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E-ISSN : 2733-4538
측두엽 간질의 진단 및 치료에서 기억 기능의 평가는 필수적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개관은 다음의 세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번째는 측두엽 간질 환자들이 어떤 기억 손상을 보이는가 하는 것이다. 병소의 위치와 기억 재료의 특성이 상호작용하는 재료 국한적 기억 손상의 양상을 띤다고 가정되는데, 20여년에 걸친 연구들에 따르면 이 가설은 절반만 지지받고 있다. 즉, 좌측두엽 간질의 언어 기억 손상은 일관되게 입증되나, 우측두엽 간질의 시공간 기억 결함은 혼합된 결과를 보인다. 분석에 따르면, 비일관된 결과는 과제의 특성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 시각 기억 과제를 대상 기억 요소와 위치 기억 요소로 나눌 때, 우측두엽 간질의 기억 결함을 보이는 데 실패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전자가 강조된 과제를 사용한 경우였다. 반면 후자가 강화된 과제로는 우측두엽 간질을 성공적으로 변별해 낼 수 있었다. 앞으로는 위치 기억의 요소가 강화된 과제를 사용해서 재료 국한적 기억 손상 가설을 완성하고 편재화 진단의 민감성을 높이는 시도를 해 볼만 하다. 두번째 쟁점은 측두엽을 제거할 때 수반되는 기억 변화에 대한 것이다. 수술 후 기억 변화는 재료 국한적 기억 저하의 패턴을 따르는데, 수술 전 기억 손상의 양상이 그러했던 것처럼 이 가설도 반쪽만 지지 받고 있다. 또한 기억 변화는 수술 동측과 대측으로 나늘 수 있는데, 선행 연구들은 수술 동측의 기억만을 다루는 경향이 있으므로, 향후에는 대측의 변화까지 포괄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세번째 관심사는 수술의 기억 성과를 예측하는 변인에 대한 것이다. 수술 전 기억 기능, 발병 연령, 기능적 재조직화 여부, 수술 후 간질 완화 정도, 해마 경화 여부, 성별 등 여러 변인들이 기억 변화의 양상을 매개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미래에는 기억 예후와 관련된 이런 다양한 변인들을 통합된 틀에서 탐색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Assessment of memory has been an integral part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al lobe epilepsy(TLE). In this context our reviews are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issues. The first issue involves the pattern of memory impairment in the TLE. Memory decline in TLE is assumed to show the 'material-specific impairment(MSI)', but studies over two decades have proven only the half of the hypothesis. Verbal memory impairments in left TLE were consistently supported, but visuospatial memory impairment in right TLE were not. According to our analysis, a possible cause of mixed results may be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visuospatial memory tasks. Visual memory can be divided into object memory and position memory component, and most of the studies which failed to show impairment in right TLE used the task in which the former component were emphasized. In contrast, studies with the task of the latter component differentiated the right TLE successfully. Utilizing the tasks in which position memory is emphasized, future researchers may attempt to prove the remaining half of MSI hypothesis and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lateralization through memory assessment. The second issue discusses memory change following temporal lobectomy(TL). The patterns of change are assumed to show material-specific decline, but only the half of this hypothesis was proven. Furth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focused on change of not only ipsilateral but also contralateral memory function to TL side. Finally, variables predicting the prognosis of memory were reviewed. Factors such as preoperative memory function, onset of seizure, degree of seizure relief, severity of hippocampal atrophy, gender of the patients may mediate the pattern of memory chang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various prognostic factors of memory outcome in integrated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