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아동용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결함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주리(서울대학교병원) ; 송현주(서울여자대학교) pp.1-23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할 수 있는 아동용 실행 기능 결함 질문지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기존의 관련 척도 및 이론적 내용에 근거하여 아동용 실행 기능 결함 질문지의 기초 예비 문항을 제작하고, 내용 타당도와 안면 타당도의 확인을 거쳐서 최종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후 서울 및 경기 지역의 4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아동 1022명을 대상으로 예비 문항 질문지를 실시했으며, 이 중 931명의 자료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문항을 선정하고 문항 구조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질문지의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공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관련 검사들과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아동용 자기-보고 질문지인 ‘자기 조절 능력 척도, Barratt 충동성 척도-Ⅱ, ADHD 아동용 자기 보고 척도’ 및 실행 기능 관련 개별 신경 심리 검사인 ‘하노이 탑 검사,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아동 색-선로 검사, 숫자 따라하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2의 대상은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아동 159명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본 질문지는 두 개의 상위 요인과 각 두 개의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진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아동의 실행 기능 결함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ventory(CEFDI), and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the factors of CEFDI were categorized based on a review of both the literature and a number of existing inventories, and then CEFDI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 and face validity. The CEFDI was then conducted for 1022 students i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at fou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the inventories of 931 of these children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e item validity of CEFDI was proved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convergent validity, self-report scales, such as ‘Self Regulation Scal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Ⅱ, and ADHD Children's Scal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such as ‘Tower of Hanoi Test, Stroop Color and Word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and Digit Span’, were executed. Subjects for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included 159 students i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CEFDI consisted of 29 questions and was confirm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tool to measure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children.

시공간 점화 과제에서 강박성향 집단의 촉진과 억제 효과
박희정(가톨릭대학교)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25-41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시공간 점화과제를 통해 강박집단의 정서에 따른 촉진과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 강박사고의 내용에 따른 하위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학생 902명을 대상으로 Padua 강박질문지-워싱턴 주립 대학 개정판(PI-WSUR)을 실시하여 점수에 따라 강박집단(22명)과 통제집단(21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에서는 중립정서 조건과 위협정서 조건으로 나누어 시공간 점화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점화과제는 정적점화 조건, 기저선 조건, 부적점화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2(집단: 강박집단, 통제집단)⨯2(정서: 중립, 위협)⨯3(점화: 정적, 기저선, 부적)의 혼합설계 변량분석 결과, 점화의 주효과와 정서의 주효과가 유의했으며 점화와 정서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점화조건에 따라 촉진 점화량과 억제 점화량이 도출되는데, 촉진은 자극 부호화의 강도를 의미하며 억제는 불필요한 자극을 약화시키는 능력을 뜻한다. 촉진과 억제에 있어서 전체 강박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강박집단을 강박사고 유형에 따라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중립정서 조건에서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은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촉진과 감소된 억제를 나타냈다. 반면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은 통제집단과 비슷한 수행패턴을 나타냈다. 이는 자생성 강박사고 집단과 반응성 강박사고 집단의 이질성을 지지하며, 강박사고 유형에 따른 하위집단의 구분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ilitation and inhibition effects in obsessive-compulsive subjec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OC subtypes. 902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Padua Inventory-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vision (PI-WSUR). Based on their PI-WSUR scores, 22 students were assigned to obsessive-compulsive group and 21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Subjects performed visuospatial priming tasks under two emotional conditions: neutral and threat. The priming tasks had three conditions: positive priming, baseline, negative priming. The results of 2 (groups: OC, control) x 2 (emotion: neutral, threat) x 3 (priming: positive, baseline, negative) mixed ANOVA show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emotion and priming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 and priming. Based on the priming condition, the facilitation and inhibition effects were calculated. Facilitation is the strength of stimulus activation and inhibition effect refers to the ability to suppress an irrelevant stimulu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OC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of PI-WSUR, the OC group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subtypes: autogenous obsession and reactive obsession. In a neutral emotion condition, the autogenous obsession group showed increased facilitation and decreased inhibition compared with the reactive obsessi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patterns of the reactive obsession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pport heterogeneity in the OC group and the usefulness of subtyping.

