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E-ISSN : 2733-4538
The current study was aimed at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self-report inventory of psychological symptom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the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PSI-NKR-A). After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 derived 11 subscales and 118 preliminary items: five Internalization Scales(Depression, Somatizat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ost-Traumatic Stress), two Externalization Scales(Anger and Conduct Problem), and four Supplementary Scales(Psychosis, Low Self-Esteem, Academic Stress, and Family problems). We administered the 118 preliminary items to 186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nd examined correlation of the items with some criterion scales and the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s, resulting in a final version of the PSI-NKR-A, comprising 98 items and 11 subscales. We then administered the final version of the PSI-NKR-A to 190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order to assess i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original participants, 86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retest study.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the PSI-NKR-A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rrected item-total correlations, test-retest reliability. Finally, applications of the PSI-NKR-A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강효림 (2007). 탈북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금명자, 권해수, 이희우 (2004). 탈북 청소년의문화 적응 과정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심리치료, 16(2), 295-308.
길은배, 문성호 (2003).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문제와 정책적 함의. 청소년학연구, 10, 163-186.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부.
김동원 (2008).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민병배, 이정흠 (2005).다면적 인성검사-청소년용. 서울: 마음사랑.
김희경, 신현균 (2010). 지역사회 정착 전후 북한이탈주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 증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659-676.
박윤숙 (2006).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백혜정, 길은배, 윤인진, 이영란 (2007). 남한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준비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183-211.
신현균, 김희경, 임지영 (2010). 북한이탈주민용 간이심리상태검사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3),777-798.
안도희, 박귀화, 백광진, 정상인 (2007). 의과대학생들의 학업동기,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성적에 대한 지각 간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19(1), 59-71.
양계민, 황순택 (2008). 입국초기 새터민 청소년들의 심리적 건강상태에 관한 탐색적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9, 333-358.
양영은, 배임호 (2010).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41, 189-224.
오경자, 하은혜, 이혜련, 홍강의 (2001). K-YSR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 척도.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유가효, 방은령, 한유진 (2004). 한국사회에서탈북 아동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사회적응: 초기 사회적응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185-196.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 (2007).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심리치료, 19(3), 693-718.
이기영 (2002). 탈북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3,174-224.
이기영, 성향숙 (2001).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탈북자가구주 및 그 배우자의 인식을 중심으로.한국사회복지학, 47, 243-271.
이선미, 은헌정 (1999).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8(3), 501-513.
이현심, 박주현, 최덕경 (2011). 북한이탈청소년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3, 309-341.
이훈진, 원호택 (1995).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277-290.
임지영, 한경희, 민병배, 이정흠, 문경주, 김중술 (2006). 한국판 MMPI-A의 개발 연구.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565-586.
정병호 (2004). 북한 기근의 인류학적 연구. 통일문제 연구, 16, 109-140.
정진경, 정병호, 양계민 (2004). 탈북 청소년의남한 학교 적응. 통일문제연구, 16, 209-239.
조영아, 김연희, 김현아 (2011).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18, 33-57.
최정식 (2009). 한국판 정신과적 진단 선별 질문지(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Questionnaire; PDSQ)의 진단적 타당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통일부 (2012).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통일부홈페이지.
하은혜 (2005).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 (K-YSR)의 신뢰도와 타당도. 아동연구, 18, 83-104.
한만길 (2010). 탈북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홍덕기 (2002). 탈북귀순 청소년의 생활적응에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Derogatis, L. R. (1977). SCL-90-R (revised) manual Ⅰ.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Vallerand, R. J., Pelletier, L. G., Blais, M. R., Briere, N. M., Seneecal, D., & Vallieres, E. F. (1992).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A measure of intrinsic, extrinsic, and a motivation in educ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4) , 1003-1017.
Zimmerman, M., & Mattia, J. I. (2001). A self-report scale to help make psychiatric diagnoses: The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Archive General Psychiatry, 58, 787-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