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Program on Depression, Impulsivity, and Drug Abstinence Self-Efficacy of Drug Addict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Program on depression, impulsivity, and drug abstinence self-efficacy of drug addicts. Those in the center for drug addiction and those in jail for drug addictions were tested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 and Drug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The inclusion criteria were those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addiction to narcotics or who were in a prison for a drug crime, those whose abstinence symptoms had disappeared, and those who had not received reatment for psychiatric diseases other than narcotic addictions,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and impulse control disorders. Fourteen subjects who satisfied the above criteria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n=14) , while another 14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n=14). The MBCT program ran for nine sessions over the course of two months; each session was 90 to 120 minutes long. A total of six people, three from the treatment group and three from the control group, dropped out during this program. Twenty two participants (treatment group n=11, control group n=11) were assessed for depression, impulsivity, and drug abstinence self-efficacy during pre-test and post-test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s for depression, impulsivity, and drug abstinence self-efficacy in the treat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rug abstinence self-efficacy was enhanc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given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마약류 중독,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우울, 충동성, 단약 자기효능감, Drug addiction, Mindfulness,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MBCT), Depression, Impulsivity, Drug Abstinence Self-Efficacy

Reference

1.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 도박중독자를 위한 마음챙김 기반 인지행동 치유 프로그램 매뉴얼.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

김교헌 (2006).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1), 63 -105.

3.

김기봉 (2000). 자기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마약사용극복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설환, 손정락 (2010).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 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1), 189-204.

5.

김성재 (1996). 알코올리즘의 재발에 관한 이론적 모형구축: 정신병원에 입원한 남성 알코올리즘 환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용석 (1998). 미국의 약물중독치료프로그램과 약물중독치료의 최근 동향. 사회복지리뷰, 3, 107-120.

7.

김용진 (1998).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성인약물중독자의 사회심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정모 (2006). 한국판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123-1139.

9.

김정모, 전미애, 박성현 (2006). 마음챙김 명상과 심리치료; 마음챙김명상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94-95.

10.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11.

김지연, 손정락 (2012).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 치료(MBCT) 프로그램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가진 사람들의 걱정, 소화불량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27-42.

12.

대검찰청 (2012). 2011 마약류 범죄백서.

13.

박상규 (2002). 마약류 중독자를 위한 자기사랑하기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3(1), 97-108.

14.

박상규 (2004). 마약류 의존자의 심리적 특성. 상담학 연구, 5, 899-910.

15.

박상규 (2007). 마약류 중독 치료에 있어서의 동양적 수행법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15-732.

16.

박상규, 강성균, 김교헌, 서경현, 신성만, 이형초, 전영민 (2009).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 서울: 학지사.

17.

박상규, 권도훈, 천영민, 전영민, 권영실, 이재규, 김리아 (2009). 마약류 의존자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매뉴얼. 식품의약품안정청,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18.

박성현 (2007). 위빠싸나 명상, 마음챙김, 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7(2), 83-105.

19.

박후남, 유숙자 (2005). 명상수련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 환자의 자기개념, 금주자기효능 및 금주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4(3), 304-312.

20.

배상윤 (2011). 마음챙김명상(K-MBSR)이 알코올 의존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변화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688.

22.

신윤철 (2009). 마음챙김명상이 회복중인 알코올 의존자의 부정적 정서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신정연, 손정락 (2011).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문제음주 대학생의 우울, 충동성 및 문제음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79-295.

24.

유택규, 박상규, 김미영, 유은희, 강병조 (2001). 필로폰 남용 환자와 알코올 남용 환자의 MMPI 비교. 생물치료정신의학, 7(2), 194 -199.

25.

이근후 (1992). 약물남용자의 치료상 문제점과 대책: 약물남용자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치료자의 치료경험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6.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정영조, 홍성국, 이병관, 장필립, 윤애리 (1995).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Ⅰ. 정신병리학회, 4(1), 77-95.

27.

이봉건 (2008).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K-MBSR)이 대학생의 우울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 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333-345.

28.

이정희 (2008).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약물중독자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춘우, 권성민, 조성남, 권도훈, 임효덕, 이성국 (2004). 메스암페타민 사용 환자의 정신과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물치료정신의학, 10(1), 58-67.

30.

이한덕 (2004). 약물남용의 사회적․경제적 비용연구. 아름다운 젊음, 34, 14-21.

31.

이현수 (1994). 충동성검사. 서울: 한국 가이던스.

32.

인현정, 김교헌 (2002). 약물남용자의 자기노출이 부적 정서와 신체병리 경험 및 약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1), 111-124.

33.

임성견, 김정호 (2008).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구심리학회지: 건강, 13(1), 221-236.

34.