국내 아동 청소년 심리 치료 효과 검증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과 메타분석: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1995-2010)
구훈정(고려대학교) ; 최승미(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43-73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동 청소년 심리치료 효과 검증 연구의 방법론 현황을 고찰하고 심리 치료 효과를 종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의 학회지 게재 논문 중 우울, 불안, ADHD 및 품행 관련 문제/장애군 대상 심리치료 효과검증 연구의 방법론 현황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시 사용된 코딩 항목은 인구통계학적 정보제시의 충실성 여부, 표준화된 측정 절차의 사용 여부, 정보제공자, 측정방법 및 측정 영역의 다양성, 치료의 일관성과 구체성 여부, 설계의 적합성, 통제집단 유형의 적절성 여부, 임상적 대표성 여부이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아동 청소년 심리치료의 방법론적 적절성 현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선정된 논문 중 사전 동질성과 무선할당의 방법론적 요건을 충족한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치료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80이었다. 효과 크기의 동질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효과크기가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치료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변인-문제유형, 치료유형, 결과유형, 운영과 관련된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각각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문제유형과 결과유형에 따라 심리치료의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아동 청소년 심리치료에 대한 방법론 현황을 고찰함과 동시에 방법론적 적절성을 갖춘 연구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아동 청소년 심리치료 효과성를 검증하고. 추후 심리치료 효과 검증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제언과 및 심리치료의 실시와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Child and adolescent psychotherapy has progressed considerably, as reflected in the number of controlled studies. Despite the progress, the methodological soundness and effectivenes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otherapy has not been confirmed in Korea. The purpose of the first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youth psychotherapy outcome studies involving treatment of anxiety, depression, ADHD and conduct or addiction-related problems and disorders. Eighty two studies, conducted from 1995 through 2010, were sele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y studies failed to use well-standardized procedures to ensure appropriate sample selection, measurement and experimental design. The purpose of the second study was to use mata-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s of well-designed children and adolescent psychotherapy that were selected in studies from 1995-2010.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80 indicating that children and adolescent psychotherapy was highly effective overall. When mean effect siz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moderator, the effect of therapy type and outcome typ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정서적 학대 및 방임과 성격장애: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권지은(충북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 이승복(충북대학교) pp.75-91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이 성격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피학대 경험척도, 성격장애진단검사, 감정표현불능척도를 실시하였다. 총 649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먼저,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감정표현불능증, 성격장애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과 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반사회성, 경계선, 회피성 성격장애가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고, 의존성 성격장애는 정서적 학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음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정서적 학대 및 방임과 성격장애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A군과 B군에 속한 성격장애에 대해서 감정표현불능증은 부분적 매개효과를 나타냈고, C군에 속한 성격장애에 대해서는 완전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 경험이 성인기 성격장애의 발달과 관계가 있으며, 감정표현불능증을 거치는 발달경로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abuse(emotional abuse and neglect), alexithymia, and personality were examined. Participants were 649 university students. The Childhood Abuse Questionnaire, The Korean Alexithymia Scale, and The 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maotional abuse and neglect were associated with alexithymia and personality disorders(paranoid, schizoid, schizotypal, antisocial, and borderline, avoidant, and dependent); 2) Alexithymia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and personality disorders(paranoid, schizoid, schizotypal, antisocial, borderline, avoidant, and depend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re risk factors for alexithymia and personality disorder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한국 청소년들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성차 연구: 발현시기와 연령별 변화를 중심으로
신민정(연세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 김은성(연세대학교) pp.93-114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첫째, 국내 청소년들의 우울 및 불안 증상에 대한 성차 발현 시점을 밝히고, 둘째, 발현된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성차가 청소년기 동안 학년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발달하는지를 파악하고, 셋째, 임상수준에 해당되는 집단과 우울 및 불안 척도의 하위요인 별 분석을 통해 성차 현상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3,236명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용 우울 척도(CDI)와 아동용 발현불안 척도(RCMAS)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청소년들의 우울 및 불안 증상의 성차는 중학교 1-2학년 때 발현되어 중학교 때는 여학생의 우울과 불안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으나, 고등학교 때는 이 같은 성차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차 발달 양상에 대해 임상 수준에 해당되는 집단 분석과 우울 및 불안 척도의 하위요인 별 분석을 진행한 결과, 국내 청소년들의 성차 현상에 우울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정서’, ‘흥미저하’ 요인과 불안의 하위요인 중 ‘걱정/예민함’ 요인이 각각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화 증상의 성차 현상은 소수 임상수준 집단의 특성이 아닌 전체 집단의 특성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onset and developmental changes of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to explore specific features of the gender differences by using a clinical group and subscale analyses. A total of 3,236 adolescents in grades 4-12 completed the measures of CDI and RCMAS. Results showed that: (1) the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started to appear in grades 7 and 8;, (2) the gender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iddle school students, but not in high school students; and (3) the gender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the total sample, but not in the clinical sample only. Also, the CDI subscales of ‘negative mood’ and ‘anhedonia’ as well as the RCMAS subscale of ‘worry/oversensitive’ had a relatively important influence on the gender differences.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시험에 대한 자동적 사고 질문지: 개발 및 심리측정적 속성
조성현(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조용래(한림대학교) pp.115-134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6
초록보기
초록

정서장애에 대한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시험불안과 연관된 자동적 사고를 측정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고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수집된 자동적 사고와 기존 척도들로부터 추출된 예비문항들의 내용 타당도를 검토하여 37개의 문항들을 선별하였으며, 이 문항들로 시험에 대한 자동적 사고 질문지(Automatic Thoughts of Test Questionnaire, ATTQ)의 예비 검사를 구성하였다. 이를 실제 시험상황에서 223명의 대학생들에게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한 결과 최종적으로 21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ATTQ는 ‘성적에 대한 부정적 예측’, ‘시험 결과에 대한 파국적 해석’, ‘타인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염려’, ‘예상하지 못한 문제의 출제에 대한 걱정’, ‘사고 무능에 대한 두려움’ 등 5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9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2에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연구 1의 결과에 기초한 상관된 5요인 모형이 다른 모형들에 비해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ATTQ의 내적 일치도는 높았으며, 5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수용할 만한 수준이었고, 수렴, 준거 및 증분타당도는 양호하였다. 나아가, 시험불안에 대한 인지이론과 일치되게, ATTQ로 측정된 자동적 사고는 인지적인 특질 시험불안과 실제 시험상황 동안의 상태불안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여 ATTQ의 구성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들은 ATTQ가 시험불안과 연관된 자동적 사고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임상적 활용방안 및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Based on the cognitive approach to test anxiety, we conducted two studies in order to develop the Automatic Thoughts of Test Questionnaire (ATTQ) to assess cognitive content associated with test anxiety and to examine its psychometric properties. In Study 1, 95 preliminary items were initially drawn from automatic thoughts collected with the thought-listing method, as well as from existing scales of test anxiety, and then 37 items were selected through an examination of content validity. The preliminary 37-item version of the ATTQ was administered to 223 undergraduate students during an actual test. The final version of the ATTQ consisted of 21 items that were selected using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Factor analyses of the ATTQ revealed a five-factor structure: ‘Negative Prediction of Test Scores’, ‘Catastrophic Interpretation of Test Results’, ‘Concerns about Others’ Negative Evaluation’, ‘Worry about Unexpected Questions on an Exam’, and ‘Fear of Having One's Mind Go Blank’. Study 2 aimed to replicate the initial factor structure found in Study 1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TTQ in a sample of 292 undergraduate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related five-factor model had a better goodness-of-fit than other models. The ATTQ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cceptable test-retest reliability over a five-week period, and good convergent, criterion, and incremental validity. Consistent with the cognitive model of test anxiety, automatic thoughts as measured by the ATTQ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test anxiety and state anxiety during an actual test, thus providing support for its construct validity.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TTQ is a highly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automatic thoughts associated with test anxiety in undergraduate students. Finally,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were discussed.

