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불면 증상과 우울 증상에 따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심리적 특성
장은주(경희대학교) ; 강연욱(한림대학교) ; 신원철(경희대학교) pp.277-290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1
초록보기
초록

불면증과 우울 증상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 환자에게 자주 동반된다. 본 연구는 OSA 환자들의 수면 특징, 불면증 및 우울 증상을 비OSA 환자들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OSA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있어 임상적 함의를 발견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면센터에 내원하여 OSA로 진단된 환자 145명(남자 126명, 여자 19명, 평균 나이 49.56±12.06세)에게 수면다원검사, 불면증 검사 및 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실시하였다. 수면다원검사 결과, OSA 집단은 비OSA 집단에 비해서 수면효율성이 낮고 깊은 수면을 유지하는데 더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OSA 집단과 비OSA 집단 모두 유의한 수준의 불면증과 우울 증상을 지니고 있었으나 비OSA 집단이 OSA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불면증과 우울 증상을 나타냈다. 불면 및 우울 증상과 관련이 있는 수면다원검사의 지표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OSA 환자들은 불면증을 호소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실제로 “수면효율성”이 낮고 “수면 중 각성” 지표가 높으며, 우울함을 호소할수록 “총 수면시간”이 적고 “수면효율성”이 낮으며 “수면 중 각성” 지표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비OSA 환자들의 경우에는 불면 및 우울 증상과 중요한 수면 지표들의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OSA 환자를 진료할 때 수면다원검사와 같은 생리적 검사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불면증이나 우울감 등과 같은 주관적 임상 증상의 유무와 정도를 체계적으로 파악한다면, 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들을 미리 예견할 수 있고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Insomnia and depression are common to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o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somnia, and depressive symptoms of OSA and non-OSA patients and to provide clinical implication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A. A total of 145 patients (126 men, 19 women, average age: 49.56±12.06 years), who had been diagnosed as OSA, were administered polysomnography (PSG), the insomnia inventory,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PSG showed that subjects in the OSA group had lower Sleep Efficiency (SE) and more difficulty in maintaining deep sleep than those in the non-OSA group. Although both the OSA and non-OSA groups had a significant level of insomnia and depressive symptoms, the non-OSA group showed more severe insomnia and depression than the OSA group.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identification of the significant indices of PSG relating to insomnia and depression. In the OSA group, patients who complained of more severe insomnia showed low SE and high Wakefulness After Sleep Onset (WASO). In addition, with greater depression, they showed high WASO and low Total Sleep Time (TST) and SE. However, in the non-OSA group,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SI or BDI and important sleep indices of PSG. Thus, for assessment of patients with OSA,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physiological indices of the PSG but also the subjective clinical symptoms, such as insomnia and depression, so that we can anticipate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treatment and design tailored and efficient treatment plans.

한국판 Liebowitz 사회불안 척도: 임상가 평정(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Clinician Administered)의 타당도 연구
강진화(성균관대학교) ; 이정애(성균관대학교) ; 오강섭(성균관대학교) ; 임세원(성균관대학교) pp.291-312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2
초록보기
초록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LSAS)은 사회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의 평가를 통해 사회공포증의 진단 및 증상의 변화를 탐지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 원래는 임상가가 직접 면담을 실시하여 평정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LSAS 임상가 평정(이하 K-LSAS-CA) 두려움 척도의 요인구조 및 신뢰도 및 타당도와 진단적 효용성을 위한 절단점을 알아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발표 상황(public speaking), 낯선 타인과의 상호작용 상황(social interaction with stranger), 자기주장 상황(assertiveness), 공공장소 상황(public interaction),의 네 개의 요인구조가 확인되었고,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K-LSAS-CA 두려움 척도의 하위 요인별 상관을 살펴보면, 요인 1은 다른 사회불안 척도를 포함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및 Beck의 우울 척도 등과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사회공포증 척도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요인 2 역시, 다른 척도들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와는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요인 3과 4의 경우, 요인 1, 2와 유사하게 다른 척도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사회불안 척도및 사회공포증 척도와의 상관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ROC 분석 결과, K-LSAS-CA의 총점, 두려움 척도, 하위 척도의 AUC가 .80이상으로 진단적 유용성이 시사되었으며, 각각 68점, 33점, 34점 이상일 때, 민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최대가 되었다. 사회공포증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K-LSAS-CA와 한국판 LSAS 자기보고 형식(이하 K-LSAS-SR)을 비교한 결과, 일반인 집단의 경우, K-LSAS-CA 점수에 비해 K-LSAS-SR의 총점 및 하위척도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LSAS), a clinician-administered measure of social anxiety and avoidance, was originally developed with separate subscales for assessment of fear and avoidance of situations involving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observation by oth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Korean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Clinician Administered (K-LSAS-CA) and to demonstrate its diagnostic efficacy.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a sample consisting of 28 social phobic patients and 98 healthy adults showed a four-factor structure for each : (1) public speaking, (2) social interaction with strangers, (3) assertiveness, and (4) public interaction. We performd ROC analysis in order to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instrument and for assessment of diagnostic efficacy. In comparision of K-LSAS-CA and K-LSAS-SR (self-report version) in the group of 98 healthy adults, the total score for K-LSAS-S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s group. Finally, we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 LSAS-CA with regard to the study and treatment of social anxiety disorder.