장미연 (2006). 만트라명상이 성폭력 가해자의 공격성 및 충동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장성숙 (2000). 현실역동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17-32.

36.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37.

전미애 (2010). 정서조절을 위한 MBCT의 치료적 과정: 근거이론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정세미나 (2009). 마음챙김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노인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조현진,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흡연중학생의 금연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 65-80.

40.

채규만 (2002). 약물 중독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적 접근. 마약류 퇴치 심포지움 자료집. 41-68.

41.

최미례 (2009).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 31-44.

42.

최윤선 (2006).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자 대학생을 위한 마음챙김 명상과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비교.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최현옥, 손정락 (2011).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K-MBSR) 프로그램이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및 수치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469-482.

44.

Abrams, D. B. & Niaura, R. S. (1987). Social learning theory. New York: Guildford press.

4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46.

Antonowicz, D. H. & Ross, R. R. (1994). Correction in America: An introduction. New York: MacMillian Publishing.

47.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New Jersey: Prentice-Hall.

48.

Beck, A. T., Wright, F. W., Newman, C. F., & Liese, B. (1993). Cognitive therapy of substance abuse. New York: Guilford Press.

49.

Braucht, G. N., Brakarsh, D., Follingstad, D., & Berry, K. L. (1973). Deviant drug in adolescence: A review of psychosocial correlates. Psychological Bulletin, 79, 92-106.

50.

Campbell, B. K. & Stark, M. J. S. (1990). Psychopatholog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forms of substance abus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 25, 467-474.

51.

Carroll, K. M. (1998). Therapy manual for drug addiction. A cognitive approach: Treating cocaine addiction. U. S.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5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3.

DiClemente, C. C., Carbonari, J. P., Montgomery, R. P., & Hughes, S. O. (1994). Th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5, 141-148.

54.

Evans, S., Ferrando, S., Findler, M., Stowell, C., Smart, C., & Haglin, D. (2008).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 716-721.

55.

Finney, J. W. & Moos, R. H. (1992). The long-term course of treated alcoholism, mortality, relapse, and remission rates and comparisons with community control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3(2), 142-153.

56.

Grant, J. E. (2009). 충동조절장애. (김교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7년에 출판).

57.

Helzer, J. E. & Pryzbeck, T. R. (1988). The co-occurrence of alcoholism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ts impact on treatment.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9(3), 219-224.

58.

Hesselbr, K, M., Babor, T. F., Hesselbrock, V., Meyer, R. E., & Workman, K. (1983). “Never believe an alcoholic” on the validity of self-report measures of alcohol dependence and related constr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s, 18(5), 593-609.

59.

Kabat-Zinn, J. (1998). 명상과 자기치유. (김교헌, 장현갑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년에 출판).

60.

Kaplan, H. I. & Sadock, B. J. (1995). Comprehensive text of psychiatry, 6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61.

Levinthal, C. F. (2008). 약물, 행동 그리고 현대사회 제4판 (박소현, 김문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5년에 출판).

62.

Mason, O. M., & Hargreaves, I. (2001). A qualitative study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74, 197-212.

63.

Moeller, F. G., Dougherty, D. M., Barratt, E. S., Schmitz, J. M., Swann, A. C., & Grabowski, J. (2001). The impact of impulsivity on cocaine use and retention in treatment.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21, 193-198.

64.

Nancy, G. S. (1991). Fighting alcohol and substance abuse among Indian and Alaskan Native Youth. Eric Digest, ED, 207-335.

65.

Peter, A. M. (2000). Addiction problems and methadone treatment.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19, 170-174.

66.

Ramel, W., Goldin, P. R., Carmona, P. E., & McQuaid, J. R. (2004).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cognitive processes and affect in patients with past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Research, 28, 433-455.

67.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6).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 (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2년에 출판).

68.

Shaw, J. A., Donley, P., Morgan, D. W., & Robinson, J. A. (1975). Treatment of depression in alcoholic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2, 641-644.

69.

Stoltenberg., Scott, F., Batien, B. D., & Birgentheir, D. G. (2008). Does gender moderate associations among impulsivity and health-risk behaviors?. Addictive Behaviors, 33(2), 252-265.

70.

Velasquez, M., Maurer, G. G., Crouch, C., & Diclemente. (2003). 알코올 및 약물중독환자를 위한 집단치료. (다사랑병원 알코올중독연구소 역). 서울: 하나의학사(원전은 2001년에 출판).

71.

Waldeck, T. L., & Miller, L. S. (1997). Gender and impulsivity differences in licit substance use. Journal of Substance Abuse, 9, 269-275.

72.

Williams, J. M. G. (2008) Mindfulness, depression and modes mind. Cognitive Therapy Research, 32, 721-733.

73.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health related problem, 10th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