불면증에 대한 스트레스와 인지과정의 통합 모형 검증
조영은(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135-150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불면증 유지와 악화를 설명하는 인지모델에 불면증의 유발을 설명하는 ‘스트레스’를 통합함으로써 불면증 모형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즉 스트레스와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에 의해 촉발된 사고억제는 오히려 인지적 각성을 일으켜서 불면증에 기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대∼50대의 일반인으로 직장인, 학생, 주부 등 다양한 직업군이 포함되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83명(43.3%), 여자가 240명(56.7%)으로 총 42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및 태도를 측정하는 한국판 DBAS-16, 일상생활 속의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DHS-Revised, 일반적 사고억제 경향을 측정하는 WBSI, 수면 전 각성을 측정하는 PSAS, 불면증 심각성을 측정하는 ISI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불면증의 통합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들에 의해 제안될 수 있는 대안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가장 적합한 모형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와 불면증의 인지모델을 통합한 완전매개모형이 타당했으며, 스트레스와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인 신념이 사고억제, 인지적 각성을 거쳐 불면증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integrated model of insomnia including cognitive process and stres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ought suppression on the relationships of stress,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cognitive arousal and insomnia. The study included 423 subject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aged 20-59(males=183, females=240). For this study, DBAS- 16(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Scale-16), DHS-Revised(The Daily Hassle Scale-Revised Version), WBSI(White Bear Suppression Inventory), PSAS(Pre-Sleep Arousal Scale), and ISI(Insomnia Severity Index) were carried out.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the study validated the integrated model of insomnia including stress and cognitive proces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ought suppression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cognitive process contributing to insomnia. The specific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mediating effect of thought suppression was significant on 1) the path from stress to insomnia via cognitive arousal, and 2) the path from dysfunctional beliefs about sleep to insomnia via cognitive arousal.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박지영(김원묵기념 봉생병원 임상심리실) ; 김귀애(김원묵기념 봉생병원) ; 홍창희(부산대학교) pp.151-169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휴대전화 이용 동기, 또래관계, 외로움, 우울과의 전반적인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중․고등학생 70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먼저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 고위험 집단과 저위험 집단 간 관련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고위험 집단이 저위험 집단에 비해 휴대전화 이용 동기, 외로움, 우울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래관계 변인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 고위험 집단에서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고위험 집단을 대상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은 무료함 해소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외로움과 우울이 또래관계와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두 가지 이중매개모형과 다른 대안모형들을 설정한 후, 경로분석을 통해 가장 적합한 모형을 탐색해보았다. 그 결과, 외로움과 우울이 또래관계와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 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한다고 가정한 완전이중매개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cellular phone use motivation, peer relationships, emotional factors an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Participants were 705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high-risk groups and low-risk groups, and th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variables.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high-risk groups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best describes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ctor that best describe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was motivation to alleviate boredom. Third, based on previous studies, partial and full dual mediation models were proposed, in which loneliness and depression would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In order to compare two mediation models and alternative models, path analysis was used. The path analysis revealed that the full du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wel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경험과 정서표현성의 비교
고윤화(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오상우(원광대학교) pp.171-186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 중 무쾌감증을 포함한 음성증상이 많은 집단(고-음성증상), 무쾌감증을 포함한 음성증상이 적은 집단(저-음성증상)과 정상인을 대상으로 정서경험과 정서표현성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PANSS와 무쾌감증 척도를 기준으로 고-음성증상집단 15명, 저-음성증상집단 15명을 선정하였고, 정상 집단은 정신건강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SCL-90-R과 무쾌감증이 있는 사람들을 배제하기 위해 무쾌감증 척도를 실시하여 15명을 선정하였다. 정서경험은 다양한 범주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는 국제정서사진체계(IAPS)를 이용하여 긍정적 정서사진, 부정적 사진을 참가자들에게 Notebook을 이용하여 6-15 초간 보여주었다. 그 뒤 SAM(Self-Assessment Manikin) 평가방식에 따라 자신이 경험한 정서 상태를 1-9점까지 평정하도록 하였다. 정서표현성은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정서표현성 척도(EES)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긍정적 정서를 덜 긍정적으로 부정적 정서를 더욱 부정적으로 평정하였고, 정서표현성 점수는 낮았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 중 고-음성증상 집단은 저-음성증상 집단보다 긍정적 정서를 덜 긍정적으로 부정적 정서를 더욱 부정적으로 평정하였고, 정서표현성 점수는 낮았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al expressivity differ among three groups: a group with high-negative symptoms including anhedonia (high-negative symptoms group), a group with low-negative symptoms including anhedonia (low-negative symptoms group) among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a normal group. With the criteria of PANSS and anhedonia scales, 15 persons for high-negative symptoms and 15 for low-negative symptoms were chosen. And to examine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normal group, the anhedonia scale was conducted and 15 persons were chosen to the exclusion of those with SCL-90-R and anhedonia. For emotional experience, this study utilized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containing various ranges of contents. This research had the participants se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photos for 6-15 seconds from a notebook. After that, they were made to rate their emotional state they experienced from 1 to 9 according to the appraisal method of SAM (Self-Assessment Manikin). For emotional expressivity, this paper used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EE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chizophrenia patients rated positive emotion less positively and negative emotion more negatively than the normal group, and they gained lower scores in emotional expressivity. And among the schizophrenia patients, the high-negative symptoms group rated positive emotion less positively and negative emotion more negatively than the low-negative symptoms group, and they gained lower scores in emotional expressiv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ies.

