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자의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MMPI 프로파일 양상을 중심으로-

Self-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초록

본 연구는 임상 집단에서 자의식 정도에 따라 호소하는 심리적 불편감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신경증으로 정신과 통원 치료를 받는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자의식 척도(SCS)와 다면적 인성검사(MMP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적 자의식은 Hy척도와 미약한 상관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MMPI 하위 척도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공적 자의식은 L, K 척도와는 강한 부적 상관을, F, D, Pa, Sc, Si와는 정적 상관을 보여 공적 자의식이 높을수록 우울과 사회적 소외감 등 심리적인 불편감을 많이 겪으며, 이러한 자신의 불편감을 다른 사람들에게 더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부적응적 측면이 함께 시사되고 있는 사적 자의식 내의 2요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사적 자의식을 요인분석한 결과, 두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숙고 능력으로, 이전의 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인이었으나 2요인은 자신의 인상형성에 관한 인식으로 이전 연구들과는 다른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1요인은 MMPI하위 척도들과 부적인 방향의 상관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2요인은 Hs, Hy 척도와 미약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의식과 심리적 적응 양상의 임상적 의미 및 문화적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linical samples. Sixty-eight outpatients with neurotic symptoms completed Self-consciousness Scale and MMPI.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ubscal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MMPI subscales except Hy, which correlated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Public self-consciousness subscale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L, K,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F, D, Pa, Sc, Si.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ose who were high in public self-consciousness experienced more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depression and alienation, and complained their distress to others more. The present study also replicated previous findings of the two-factor structure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In this study, the first factor was interpreted to represent general reflectiveness of self, and had negative correlation tendency with MMPI clinical subscale. The second factor was interpreted as the awareness of self-image and had minor correlation with Hs, Hy. But this factor was different from previous findings in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self-consciousness were discussed.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99-12-04
수정일Revised Date
2000-02-09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0-02-1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