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Evaluation of Female Intellectuals by their Contemporary Male Intellectuals in Josun Dynasty: Focusing on the Case of Im Youn-ji-dang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2, pp.35-63
Kyungmi Kim

Abstract

이 글은 임윤지당의 예를 중심으로 여성 지식인에 대한 남성 지식인의 평가가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임윤지당은 당시 여성에게 요구된 지식의 경계를 넘어 남성의 지식 영역으로 들어가 성리학을 연구하고 글을 남겼다. 박윤원, 유한준과 같은 당대의 성리학자들은 임윤지당의 학문 세계를 그녀의 오빠이자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인 임성주의 아류로 보거나, 부녀자의 학문이라고 해서 저평가하지 않고 남길 만한 업적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임윤지당의 학문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강정일당의 학문을 평가하는 데도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 남성 지식인이 임윤지당의 학문을 인정한 근거는 첫째, 임윤지당의 학문적 견해가 깊이가 있고 역사에 대한 견해가 정밀하고 논리적이라는 점, 둘째, 여성의 글일지라도 훌륭한 글이라면 공자나 주자도 인정했다는 점, 셋째, 임윤지당의 학문적 성취는 공자나 주자가 인정한 여성들의 것보다 못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를 근거로 박윤원, 유한준 등은 여성의 글이라고 해서 묻혀 있게 해서는 안 된다고 하며 임윤지당의 학문세계와 문장이 갖는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임윤지당에 대한 남성 지식인들의 인정은 강정일당을 평가하는 데도 영향을 미쳤다. 임윤지당의 예는 임윤지당이라는 한 개인의 학문에 대한 인정에서 여성의 학문에 대한 인정으로 확대되는 것을 보여주고, 성리학 전통에서 목강(穆姜), 범녀(范女) 등 여성 지식인의 존재와 연결시키면서 묻혀 있던 여성 지식인의 계보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조선 후기 남성 지식인의 여성 지식인에 대한 평가가 변화하는 지점을 보여준다는 것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keywords
Im Youn-ji-dang, Kang Jung-il-dang, Mok-kang [穆姜], Bum-nyeo [范女], male intellectual, female intellectual, 남성 지식인, 여성 지식인, 임윤지당, 강정일당, 목강, 범녀, 박윤원, 유한준, 이규상, 임헌회

Reference

1.

강정일당, 「정일당유고」 (「한국문집총간」 속 111권, 한국고전번역원 DB).

2.

「당송팔가문초」 (전통문화연구회, 한국고전번역원 DB).

3.

박윤원, 「근재집」 (「한국문집총간」 250권, 한국고전번역원 DB).

4.

성해응, 「연경재전집」 (「한국문집총간」 275권, 한국고전번역원 DB).

5.

유한준, 「자저준본」 1권 (「한국문집총간」 249권, 한국고전번역원 DB).

6.

이경하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자료집」 2, 보고사, 2010, 1-872.

7.

이규상, 「18세기 조선인물지-幷世才彦錄」, 민족문학사연구소 한문학분과 옮김, 창작과비평사, 1997, 1-412.

8.

임성주, 「녹문집」 (「한국문집총간」 228권, 한국고전번역원 DB).

9.

임윤지당, 「윤지당유고」 (「한국문집총간」 속 84권, 한국고전번역원 DB).

10.

임헌회, 「고산선생문집」 (「한국문집총간」 314권, 한국고전번역원 DB).

11.

정민정, 「심경부주」 권 3 (성백효 역주, 「심경부주」, 전통문화연구회, 한국고전번역원 DB).

12.

한운성, 「입헌문집」 (「한국문집총간」 124권, 한국고전번역원 DB).

13.

박무영·김경미·조혜란, 「조선의 여성들-부자유한 시대에 너무나 비범했던」, 돌베개, 2004, 1-349.

14.

이혜순, 「조선조 후기 여성 지성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414.

15.

김미란, 「조선 후기 여성 지식인의 출현과 저서들 연구」, 「기전어문학」 18·19·20,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2008, 45-70.

16.

김현, 「성리학적 가치관의 확산과 여성」, 「민족문화연구」 4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455-488.

17.

박무영, 「여성시문집의 간행과 19세기 경화사족의 욕망」, 「고전문학연구」 33, 한국고전문학회, 2008, 369-406.

18.

이남희, 「조선 후기의 ‘女士’와 ‘女中君子’ 개념 고찰: 지식인 여성 연구를 위한 시론적 접근」, 「歷史와 實學」 47, 역사실학회, 2012, 43-65.

19.

이숙인, 「조선시대 여성 지식의 성격과 그 구성원리」, 「동양철학」 23, 한국동양철학회, 2005, 77-103.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