이혼 가정 아동을 위한 심리 개입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이경림(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pp.187-202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혼 가정 아동 개입 프로그램(Children of Divorce Intervention Program: CODIP)을 한국의 이혼 가정 아동들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였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CODIP는 이혼 가정 아동들의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12회기의 집단 프로그램으로, 현 연구에서는 회기의 수를 10회기로 단축시켰다. 특히 CODIP에서 다루는 이혼과 관련된 특정적인 치료 요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교집단 아동들을 CODIP와 동일한 기간 동안 동일한 횟수의 자기표현 집단 프로그램에 참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두 집단 간 비교를 통해 발견된 차이점들은, 치료자의 관심이나 지지, 참가자들의 기대에 의한 것이 아닌, 이혼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CODIP 특정적 요소의 효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70명으로, 프로그램 종결 전에 이사나 전학을 간 아동, 사전 측정치에서의 이상치들을 제외하고, 프로그램에 70%이상 참가한 아동만 통계 분석에 포함하였다. 그 결과, 최종 분석에는 41명의 아동이 포함되었는데, 이들 중 CODIP에 참가한 아동은 12명(남자 6명, 여자 6명), 자기표현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 중 이혼 가정 아동은 22명(남자 13명, 여자 9명), 이혼을 경험하지 않은 아동은 7명(남자 5명, 여자 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적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동의 부모, 복지관이나 방과 후 교실 교사, 아동 본인에게 프로그램 시작 1주일 전과 종결 1주일 후에 사전, 사후 평가를 하였다. 부모와 교사에게는 아동 행동 체크리스트를, 아동에게는 소아 불안 척도, 소아 우울 척도, 공격성 척도, 이혼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했다. 사전 평가에서는 아동이 보고한 소아 불안 척도에서 CODIP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었으나 이외의 모든 척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총 회기 중 70%이상 참가한 아동 51명만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ANOVA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통계 분석을 한 결과, 아동이 보고한 이혼에 대한 태도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나 부모가 평가한 행동 문제나 아동의 불안, 우울, 공격성, 자기 및 타인 표상 척도에서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the Children of Divorce Intervention Program (CODIP) for Korean children. The CODIP was a 12-week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mitigate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original program was tailored to fit the needs of Korean families. The program was shortened to 10 sessions. In this study,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lso received a 10-week program. Subjects were 4th-6thgradechildren(N=70)from child welfare institutions: 26 CODIP participants, 32 divorce controls, and 12 non-divorced controls.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were rated by their parents and teachers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 List. Children were asked to fill out the Children’s Attitudes and Self-Perception Scale, the State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Aggression Scale. Pre- and post-assessments were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their parents, and teachers, and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in the CODIP groups improved significantly on the CBCL rated by teachers and on the Children's Attitudes and Self-Perception Scale. This finding implies that children of divorced families could benefit from CODIP.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함 판별을 위한 웹-기반 신경심리 연구
이수경(연세주니어 소아정신과) ; 박경(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곽호완(경북대학교) pp.203-216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세 가지 웹-기반 신경심리 실험과제를 사용하여 ADHD 아동의 주의력 결함 특성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연속수행과제, 변화맹시과제 및 회귀억제과제를 통해 추출된 지표들이 ADHD 아동 하위유형 집단들과 일반 아동집단을 성공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1) 일반 아동집단과 ADHD 아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들이 얻어졌으며, 2) 세 과제의 총합지표들이 71.2%의 판별정확도를 보였고, 3) 집단을 변별해 주는 가장 유용한 지표는 변화맹시과제에서 반응시간 표준편차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다른 공존질환을 지닌 ADHD 아동을 포함한 여타 임상표본을 대상으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Based on three web-based neuropsychological task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deficits in children with ADHD.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or not the experimental indices from a continuous performance task, a change-blindness task, and an inhibition-of-return task would successfully discriminate ADHD children from normal ones. According to the result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among normal and ADHD sub-groups, 2) 71.2% of the cases were correctly classified as predicted using the indices of the three tasks, and 3) standard deviations of response time from the change-blindness task were among the most useful indices for classification. Further research would be needed to generalize our results to other clinical cases, especially with comorbid symptoms.