청소년의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김민주(숙명여자대학교) ; 하은혜(숙명여자대학교) pp.313-330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실행기능 결함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중학생 450명(남자 197명, 여자 253명)을 대상으로 ADHD 진단척도, 청소년용 자기보고식 실행기능 행동 평가 척도(BRIEF-SR), 또래관계 질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ADHD 증상이 심한 청소년일수록 실행기능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크고, 전반적인 또래관계 질이 낮으며, 부정적인 또래관계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 증상의 하위유형 중 주의력 결핍 증상이 충동성 및 과잉행동 증상보다 또래관계 질의 전반적인 저하와 실행기능의 문제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행기능의 하위요인 중 전환, 자기감찰, 과제완성의 어려움이 클수록 전반적인 또래관계 질이 낮았고, 계획/조직, 과제완성, 자료의 구조화 문제가 심할수록 긍정적인 또래관계 경험이 부족했으며, 억제, 전환, 감정조절의 문제가 클수록 부정적인 또래관계 경험이 심각하였다. ADHD 증상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행기능 결함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하였고, ADHD 증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증상 자체의 특성보다 일상생활에 실행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또래관계 부적응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ymptoms of ADHD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Subjects included 450 middle school students, 197 boys and 253 girls in Seoul, who were assessed using the ADHD Rating Scal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Scale. SPSS 15.0 and AMOS 7.0 were used for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ift, monitor and task completion, which wer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score for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addition, plan/organize, organization of materials, and task completion had effects on the positive sub-factor of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inhibit, shift, and emotion 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negative sub-factors. Second, total score for executive functions perfectly mediated the way in which ADHD symptoms effect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adolescents could have peer relational difficulties resulting from defects of executive functions, not just by primary ADHD symptoms.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executive functions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symptoms of ADHD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기질 및 성격,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우울증의 관계: 정신과 내원 우울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유경(인제대학교) ; 최영민(인제대학교) ; 최지영(인제대학교) pp.331-350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 및 성격,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우울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기질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으로서 성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역할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정신증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주요 우울 장애, 기분부전장애, 달리 세분되지 않는 우울장애 등으로 확진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정신증적 장애와 정신지체, 치매 혹은 뇌손상이 있거나 의심되는 사례, 또한 불성실한 응답으로 자료의 손실이 있는 사례를 제외하여 총 137명(남자 76명, 여자 6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 우울증과 가장 관련이 높은 변인은 기질에서는 위험회피와 자극추구, 성격에서는 자율성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문제해결 대처방식이 우울증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기질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순차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한 이중매개 모형이, 우울증에 대한 각 변인의 독립적인 경로만을 설정한 단순효과 모형과 기질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병렬적으로 매개한다고 가정한 병렬매개 모형 등의 대안적 모형에 비해 우수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높은 위험회피와 낮은 자극추구 성향과 자율성, 문제해결 대처방식의 낮은 사용이 우울증에 대한 취약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질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율성과 같은 성격 특성과 이와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해결 대처방식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emperament, character, coping styl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 and coping style on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psychiatric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out psychotic features, Dysthymic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NOS. We excluded some cases for several reasons(patients who were also diagnosed as Psychosis, Mental retardation, Dementia and Other cognitive disorder caused by brain damage, and loss of data);, a total of 142 cases(male 76, female 66)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of harm avoidance and novelty seeking in temperament, self-directedness in character, and problem-solving in coping style with depression.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harm avoidance and novelty seeking were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and problem-solving on depression, in order, meanings that the effects of harm avoidance and novelty seeking were completely mediated through self-directedness, and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were mediated in part by problem-solv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harm avoidance, low novelty seeking, self-directedness, and problem-solving ar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the effects of temperament on depression may depend on the character, like self-directedness and the coping styl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청소년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시도의 보호요인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역할
