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The Relation of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of Police Offic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police officer's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The Traumatic event scal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Job stress scale were administered to 500 police officers working in Gyeonggi-do. To determine the relation of Police officer's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interaction effects, multiple regress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run using obtained data.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 events caused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In particular, subjective amount of shock of traumatic events was a stronger predictor than the number of traumatic events in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Results also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relation to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police officer, traumatic event, PTSD symptom, Depression, Job stress, 경찰공무원, 외상성 사건, PTSD 증상, 우울, 직무스트레스

Reference

1.

권석만 (2003).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2.

권용철, 유성은 (2013).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649-665

3.

김 구 (2005).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3), p.59-87

4.

김자혜, 김정규 (2013). 경찰공무원의 외상사건 유형과 PTSD 증상의 관계. 한국경찰연구, 12(3). 27-50.

5.

박성수 (2002).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3호, 한국공안행정학회.

6.

박지영 (2004). 119구조대원 및 그 가족의 정서적 반응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7권, p.158-191.

7.

배점모 (2011).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 비교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신성원 (2007). 경찰공무원의 일상적. 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양승돈 (2004).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중․하위직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유영현 (1998).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스트레스 완충요인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유지현 (2006).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정서상태,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윤예심 (2007).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사건충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상현 (2005). 경찰동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옥정 (2010).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전유진. (2010). 경찰공무원의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주성아 (2009). 직무수행 중 사상사고를 경험한 지하철 승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황인희 (2009).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Bell, J. L. (1995). Traumatic event debriefing: Service delivery design and the role of social work. Social Work 40, 36-43.

19.

Brown, J. M., Campbell, E. A. (1990).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police. Work and Stress, 4, 305-318

20.

Carlier, I. V. E., Lamberts, R. D., & Gersons, B. P. R. (1997).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police officers: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Nervous & Mental Disease, 185, 498-506.

21.

Carlier, I. V. E., Lamberts, R. D., & Gersons, B. (2000).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debriefing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debriefing. Disaster Management, 2(1), 25-30.

22.

Clair, M. E.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incidents, hostility and PTSD symptoms in police officer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7(06), 3443.

23.

Green, B. (2004).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K police officers.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0(1), 101-105.

24.

Ivancevich, J. M., & Matterson, M. T. (1980). Stress and work: A managerial perspective. Glenview, IL: Scott

25.

Thomas-Riddle, R.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work stress, and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and cynicism in police offic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ty, San Diego, California.

26.

Marmar, C., McCaslin, S., Metzler, T.,Best, S., Weiss, D., Fagan, J., Et al. (2006).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in Police and Other First Responder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1071, 1-18.

27.

Paton, D., Violanti, J. M., Karena, B., & Gehrke, G. (2009). Traumatic Stress in Police Officers: A Career Length Assessment from Recruitment to Retirement.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28.

Stephens, C., Long N., & Miller, I. (1997). The impact of trauma and social support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study of New Zealand police officer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5(4), 303-314.

29.

Stephens, C., & Long, N., (2000). Communication with police supervisors and peers as a buffer of work-related traumatic stres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4), 407-424.

30.

Williams, T. (1993). Trauma in the workplace. In: Wilson, J. P. and Raphael, B.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Traumatic Stress and Syndromes, Plenum Press, New York, pp. 925±93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