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수용전념치료(ACT)에서 과정변인이 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김혜은(서울여자대학교) ; 박경(서울여자대학교) pp.429-458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인 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우울증에 대한 수용전념치료(ACT)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우울증의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영향을 미치는 과정 변인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우울증 판별을 위한 사전 선별 평가를 통해 선발된 31명 중 ACT 집단에 16명, 대기 통제 집단에 15명이 할당 되었다. 이들은 Beck 우울척도, 수용 행동 질문지, 자기 자비 척도,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전, 중간, 사후에 수행하였다. 또한 ACT 집단의 경우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도중 2주 간격으로 중간 평가를 4회 실시하였으며, 치료 프로그램 종결 2개월 후와 4개월 후에 추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ACT 집단은 대기 통제 집단에 비해 우울 수준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과정 변인인 수용 행동, 자기 자비, 마음챙김 역시 대기 통제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뿐만 아니라 집단치료 종결 4개월 후의 추적 조사까지 모든 변인에 대한 치료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수용 행동, 자기 자비는 우울증에 대한 수용전념치료(ACT) 효과를 매개하는 과정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용전념치료(ACT)가 여성의 우울증 완화에 효과적이며 장기적인 치료 효과의 지속으로 재발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group therapy based on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for women’s depression. In screening evaluation for depression, thirty one young adult females with depress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group therapy from volunteers. Sixteen of them attended group therapy of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for depression, which consisted of 10 weekly 120 min sessions. The other fifteen were assigned to waiting list control.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rised of Beck’s depression inventory, acceptance action questionnaire, self-compassion scale,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at pretreatment, middle term, and posttreatment. In the ACT group, outcome variable (depression) and process variables (acceptance,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were assessed at two week intervals for ten weeks, as well as twice at follow up. The ACT group not only showed remarkable reduction of depression, but also process variables (acceptance,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hange at the time of entry. Further, their changes were maintained until follow up after a four month lapse. In particular, mediational analysis verified that change of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mediated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depression at follow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roup therapy of ACT for depression is not only effective for reduction of women’s depression, but also contributes to prevention of relapse of women's depression because of the persisting effect of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 for a future study were discussed.

고문 생존자의 외상기억표상의 특성과 외상후 심리적 증상과의 관계
최현정(서울대학교) ; 이훈진(서울대학교) ; 이화영(인권의학연구소) pp.459-479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문 생존자 213명의 참여로 외상기억표상의 특성을 탐색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및 우울 증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우울 증상에 관한 자기보고형 척도를 완성하였고, 외상기억표상은 자기보고형 외상기억양상질문지(Trauma Memory Quality Questionnaire, TMQQ)로 측정하였다. TMQQ는 이중기억표상 중 감각기반기억표상을 측정하는 것으로 보이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두 하위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요인 1은 지금-여기의 감각적 재체험과 관련되어, 이를 해리성 재체험 감각기반기억표상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반복 및 단절성 시각 체험과 관련되어, 파편적 시각체험기억표상으로 명명하였다. 주요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외상 경험 관련 변인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외상후 심리적 증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을 때, 해리성 재체험 감각기반기억표상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및 우울 증상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파편적 시각체험기억표상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중 재경험 증상만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고문과 같은 심각한 외상 경험은 강한 감각기반기억표상으로 활성화되며, TMQQ는 이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리성 재체험 감각기반기억표상은 우울을 포함하는 외상후 심리적 증상과 관련이 높으므로 이를 통합하는 치료적 개입이 요구된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nature of trauma memory representations and examined its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ymptoms with the participation of 213 torture survivors.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scal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rauma memory representations were assessed using the self-report Trauma Memory Quality Questionnaire(TMQQ). The TMQQ appeared to assess the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and it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here-and-now sensory reliving quality appeared to reveal the nature of the first factor, the dissociative reliving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The repetitive and broken visual experiences reflected the nature of the second factor, the fragmented visual experience memory representation. In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ymptom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variables related to trauma experiences showed that the dissociative reliving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explained PTSD and depressive symptoms significantly. The fragmented visual experience memory representation explained PTSD reexperience symptoms only. Severe traumatic experiences such as torture can be activated into predominant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s, and the TMQQ appears to reflect these qualities well. Since dissociative reliving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s are related to posttraumatic psychological symptoms, including dep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target the integration of these memory representations.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향상과 부정적 정서 감소를 위한 롤플레잉게임 형식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예비연구