안소정(한림대학교) ; 박은희(한림대학교) ; 홍현주(한림대학교) ; 송정은(가톨릭관동대학교) ; 육기환(차의과학대학교) ; 김소은(한림대학교) pp.351-366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자살시도의 보호요인으로서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3개 대학 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하여 정신과 전문의로부터 우울증 진단을 받은 만 11~18세 청소년 외래 및 입원환자 중에 반 구조화된 면담인 K-SADS-PL을 통해 우울증이 확진된 59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컬럼비아대학 자살 심각성 평가척도(C-SSRS)를 사용하여 실제 자살을 목적으로 자살시도를 1회 이상 보인 환자군을 자살시도군(26명)으로 구분하였고 실제 자살시도를 하지 않은 환자들은 비자살시도군(33명)으로 분류하였다. 두 집단 간 우울, 자살생각 및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비교분석 한 결과, 비자살시도군이 자살시도군에 비해 자살생각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회복탄력성의 일부인 긍정성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후, 자살생각이 자살시도군과 비자살시도군을 변별하는 데 있어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생각의 주효과가 유의하였고 자살생각과 회복탄력성의 일부인 긍정성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높은 긍정성이 자살생각이 증가할 때 자살시도를 할 확률을 완화시키는 보호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Suicide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adolesc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Approximately 15,906 adolescents died by suicide in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resilience as a protective factor for suicide in adolescent patients with depression. The participants(n=59) underwent a psychiatric interview which included the Korean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K-SADS-PL) and the Columbia University Suicide Severity Rating Scale (C-SSRS). In addition, they completed the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s Scale for Suicidal Ideation(B-SSI), & the Resilience scales. Thus, 26 patients with a history of attempting suicide were classified as the Suicide Behavior group and 33 patients were identified as the Non-Suicidal Behavior group. As a result, ‘positivity’ was suggested as playing a key role in suicide attemp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충족의 매개효과
서수균(부산대학교) ; 김윤희(부산장신대학교) pp.367-381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안녕감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충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노대처행동은 이성적대처, 기분전환, 정서적해소(털어놓기), 회피, 공격적표현으로 구분하였으며, 주관적안녕감은 삶의만족도와 정적/부적정서로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분노대처행동, 기본심리욕구충족, 주관적안녕감을 평가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분노대처행동 중에서 기본심리욕구충족과 주관적안녕감 모두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것은 이성적대처와 회피였다. 이를 근거로 매개모델(이성적대처/회피 → 기본심리욕구충족 → 주관적안녕감)에 대한 구조방적식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매개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였으며, 매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주관적안녕감에 대한 이성적대처나 회피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모델이 지지되었다. 분노유발 상황에서 이성적대처를 많이 하고 회피를 적게 할수록 기본심리욕구가 많이 충족되며 이는 주관적안녕감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시사된다.

Abstract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al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anger coping behaviors and subjective well-being. Anger cop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ive types (Rational coping, Aggressive expression, Avoidance, Emotional resolution, and Distraction). Subjective well-being was assessed using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Positive/Negative affect. A total of 387 undergraduat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Rational coping and Avoidance in anger coping behaviors showed stas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wo mediation models(Rational coping/ Avoidance→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subjective well-being)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wo models showed satisfactory fits to data, and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Rational coping/Avoid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Rational coping/Avoid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tional coping/Avoidance in anger coping behaviors is important for enhanc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at these coping behaviors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비자발적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치료의 효과
임영진(대구대학교) pp.383-396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발적 내담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효과가 검증된 바 있는 긍정심리치료 기법을 사용하여 긍정심리치료 프로토콜을 구성하였으며 우울증상을 경험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 심리치료의 효과를 대기자 통제집단과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치료 실시 후에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수준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우울증상과 부정정서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결과는 긍정심리치료가 비자발적 내담자의 부정정서와 우울증상의 감소에 유용한 심리치료라는 점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positive psychotherapy (PPT) on the involuntary clien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PPT intervention is aimed at increasing happiness and decreasing the levels of depression. College studen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PPT intervention (n = 22) or to a waiting list (n = 36). All participants completed measur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assessment of depression (CES-D), life satisfaction (SWLS),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PANAS). PPT intervention l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depression symptoms and negative emo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PPT intervention can have effects not only on voluntary clients but also involuntary clients.

