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E-ISSN : 2733-45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cellular phone use motivation, peer relationships, emotional factors an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Participants were 705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high-risk groups and low-risk groups, and th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variables.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high-risk groups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best describes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ctor that best describe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was motivation to alleviate boredom. Third, based on previous studies, partial and full dual mediation models were proposed, in which loneliness and depression would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In order to compare two mediation models and alternative models, path analysis was used. The path analysis revealed that the full du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wel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강효성 (2004). 사회경제지표의 공통요인 분석에 기초한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희양, 손정락 (2009). 청소년 휴대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497-510.
김교헌 (200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159-179.
김교헌 (2007).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677-692.
김옥수 (1997). 한국어로 번역된 UCLA 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대한간호학회지, 27(4), 871-879.
김정기(2005).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 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49(3), 262- 386.
김주연 (2009). 부모의 양육행동, 또래관계의 질 및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주환, 진보래 (2004). 대인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의 모바일 미디어. 한국언론학회, 모바일 콘텐츠 이론 및 제작 연구발표회 발표논문.
김지연, 오경자(2011).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647-661.
김진경 (2002).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관계의 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혜수, 배성만, 현명호 (2007).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83-393.
나은영 (2001). 이동전화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적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5(4), 189- 228.
박선영, 도현심 (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229-244.
박순천, 백경임 (2004). 휴대폰 중독적 사용 청소년의 MMPI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2 (9), 135-147.
박웅기 (2003).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지, 47(2), 250-281.
방송위원회 (2005). 어린이 매체 중독 연구. 방송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2010). 유․무선 통신서비스 가입자 현황.
송은주 (2006). 고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실태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5(3), 325-333.
오경자, 김은정 (1998).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과 심리사회적 특성: 3개월간 추적 연구. 성곡논총, 29(3), 325-424.
윤두연 (2005). 청소년의 또래집단 성향이 휴대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재영 (2005). 정부의 사회복지기관평가를 위한 핵심성과지표(KPI) 개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해진 (2009). 휴대전화 이용에 따른 대학생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 한국방송학보, 23(5), 173-216.
이은해, 고윤주 (1999).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0(2), 225-241.
이인희 (2001). 대학생 집단의 휴대전화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5(3), 261-293.
이정기, 황상재 (2009). 10대의 휴대폰 이용 동기와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3 (5), 296-338.
이해경 (2006).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 (2), 291-321.
이해경 (2008). 휴대폰의 중독적 사용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44-157.
이형초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형초 (2009). 중독문제 현황과 심리학자의 역할 및 준비: 인터넷 게임 중독문제 현황과 심리학자의 역할 및 준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임애라 (2008). 친애욕구가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의 중재효과.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은순 (2006).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동기와 중독의 관계.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혜진 (2002).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복자 (2009).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의 질과 휴대폰 사용행동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일주 (2009).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휴대폰 중독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185-204.
한국소비자보호원 (2004). 청소년 이동전화 및 무선인터넷 이용실태. 한국소비자보호원.
한승수, 오경수 (2006). 대인관계 유형과 사용 경향에 따른 이동전화 중독 성향 연구. 한국방송학보, 20(4), 371-405.
한주리, 허경호 (2004).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8(6), 138-165.
Asher, S. R., & Wheeler, V. A. (1985). Children's loneliness: A comparison of rejected and neglected peer statu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4), 500-506.
Brennan, T. (1982). Loneliness at adolescence. New York: Wiley.
Brown, B. B., Clasen, D. R., & Eicher, S. A. (1986). Perceptions of peer pleasure, peer conformity dispositions, and self-reported behavior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2, 521-530.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s Fit.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Conway, J. C., & Rubin, A. M. (1991). Psychological Predictors of Television Viewing Motivation, Communication Research, 18, 443-463.
Devellis, R. (1991).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Inc.
Fischer, C. (1992). America Calling: A Social History of the Telephone to 1940.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Gillard, P., Wale, K. & Bow, A. (1998). The Friendly phone. In Howard. S.(Eds.), Wired-up: Young People and the Electronic Media. USC Press.
Ha JH, Chin B, Park DH, Ryu SH & Yu J. (2008). Characteristics of Excessive Cellular Phone Use in Korean Adolescent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 783-784.
Katz, J. E. & M. Aakhus, M. A. (2002). Perpetual Contact: Mobile Communication, Private Talk, Public Performa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7-241.
Kraut, R, Kiesler, S., Boneva, B., Cummings, J., Helgeson, V., & Crawford, A. (2002). Internet paradoz revisited. Journal of Social Issues, 58(1), 49-74.
Leung, L., & Wei, R. (2000). More than just talk on the move: Uses and gratifacations of the cellular phon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7(2), 308-320.
Marks, I. (1990). Non-chemical(behavioral) addictions,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5, 1389-1394.
Mesch, G. S. (2001). Social relationships and internet use among adolescents in Israel. Social Science Quarterly, 82(3), 329-339.
O'Keefe, G., & Sulanowski, B. K. (1995). More than just talk: Uses, gratifications, and the telephone.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2(4), 922-933.
Peter, J. & Valkenburg, P. M. (2006). Research Note: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nternet communication.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21(2), 213-226.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Rettie, R. (2008). Mobile phones as network capital: facilitating connection. Mobilities, 3(2), 291-311.
Routasalo, P. E., Savikko, N., Tilvis, R. S., Strandberg, T. E., & Pitkala, K. H. (2006). Social contacts and their relationship to loneliness among aged people. Gerontology, 52, 181-187.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L.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3), 472-480.
Sadava, S. W., & Thompson, M. M. (1986). Loneliness, social drinking, and vulnerability to alcochol problem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18, 133-139.
Suler, J. (1996). Computer and Cyberspace Addiction. http://www.rider.edu/users/suler/psycyber.html.
Uruk, A. and Demir, A. (2003). The Role of Peers and Families in Predicting the Loneliness Level of Adolescents. Journal of Psychology, 137(2), 179-194.
Turkle, S. (1995).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the Internet. New York: Simon & Schster.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 237-244.
Young, K. S., & Rogers, R. C.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1(1),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