캐나다 문제도박 척도(CPGI)의 기능평가를 위한 다집단 분석
이순묵(성균관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김세진(충남대학교) ; 이경희(열린사이버대학교) ; 이현정(한국산업기술연구원) ; 여성칠(건국대학교) pp.217-251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민일반을 대상으로 도박행동의 수준을 변별하기 위하여 최초로 개발된 캐나다 문제도박 척도(CPGI: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가 과연 그 목적에 부합하는가에 대한 논란을 교차수준적 다집단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CPGI에 대한 논란은 첫째, 문항구성이 기존의 척도들과 크게 다름이 없이 도박행동 수준이 높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과연 실제 경험 자료에서 이 척도가 사회일반에 속하는 하위집단들에 걸쳐 차별적이지 않고 일관성 있게 기능하는지 여부에 대한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박행동의 고수준과 저수준이라는 장면 내 집단 간에는 측정의 틀, 단위, 원점, 및 요인분산의 동일성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 및 경제 하 집단이 여자 및 경제 상 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요인분산의 크기에서는 L장면의 분산이 .100이 안 되는 작은 크기인데 반해서 H장면의 요인분산들은 모두 .569 또는 .665으로 작게는 7배 크게는 20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심한 우측 편포와 바닥효과(floor effect)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상과 같은 해석을 염두에 두고 교차수준 분석 즉, 1층 수준의 집단이 L/H 장면 간에 일관성 있는지 차별적인지를 검증한 결과, 대체로 단위 차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위 동일성이 성립하는 일부 문항들도 원점 동일성 검증을 거의 통과하지 못했다. 단위 동일성이 다수 성립한 예외적인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의 문항들에서 원점 차별성이 있었다. 따라서 거의 대부분의 문항들이 L/H 장면 간에 측정단위 또는 측정원점에서 차별적 기능을 하므로, CPGI척도를 L장면과 H 장면 간에 공통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controversy of whether or not the CPGI(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which was developed to discriminate those in the general population with a gambling problem, accomplishes its stated purpose. The first controversy is that the items of the CPGI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xisting scales, which are intended to discriminate people who have severe gambling problem. The second controversy is that the items of the CPGI are not appropriate for those people who have a less severe gambling problem or minor gambling problem. Quantitative evaluation through multi-level and multi-group analysis demonstrated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scalar invariance, and invariance of factor variances. However, the factor variances of the low-level groups were less than .100 which is much smaller than the value (between .569 and .665) observed in the high-level groups. The distribution of scores seemed to be positively skewed with an apparent floor effect. When cross-level analyses were performed, metric invariance hardly held. Several items satisfying metric invariance did not show scalar invariance. Thus, CPGI is not appropriate to use for high and low level groups since most items of the CPGI showed differential functioning across the two group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udy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사회적 배척이 정서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친사회적 수용경험의 중재효과 분석 -일반집단과 신경증집단의 비교-
이흥표(대구사이버대학교) ; 이상규(한림대학교) pp.253-270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3
초록보기
초록

사회적 배척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과 비교하여 신경증 환자의 사회적 배척 정도와 친사회적 수용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사회적 배척이 우울과 정서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 및 친사회적 경험의 중재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신병적 장애와 성격장애 진단군을 제외하고 신경증 진단을 받고 치료 중에 있는 정신과 환자군 62명과 일반집단 67명이었다. 연구결과, 신경증 환자군은 일반 정상군에 비해 고립, 모욕, 괴롭힘 등의 배척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친사회적 수용 경험이 낮았다. 또한 괴롭힘 배척의 영향력은 영향력이 낮거나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모욕 배척은 생활 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우울을 유발하는 요인이었다. 고립 배척은 일반 정상군과 신경증 환자군 모두에서 우울을 증가시키고 주관적 행복감을 낮추는 외상적 요인이었다. 그 영향력은 신경증 환자군에서 높았으며 특히 고립 배척이 신경증 환자군의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높았다. 나아가 사회적 배척과 우울 및 정서적 안녕감 사이에서 배척의 영향력을 완화, 보호할 수 있는 친사회적 수용경험의 중재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한계에 대해 논하였다.

Abstract

Social exclusion has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problem because of its negative influence on physical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 this study, we had investigated that degree of social exclusion and their effects on emotional well-being and depressive mood in neurotic outpatients compared with general adults, and moderating effect of pro-social experience in two groups. Data were obtained from 62 neurotic outpatients who were diagnosed neurosis including anxiety disorder, depressive spectrum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two psychiatrists except psychotic and personality disorder group and 67 general control people who was matched gender and age. In our study results, social exclusion of neurotic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prosocial experience of neurotic patients was low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mong social exclusion, whereas effect of bullying exclusion was small or not-significant, insult exclusion was factor that decreases life-satisfaction and induces depressive symptom. Isolation exclusion was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depressive mood and decreasing sense of emotional well-being in both groups expect bullying exclusion. Also, their impact was higher in the neurosis than normal control and especially isolation pattern of exclusion had a great impact on depressive symptoms and emotional well-being in neurotic group. However, moderate effect of pro-social support experience wasn't significant to alleviat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and emotional well-being. Finally, meaning, sugges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ies were discussed.