정서몸짓에 대한 사회불안자의 경계·회피 반응 연구
김동현(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이장한(중앙대학교 심리학과) pp.397-411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안구운동 추적장비를 사용하여 사회불안자의 정서(행복 및 분노) 몸짓 인식과정에서의 주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점수를 기준으로 높은 사회불안 집단(19명)과 낮은 사회불안 집단(19명)을 선발하여 행복 및 분노몸짓을 각각 중립몸짓과 짝지어 제시한 후 안구운동을 측정하였다. 안구운동 측정 후에는 실험자극으로 사용된 사진 속 인물에 대해 정서 종류 및 강도, 악의, 위협 수준을 평정하였다. 실험 결과, 높은 사회불안 집단은 자극제시 직후 중립몸짓보다는 분노와 행복몸짓에 주의를 기울였다가 바로 회피하는 전형적인 경계-회피 반응을 보인 반면, 낮은 사회불안 집단은 분노몸짓에 대한 회피반응만을 보였다. 또한, 높은 사회불안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행복몸짓을 더 위협적으로 평정하며 정서몸짓, 특히 분노몸짓의 강도를 강하고 위협적으로 지각할수록 더 강한 회피반응을 보였다. 이를 통해 높은 사회불안자가 분노와 행복몸짓에 대해 경계-회피반응을 보이며, 정서몸짓을 실제보다 더 위협적으로 지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entional process of emotional (happy and angry) bodily expression recognition of a group of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We presented pairs of emotional (angry or happy) and neutral bodily expressions to 17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HSA) and 19 individuals with low social anxiety (LSA) and measured eye-movement. Categorization of emotion and rating for emotional intensity, malice, and threatening level of bodily expression was performed after measurement of eye mo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participants in the HSA group were initially fixated and immediately avoided to happy and angry body compared to neutral body. However, participants in the LSA group showed avoidance toward angry body only. In the subjective rating and categorization, participants in the HSA group perceived happy bodily expression as more threatening than those in the LSA group. In addition, participants perceived emotional bodily expression as more intense and threatening, they showed greater avoidance of staring at emotional bodily exp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participants in the HSA group showed a vigilance-avoidance pattern toward emotional bodily expression and perceived emotional bodily expression as more intensive and threatening.

아동기 외상 경험이 경계선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 애착 불안정의 매개효과
이우경(서울사이버대학교) ; 최은실(경일대학교) pp.413-430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과 경계선 성격특성과의 관계에서 회피형 애착유형과 불안형 애착유형으로 구분되는 애착 불안정 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있는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 여자 대학생 504명이었으며, 측정 도구로는 외상 사건 질문지(Trauma Antecedents Questionnaire: TAQ), 친밀 관계 경험 질문지(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 경계선 성격특성 척도(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동기 외상은 경계선 성격, 회피형 애착유형, 불안형 애착유형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아동기 외상이 경계선 성격에 미치는 영향에서 애착유형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회피형 애착유형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불안형 애착유형 역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외상 사건이 경계선 성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회피형 애착유형과 불안형 애착유형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기 외상이 경계선 성격을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동기 외상이 주요 대상과의 불안형 또는 회피형 애착유형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면서 경계선 성격특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attachment insec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ubjects included 504 cyber university femal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Trauma Antecedents Questionnaire (TAQ),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 (ECR-R), and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 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hood traum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attachment insecur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econd,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supported the proposed mediation model. The results support a link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support the hypothesis that ECR-Avoidance and ECR-Anxiety partially mediates this relationshi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addition to the direct effects of childhood trauma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ere are also indirect effects that are mediated by attachment insec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suggested.