배성훈(충북대학교) ; 황순택(충북대학교) ; 정은정(이대목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pp.481-508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 불안, 분노감을 감소시키고 스스로 부정적인 정서들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롤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이라는 게임의 장르를 집단 상담프로그램과 접목하여 치료적 효과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참여 동기 및 재미를 향상시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정신보건센터 및 초등학교, 지역아동센터에서 정서 및 행동 문제로 의뢰된 60명의 아동이다. 그리고 이들은 각각 처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배정되었고 처치집단에는 주 1회, 60분 동안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치집단의 우울, 상태불안, 특성불안, 분노가 대기통제집단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이 종결된 시점에서 30일이 지난 후, 재측정을 했을 때에도 우울, 상태불안, 특성불안, 분노는 계속 감소된 상태가 유지되었고,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능력도 증가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었다. 반면 대기통제집단은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RPG형식 프로그램은 우울, 불안,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들의 감소와 이러한 부정적인 정서들에 대한 정서조절능력,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program which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nimize negative emotion and improve their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and self-esteem. This program was a synthesis treatment which include a role playing game and group therapies. A total of 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ruited by a mental health center or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containing 30 students each. The study duration included 10 program events lasting 60 minutes each, which were held once per week. The study program included activities and observations that tested depression, state-anxiety, trait anxiety, anger,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and self-esteem. Results after 30 days showed that test, depression, state-anxiety, trait anxiety, and anger score had all decreased and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self-esteem score improved. In conclusion, the RPG-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program integrated group therapy produced desirable effects for the purpose of dispelling negative emotion and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bility and self-esteem.

스트레스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성의 조절효과
백지영(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서수균(부산대학교) pp.509-529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 삶의 의미 및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삶의 의미는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으로, 안녕감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으로 세분화해서 살펴보았다. 재학 중인 26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 삶의 의미,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생활 스트레스는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주관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의 조절효과는 없었으나 의미발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주관적 및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의미발견이 통제된 상황에서 의미추구는 주관적 안녕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심리적 안녕감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발견과 의미추구의 수준에 따라 4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이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보았다. 의미 발견과 의미추구가 모두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모두 가장 높았다. 주관적 안녕감이 가장 낮은 집단은 의미발견이 낮고 의미추구가 높은 집단이었다. 반면 심리적 안녕감이 가장 낮은 집단은 의미발견과 의미추구가 모두 낮은 집단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life stress, meaning in life, and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Meaning in life was measured by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Wellbeing was measured by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Life stress, the Meaning in life, and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implemented in 247 university students. In correlation analysis, the life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jectiv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t interaction effects of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between life stress and well-being.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presence of meaning, but not search for meaning,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t interaction effects of search for meaning between presence of meaning and well-being.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arch for meaning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in lif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levels of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High presence-high Search’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lowest Subjective Wellbeing group was ‘low presence-high search’, and the lowest Psychological Wellbeing group was ‘low presence-low search’.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 were also discussed.