시설기관을 이용 중인 탈 성매매 여성의 외상 관련 증상과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요인
안혜영(심리건강연구소) ; 오수성(전남대학교) ; 한규석(전남대학교) pp.271-288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탈 성매매 여성의 외상 관련 증상과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여수, 인천, 전주의 시설기관을 이용하는 탈 성매매 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성매매를 시작한 연령, 업소에 종사한 기간, 업소로부터 인권유린을 당한 정도, 생활 스트레스,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방식,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 외상 관련 증상의 정도, 정신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상태, 학력, 현재 직업유형, 현재 월소득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탈 성매매 여성의 외상 관련 증상과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탈 성매매 여성이 업소로부터 당한 인권유린의 실태에 대해 알아본 결과, 원치 않는 성매매의 강요, 욕이나 협박 및 생리 중에 성매매 강요를 가장 빈번하게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관련 증상 및 정신건강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요인은 업소로부터 인권유린을 당한 정도, 생활 스트레스와 소극적 대처방식이었다. 탈 성매매 여성의 외상 관련 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은 인권유린을 당한 정도와 소극적 대처였고, 정신건강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은 생활 스트레스와 소극적 대처였다. 한편 소극적 대처는 인권유린을 당한 정도와 정신건강 간 관계를 매개하였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factors that predict trauma-related symptoms and mental health among women acquitted from prostitution. The subjects were 120 women who previously worked as sex workers. Women in various rehabilitation agencies in metro-regions such as Gwangju, Daegu, Daejeon, Pusan, Yeosu, Incheon, and Jeonju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cales measur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at the start of prostitution, time period of sexual work in brothels, degree of human rights abuses, stress level, active coping strategy, passive coping strategy, positive social support, degree of trauma-related symptoms, and the SCL-90-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s trauma-related symptoms and mental health were not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marital status, education, current job type, or current monthly income. The women acquitted from prostitution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forced unwanted prostitution, verbal violence, and forced prostitution during menstruation most frequently. It was shown that degrees of human rights abuses, stress level, passive coping strategy, trauma-related symptoms, and mental health were positively related. The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s of trauma-related symptoms were the degree of human rights abuses and passive coping strategy, and the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s for mental health were stress level and passive coping strategy. Meanwhile, passive coping strateg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human rights and mental health.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자기사랑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김진실(주사랑 알콜병원) ; 이봉건(충북대학교) pp.289-304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입원 중인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자기사랑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일주일에 2회씩 4주간 시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알코올 의존 선별검사(NAST), 한국판 변화단계척도(SOCRATES-K), 금주 자기효능감척도(AASES), 강박음주갈망척도(OCDS)와 우울척도(BDI)이다. 8회기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입원 알코올 의존 환자 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사랑 프로그램의 단기적 목적인 동기고양이 다른 치료 프로그램을 극대화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에 기반을 두어 그동안 알코올 의존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인지행동치료를 자기사랑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효과를 알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자기사랑 프로그램집단은 단일 인지행동치료집단에 비해 변화단계의 인식, 양가성, 실천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자기사랑 프로그램집단은 단일 인지행동치료집단보다 금주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강박음주갈망이 감소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입증하지 못하였으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차이를 고려하면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셋째,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한 자기사랑 프로그램집단은 단일행동치료집단보다 우울한 정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self-love program combined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CBT) on the alcohol dependences. The subjects were 25 men who showed alcohol dependence and were hospitalized in an alcohol clinic. 8 eight sessions of a self-love program combined with cognitive-behavioral therapy(CBT) were provided to 13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eight sessions of CBT without a self-love program were provided to 12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4 weeks. All subjects completed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SOCRATES-K),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AASES),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 (OCD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oth pre- and post-intervention. The data of from 16 subjects (9 nin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even in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out stopping were finally analyzed. The paired t-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scal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ithin each group and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gnition, ambivalence, and taking step factors of SOCRATES-K after the self-love program with CBT showed positive improvement.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elf-efficacy and compulsive drinking drive after the treatment but mean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showed positive impact of self-love program with CBT on them. Finally, depression after self-love program with CBT decreased.

뇌손상의 심각도와 뇌병변의 편재화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곽은희(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305-328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뇌손상의 심각도와 뇌병변의 편재화가 인구학적 변인과 수상후 경과한 기간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심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결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대학병원 재활의학과 입원, 외래치료를 받았던 심한 폐쇄형 두부손상으로 진단된, 수상당시 나이 16~60세인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혼수기간, 뇌병변의 편재화, 수상후 경과기간, 나이, 교육수준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었으며 신경심리 검사결과들이 후향적으로 수집되었다. 9가지 인지기능의 지표(언어성 지능지수, 동작성 지능지수, 전체지능 지수, 기억지수, 이름대기, 지각적 추론, 고차적 구성, 주의지속 요인, 처리속도)로 세분화한 분석에서 뇌손상의 심각도는 동작성 지능지수, 기억지수, 고차적 구성능력을 가장 잘 예측해 주었으며 언어성 지능지수, 이름대기, 주의지속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뇌병변의 편재화는 동작성 지능지수, 기억지수, 지각적 추론, 고차적 구성 능력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었으며 좌/우/ 양반구 및 확산적 손상 환자군에 따른 특정 인지프로파일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기억지수와 전두엽이 개입되는 고차적 구성능력은 인구학적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뇌손상의 심각도에 의한 설명력이 가장 많고 뇌병변의 편재화를 유의하게 변별해주는 인지기능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평가하거나 개입전략을 세울 때 위험인자가 높은 환자들과 중점을 두어야 하는 인지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gnostic value of injury severity and lateralization of lesion for cognitive deficits following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TBI) while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time postinjury and demographic variables. Patient demographics, injury severity, lateralization of lesion, time postinjury and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from 92 patients aged 16-60 years diagnosed with severe closed head injury. Nine cognitive functions(Verbal IQ(VIQ), Performance IQ(PIQ), Full Scale IQ(FSIQ), Memory Quotient(MQ), confrontational naming, complex construction, nonverbal eductive ability,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and psychomotor speed) were analyzed. Injury severity had strong prognostic value for PIQ, MQ and complex construction bu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VIQ, confrontational naming and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Lateralization of les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IQ, MQ, nonverbal eductive ability and complex construction. There were implications of cognitive profiles specific to lateralization of le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especially memory and construction ability related to frontal lobe may be good indices of injury severity and lateralization of le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ly information about the important risk factors and dominant cognitive deficits of severe TBI that warrant attention from clinicians.

