

9.

김원, 「여공, 1970, 그녀들의 反역사」, 이매진, 2005, 1-2장.

10.

에드워드 사이드, 「지식인의 표상」, 최유준 역, 마티, 2012, 26-27.

11.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 조현준 역, 문학동네, 2008, 1-9쪽, 89쪽, 102-103.

12.

권경미, 「1970년대 버스 안내양의 재현 방식 연구」, 「인문연구」 64, 2013, 121-148.

13.

김경일, 「1970년대 민주노동운동의 쟁점―여성과 지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73, 역사비평사, 2005, 152-182.

14.

김양선, 「근대 여성작가의 지식/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여성문학연구」 24,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7-30.

15.

김윤선,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체험’과 문학」, 「한국학연구」 33, 2010, 235-262.

16.

김은경, 「박경리 문학에 나타난 지식인 여성상 고찰」, 「여성문학연구」 20,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221-255.

17.

서은주, 「지식인 담론의 지형과 ‘비판적’ 지성의 거처」, 「민족문학사연구」 54, 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503-533.

18.

유성희, 「한국 YWCA운동의 실천적 기독교 여성주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2013, 1-373.

19.

이명희, 「반공주의와 작가정신」, 「아시아여성연구」 47-1,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8, 7-38.

20.

이나영, 「기지촌의 공고화 과정에 관한 연구(1950-60): 국가, 성별화된 민족주의, 여성의 저항」, 「한국여성학」 23-4, 한국여성학회, 2007, 5-48.

21.

이선미, 「1960년대 여성지식인의 ‘자유’ 담론과 미국-박순녀, 손장순, 박시정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9, 한국문학연구학회, 2006, 417-452.

22.

이혜정, 「1970년대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의 삶과 교육: 공부 경험과 자기실천을 중심으로」, 서울대 교육학과 박사논문, 2012, 1-231.

23.

최이숙, 「1960-1970년대 한국 신문의 상업화와 여성가정란의 젠더정치」, 「한국언론학보」 59, 한국언론학회, 2015, 287-323.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