경찰공무원의 외상성 사건과 PTSD 증상 및 우울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한보람(세브란스 병원) ; 김정규(성신여자대학교) pp.531-548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이 경험하는 외상성 사건의 외상후 스트레스(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증상 및 우울의 관계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경찰청에 근무하는 500명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외상성 사건척도(Traumatic Event),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한국판 Beck 우울척도(Korean-Beck Dpression Inventory: BDI), 직무스트레스척도(Job Stress)이며 질문지를 통해 얻은 자료에 대해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외상성 사건의 개수와 충격정도는 PTSD 증상 및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외상성 사건 개수보다 주관적인 충격정도가 더 큰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외상성 사건과 PTSD 증상 및 우울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police officer's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The Traumatic event scal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Job stress scale were administered to 500 police officers working in Gyeonggi-do. To determine the relation of Police officer's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interaction effects, multiple regress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run using obtained data.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 events caused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In particular, subjective amount of shock of traumatic events was a stronger predictor than the number of traumatic events in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Results also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relation to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계: 대학생 집단과 중년 집단의 비교
박선영(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권석만(서울대학교) pp.549-569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집단(n=308)과 중년 집단(n=154)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의 다양한 차원과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연령에 상관없이 삶의 의미의 중요도, 일치도, 의미감은 주관적 안녕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중요도를 제외한 일치도와 의미감의 관련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중년 집단에서는 삶의 의미와 우울의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삶의 의미의 원천과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면, 연령에 상관없이 자기 관련 요인에 해당하는 원천에서 의미감을 경험하는 것이 높은 주관적 안녕, 낮은 우울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과의 관계에서 의미감을 경험하는 것이 낮은 우울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학생 집단은 친구와의 관계에서 의미감을 경험하는 것이 높은 주관적 안녕과 낮은 우울과 관련되는 반면, 중년 집단은 봉사 및 사회적 기여에서 의미감을 경험하는 것이 높은 주관적 안녕과 관련되고,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의미감을 경험하는 것이 낮은 우울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다양한 차원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가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지만, 본 연구가 제한된 표본을 대상으로 새롭게 개발된 척도로 측정한 탐색적 연구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meaning in life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using samples of university students(n=308) and middle-aged adults(n=154).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of importance, consistency, and meaningfulness of meaning in life with subjective well-being regardless of age. On the other hand, consistency and meaningfulness of meaning in life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was stronger in middle-aged adults. Next, regardless of ag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a sense of meaningfulness from the source of self-related factors reported a high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an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and those experiencing a sense of meaningfulness from family relationship reporte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Howeve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a sense of meaningfulness from friend relationship reporte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an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while middle-aged adults sensing meaningfulness from social services and contributions reporte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ose sensing meaningfulness from partner relationship reporte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diverse dimensions of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health may vary by age, yet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hat this study is exploratory with a newly developed scale on limited samples.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입원만족도에 미치는 병동분 위기의 영향 -보호병동 입퇴원 시 환자보고의 비교-
김근향(CHA의과학대학교) pp.571-589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7
초록보기
초록

최근 의료장면에서도 서비스의 중심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요자로 이동함에 따라 정신건강 영역에서도 임상적 평가 외에 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시작했다. 게다가 환자만족도에 대한 평가에서도 구조적인 면을 중시하던 과거와는 달리 점차 과정과 질을 중시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요소 중 병동 분위기에 주목하여 이것이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입원만족도에 어떠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만족도평가에 혼입될 수 있는 우울과 긍정 또는 부정 정서상태를 통제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에 입원한 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직후와 퇴원직전에 입원만족도와 병동분위기, 우울 및 불안, 긍정 및 부정 정서, 삶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입원만족도 변량에 대해 입원 직후에는 우울과 긍정정서, 치료진의 지지적인 병동분위기가 54.2%, 퇴원 직전에는 우울과 부정정서, 치료진의 지지적인 병동분위기가 59.2%를 설명하였다. 두 시점 모두에서 입원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한 요인은 병동분위기 중에서도 치료진의 지지와 수용이었지만 측정시기에 따라 입원만족도를 예측하는 정서의 종류에는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치료진의 노력으로 환자들의 입원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 초점울 두어 결과를 논의하였다.