한국판 감사 척도의 타당화
노지혜(아주대학교) ; 이민규(아주대학교) pp.329-354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감사를 ‘사건, 사람, 행동이나 사물이 가진 가치와 의미를 깨닫고, 그것들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적 연결감을 느끼는 것’이라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Adler와 Fagley(2005)의 감사 척도(Appreciation Scale)를 한국어로 번안한 후, 한국 대학생에게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판 감사 척도(Korean Version of the Appreciation Scale)를 제안하였다. 원척도에 대한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과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3문항의 6요인 구조가 도출되었으며, 요인들은 ‘소유초점’, ‘의식행동’, ‘표현’, ‘자연/일상’, ‘하향비교’, ‘상실/역경’으로 명명되었다.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한국판 감사 척도의 총점 및 하위 척도들의 내적 합치도가 적절하였고, 요인 별 시간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판 감사 척도가 정서적 성향으로서의 감사를 측정한 척도와 구별될 뿐 아니라, 낙관성, 희망, 감상력, 영성과 같이 긍정 성향 및 상태를 평가하는 변인들과 구분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척도를 통해 측정한 개인의 감사 정도는 삶의 여러 측면에 대한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는데, 사회적 바람직성, 성격 5요인, 그리고 다른 긍정심리학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하여도 설명량이 유의미하여, 감사가 개인의 행복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증하였다. 추가 분석으로, 감사 척도의 총점 및 일부 요인 점수가 성별과 종교에 따라 유의미하게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같이, 긍정적 상황에 대한 반응이나, 정서적 성향으로서의 감사 뿐 아니라, 감사를 보다 광의적으로 개념화하고, 하위 요인들을 탐색하며, 관련 척도를 제안하는 것은 감사의 본질 및 감사와 안녕감의 관계에 대한 기제를 이해하고, 대상자의 특성이나 상황에 보다 적합한 감사 개입을 연구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겠다.

Abstract

Adler and Fagley(2005) defined that ‘an appreciating something such as an event, a person, a behavior, and an object involves noticing and acknowledging its value and meaning and feeling a positive emotional connection to it’ and developed a multidimensional scale to measur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adapt the Appreciation Scale to Korean culture.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Appreciation Scale consisting of six factors, including 23 items, was appropriate to the data on Korean college students. Six factors were ‘Have focus’, ‘Ritual’, ‘Expression’, ‘Nature/Daily life’, ‘Downward comparison’, and ‘Loss/Adversity’. Korean version of the Appreciation Scale and its subscale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they displaye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via measurement of gratitude trait, optimism, hope, spirituality,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These scales correlated with measure of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well-being, Especially, appreci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o individual happiness even after the effects of social desirability, Big-Five personality, and individual's positive traits and states were statistically controlled. Conceptualizing gratitude and exploring components of gratitude would be valuabl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gratitude and its effects on well-being, and suggesting more effec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a diverse population.

특질 불안 경향자의 위협자극에 대한 주의편향 연구: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이용하여
함진선(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355-371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 경향자의 인지적 주의처리과정의 하나인 ‘경계-회피 가설(vigilance-avoidance hypothesis)’에 근거하여 정서적 각성을 유발하는 동영상 시청 후, 특질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이 위협관련 자극에 대해 보이는 주의편향의 특성을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이용하여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9명의 여자 대학생(고 특질 불안집단 14명, 저 특질 불안집단 15명)을 대상으로 각성을 유발하는 외상사건(화재 사고)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한 후,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이용하여 위협과 중립 사진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의 양상을 측정하였다. 각성을 유발하는 동영상의 시청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생리적 지표로 심박률과 자기보고식 측정도구 VAS를 이용하여 주관적인 정서변화를 함께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고 특질 불안집단의 경우, 최초 안구운동의 응시방향이 위협자극을 향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더 빠르게 위협 자극을 탐지하였으나, 자극제시 시간이 길어질 경우 위협 자극에 대한 응시시간이 중립 자극에 머무르는 시간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특질 불안 경향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각성을 유발하는 외상 사건을 경험할 경우, 외상과 관련된 위협 자극을 더 빠르게 탐지하고 경계하는 자동적인 주의기제와 오랜 시간 위협 자극에 노출될 경우, 위협자극을 회피하려는 전략적인 주의기제를 모두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ttentional bias for threat stimuli in high-trait anxious individuals after watching an emotionally arousing film using an eye-tracker on the basis of the vigilance- avoidance hypothesis in order to investigate cognitive attentional-processing in anxiety. For this, 29 female university students (14 high-trait anxious and 15 low-trait anxious participants) watched an emotionally arousing film, which included a traumatic scene of a fire accident, and then were presented with threatening and neutral pictorial stimuli for measurement of attentional bias using an eye-tracker. Results indicated that, in comparison with low-trait anxious participants, high-trait anxious individuals detected threat stimuli automatically faster at an initial orienting fixation, but they showed shorter dwelling time on the threat compared to neutral stimuli at sustained attention over tim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gh-trait anxious individuals after experiencing a traumatic event may use an automatic attentional bias which is characterized by higher vigilance of the threat for a shorter exposure duration, and strategic mechan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avoidance of the threat for a longer duration.