조현형 인격성향을 가진 여자 대학생의 공간 작업기억 결함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이효진(성신여자대학교)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431-453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에서 관찰되는 공간 작업기억의 결함이 조현형 인격성향군에서도 관찰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현형 인격성향군(n=15)과 정상통제군(n=16)의 공간 작업기억을 지연-반응 과제와 사건관련전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지연-반응 과제는 두 조건, 즉 제시되는 자극의 위치를 단순히 기억하는 것이 요구되는 유지 조건과 제시되는 자극의 위치를 지시에 따라 조작하여 기억하는 것이 요구되는 조작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지연-반응 과제의 반응시간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유지 조건에 비해 조작 조건에서 유의하게 더 긴 반응시간을 보였고, 조현형 성향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해 두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긴 반응 시간을 보였다. 반응정확률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유지 조건에 비해 조작 조건에서 유의하게 낮은 반응정확률을 보였고, 유지 조건에서는 정상통제군과 조현형 성향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조작 조건에서는 조현형 성향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반응정확률을 보였다. 사건관련전위의 P200 진폭에서 두 집단이 두 실험 조건에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즉 유지 조건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P200 진폭 차이가 관찰되지 않은 반면, 조작 조건에서는 조현형 성향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P200 진폭을 보였다. 조작 조건에서만 관찰된 P400의 진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조현형 성향군이 공간 작업기억의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결함이 정보의 파지보다는 정보의 조작 과정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P200이 주의 및 자원 할당을 포함하는 공간 작업기억의 집행적 처리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조현형 인격성향군이 공간 작업기억의 집행적 처리 기능의 결함을 가지고 있고, 공간 작업기억의 결함이 조현병 인격장애군을 포함하는 조현병 스펙트럼의 특성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deficits in spatial working memory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schizotypal traits using a delayed-response task and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The schizotypal trait (n=15) and normal control (n=16) groups were determined based on scores on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The delayed-response task consisted of two conditions, i.e., maintenance (to judge whether the locations between the present and previously presented stimuli were the same or not) and manipulation (to manipulate the location of the presented stimulus based on the instructions, and to judg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present stimulus was consistent with that of manipulated) conditions. In terms of response times (R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faster RTs in maintenance than in manipulation conditions. The schizotypal 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nger RTs in both conditions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accuracy rate,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maintenance condition, whereas in the manipulation condition, the schizotypal trai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rate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ERP results, P200 amplitude was greater in the manipulation condition than in the maintenance condition.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P200 amplitudes in the maintenance condition, whereas the schizotypal 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P200 amplitud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manipulation condition.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P400 amplitudes. Since the P200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executive aspects of spatial working memory, including allocation of attention and resource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trait have impaired spatial working memory, which could serve as a trait-marker of schizosprectrum disorder.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청소년의 적응문제에 대한 기질 및 성격 차원의 영향
김근향(CHA의과학대학) pp.455-464 https://doi.org/10.15842/kjcp.2013.32.2.011
초록보기
초록

청소년의 심리적, 행동적 문제와 기질 및 성격 차원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임상집단일 경우에도 진단과 문제의 종류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주호소와 진단, 경과, 예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질적인 집단인 정신건강의학과 내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적응문제에 대한 기질 및 성격 차원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101명의 청소년환자들의 MMPI-A 중 청소년의 적응문제와 관련된 5개 내용척도(소외, 품행문제, 낮은 포부, 가정문제, 학교문제)와 JTCI 12-18 자료를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적응문제 중 학업 및 성취, 학교문제에 있어서는 자율성 성격차원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던 것에 비해, 부모와의 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관계문제와 그로 인한 소외, 그리고 행동적인 문제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끼치는 차원은 위험회피 기질차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규모 임상집단을 통해 반복검증되어야 하겠지만 청소년환자들의 적응수준에 초점을 두고 적응문제와 기질 및 성격 차원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and temperament/character in adolescents was examined according to diagnos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clinical samples or in non-clinical sam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ment/character for adaptive problems in psychiatric adolescents. They are a heterogeneous group with regard to complaints, diagnoses, progress, and prognoses etc.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etween MMPI-A content scales(A-aln, A-con, A-las, A-fam, A-sch) and the JTCI 12-18 sub-scale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of achievement level, and school problems to Self- Directedness. However alienation, social relational problems such as conflict with parents, and school problem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to Harm-Avoidance. These results should be replicated with larger samples. However, this study was meaningful with regard to examination of the features of psychiatric adolescents' temperament/character focusing on adaption not only on psychopatholog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