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아강도(Es) 수준에 따른 BGT 수행 비교연구

Comparison of BGT according to Ego Strength level in Schizophrenic Inpatient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집단내에서 자아강도 수준에 따른 BGT 수행을 통해 한 검사에서 보이는 지표가 다른 검사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신과 입원 환자 중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들을 MMPI의 자아강도(Es) 수준에 따라 자아강도가 높은 집단(집단1: Es>60T), 중간인 집단(집단2: 40<Es<60), 낮은 집단(집단3: Es>60), 각각 20명씩, 세 집단으로 나누어 HABGT의 모사단계(Hutt, 1985)를 실시하였고, 객관적 분석방법인 정신병리척도와 접근-기피척도에 따라 채점하였다. 연구결과, 정신병리척도의 총점에서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공간사용, 폐쇄곤란, 곡선곤란, 각변화, 도형의 재모사 5개 하위 항목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기피척도에서는 총점은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폐쇄곤란, 회전, 단순화 3개의 하위 항목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keywords
schizophrenic, ego-strength, ego-strength scale, HABGT, 정신분열병, 자아강도, 자아강도척도, BG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sign of a psychological test could be manifested in the other test. The subjects groups consisted of following: High ego strength group(n=20, Es>60T), middle ego strength group(n=20, 40T<Es<60T), low ego strength group(n=20, Es<40T). The copy phase of HABGT was administered and reproduction was scored by the psychopathology scale and the adience-abience scale.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total score, use of space, closure difficulty, curvature difficulty, change in angulation, and redrawing of the total figure individual scale of the paychopathology scale.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total score of the adience-abience scal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losure difficulty, rotation, simplification individual scale of the adience-abience scal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schizophrenic, ego-strength, ego-strength scale, HABGT, 정신분열병, 자아강도, 자아강도척도, BG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