조기발현과 지연발현 경도인지장애의 신경심리학적 특징과 치매로의 진행률 비교
한노을(서울아산병원 신경과) ; 진주희(서울아산병원 신경과) ; 이병화(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서상원(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나덕렬(삼성서울병원 신경과) pp.373-390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를 발병 연령을 기준으로 조기발현 경도인지장애(EOMCI)와 지연발현 경도인지장애(LOMCI)로 구분하여 신경심리학적 특징과 치매로의 진행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기발현 경도인지장애 환자 59명과 지연발현 경도인지장애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초기 신경심리학적 특징을 비교해본 결과, EOMCI가 LOMCI에 비해 대면 이름대기 능력, 의미적 단어 유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적 신경심리평가를 통해 두 집단의 인지 기능의 변화와 치매로의 진행률을 살펴본 결과, EOMCI는 기억력을 평가하는 레이 복합 도형 검사의 즉각 회상에서 호전되는 수행을 보인 반면, LOMCI는 더욱 저하된 수행을 보였다. 치매로의 연간 진행률(Annual conversion rate)은 EOMCI가 9.8%, LOMCI가 17.5%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로의 진행을 예측하기 위해 치매로의 진행 유무에 따라 초기 신경심리 평가를 비교해본 결과, 두 집단에서 모두 치매로 진행한 집단이 진행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억 과제에서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고, EOMCI 중 치매로 진행한 집단은 기억력 뿐만 아니라 의미적 단어 유창성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OMCI와 LOMCI는 신경심리학적으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 집단이며, 특히 EOMCI는 인지 기능 장애가 상대적으로 적고 치매로의 진행률이 낮았으며, 정상 인지 기능으로 회귀되는 경우가 많은 바, EOAD의 전단계로 해석하기보다 우울증과 또는 기타 문제로 인해 인지 기능 장애가 초래된 환자들이 포함된 이질적인 집단일 가능성이 시사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version rate to dementia between early onset MCI (EOMCI) and late onset MCI (LOMCI) patients. We enrolled 150 patients with MCI (59 EOMCI, 91 LOMCI). At baseline, EOMCI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onfrontational naming and semantic word fluency test than LOMCI. Compared to baseline, the follow-up data showed that the immediate recall score for visual memory was improved in EOMCI but declined in LOMCI. The annual conversion rate was 9.8% in EOMCI and 17.5% in LOMCI. To predict the conversion from MCI to dementia, we also compared the baseline neuropsychological data between converters and non-converters within the groups. The converters performed significantly low in memory tests in both MCI groups and the EOMCI converters showed additional impairment in semantic word fluency. This study suggests that EOMCI may differ from LOMCI in terms of patterns of cognitive impairment and that EOMCI may be a heterogeneous group, which includes patients with not only a prodromal state of EOAD but also cognitive impairment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depression.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 평가와 진단에서 K-CBCL과 MMPI-A의 유용성
이슬아(CHA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근향(CHA의과학대학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육기환(CHA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pp.391-399 https://doi.org/10.15842/kjcp.2012.31.1.0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내재화 장애와 외현화 장애를 평가하고 진단하는 데 K-CBCL과 MMPI-A의 유용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내재화 장애로 진단받은 청소년(n=34)과 외현화 장애로 진단받은 청소년(n=29)을 대상으로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와 한국판 MMPI-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K-CBCL의 내재화 관련 척도들은 내재화 장애 집단에서, 외현화 관련 척도들은 외현화 장애 집단에서 각각 더 상승하여 각 집단의 문제행동을 잘 반영하였다. MMPI-A상에서 내재화 장애 집단은 F, Hs, D, Hy, Pd Pa, Pt, Sc, Si 척도가 60점 전후로 상승해있었고, L과 K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 점수가 외현화 장애 집단보다 높았으며, 일부 척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반면 외현화 장애 집단은 60점 이상 상승한 척도가 없었다. MMPI-A는 내재화 장애 집단의 성격 및 정서적 특성을 풍부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외현화 장애 집단의 특성은 잘 드러나지 않았다. 이는 외현화 장애 집단의 심리적 특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향후 진단을 보다 세분하여 MMPI-A 프로파일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Pt, 외현화 문제, 우울/불안, Ma 척도가 두 집단을 분류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t 척도의 예측력이 크게 나타났다. 상관 분석 결과, 일부 척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files of K-CBCL and MMPI-A in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disorders. Parents of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s(n=34) and those with externalizing disorders(n=29) completed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Adolescents in both groups completed the Korean MMPI-A. The subscales of K-CBCL well reflected the behavioral problems of each group. In the MMPI-A profiles, the internalizing disorders group showed elevated scores on F, Hs, D, Hy, Pd Pa, Pt, Sc, and Si. Moreover, in all subscales of MMPI-A except L and K, they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externalizing disorders group, and the difference in some sca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y subscales of MMPI-A was not elevated over 60T score in the profiles of the externalizing disorders group. MMPI-A profiles showe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s but did not reflect well those of adolescents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It could be attributed to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externalizing disorders. Further studies need to recruit participants with more specific diagnosis.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t scale was especially important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ome subscales of K-CBCL and those of MMPI-A showed mild correla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