Abstract

Recently, with the movement from consumer-driven to provider-oriented mental health services, psychiatric patients' satisfaction is now being regarded as important. Besides, when assessing satisfaction of psychiatric patients, people are more concerned with process and quality than the structure and quantit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rd atmosphere on inpatients' satisfaction in a closed psychiatric ward. In addition,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positive/negative affect which could be mixed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ere controlled. A total of 53 patients in a closed psychiatric ward completed self-report scales on inpatient satisfaction, ward atmosphere, depression, anxiety, positive/negative affect two times, immediately after admission and just before discharge.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depression, and positive/negative affect, and ward atmosphere(support and acceptance of staffs) explained 54.2% of total variance at the time of admission. When leaving the hospital, depression, negative affect, and ward atmosphere(support and acceptance of staffs) explained 59.2% of total variance. In particular, the support and acceptance of staffs showe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inpatients' satisfaction each time. However, the affect predicting inpatients' satisfaction was different with assessment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results from the standpoint that service providers or staffs should focus on factors affecting psychiatric patients'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ffort of hospital staff could improve psychiatric patients' satisfaction.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증상 간 관계: 역기능적태도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및 성차
신현균(전남대학교) pp.591-613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우울증의 주요 설명 변인인 스트레스, 자존감, 역기능적태도 간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차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초등 5, 6학년 아동 465명(남 236, 여 22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질문지, 역기능적태도척도, 자존감척도 및 아동우울척도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및 Mplus를 이용한 경로계수 유의도 분석과 성별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남녀 모두 스트레스, 긍정적, 부정적 자존감이 우울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남아보다 여아에게서 역기능적태도와 스트레스 간 상관, 역기능적태도, 긍정적 자존감 및 우울 간 상관이 더 컸다. 부가적으로 성별 t검증 결과, 여아가 남아에 비해 우울과 부정적 자존감 점수가 더 높았다. 경로계수 분석 결과, 스트레스 사건과 우울 간 관계에서 역기능적태도와 자존감의 부분매개효과 모형이 역기능적태도의 조절 및 자존감의 부분매개효과 모형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긍정적, 부정적 자존감이 비슷하게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 -> 역기능적태도 -> 부정적 자존감 -> 우울, 스트레스 -> 긍정적 자존감 -> 우울의 경로 등이 유의했지만, 성차도 있었다. 즉, 여아의 경우에만 스트레스 -> 역기능적태도 -> 긍정적 자존감 -> 우울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여아가 남아보다 더 우울하고 인지적 특성과 우울 간 관련성이 더 크게 나타나, 그 원인과 차별적인 개입의 필요성,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elementary-school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self-esteem, and gender difference. A total of 465 elementary-school students(236 male and 229 female) completed a stress questionnaire,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for children, global self-esteem scale, and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al analysis,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using Mplus.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correlation of stress,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with depression in both genders. However, in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ysfunctional attitudes, those between positive, negative self-esteem and depression were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T-test showed that girls were more depressed and had higher negative self-esteem than boys. The results from path analysis showed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self-esteem model was more fitted than the moder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attitudes an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model. The paths of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o depression were the strongest. The path of stress -> dysfunctional attitudes -> negative self-esteem -> depression and that of stress -> positive self-esteem ->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both genders, however, gender difference was also observed. That is, the path of stress -> dysfunctional attitudes -> positive self-esteem -> depression was significant only in gir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rls are more depressed and have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than boys. Finally, the causes of these gender differences, need for differential intervention according to gende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한국판 ASR(성인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의 타당화 연구
김민영((주) 휴노) ; 김영아((주)휴노) ; 이진(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 김혜진(대한항공 항공의료센터) ; 오경자(연세대학교) pp.615-632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개발된 성인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ASR)을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했을 때 원검사의 요인구조 및 문항구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평가해보았다. 2005년 대한민국 인구 및 주택 총조사 자료를 참조하여 총 1,003명(남자 507명, 여자 496명)의 18~60세 성인에 대한 ASR 자료를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미국판 원검사의 요인구조를 한국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고, 각 하위척도들의 내적 합치도 수준(Cronbach’s α=.53~.96)이 양호했다. 내재화 및 외현화 척도에 속하는 하위척도들은 각각의 상위척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고,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와 ASR 관련 척도 간에 .50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 및 공존 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또한 모든 하위척도에서 잠재적 임상집단이 비임상집단에 비해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이며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문항반응이론 분석 결과, ASR의 문제행동 문항들이 높은 문제행동을 변별하는데 기여하고 하고 있으며 모든 문항의 변별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문항의 타당도를 지지했다. 한국판 ASR의 임상 및 연구 장면에서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dult Self Report (ASR). Selection of a sample for the ASR (507 men and 496 women)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05 Korea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ASR can be plausibly applied to the Korean version. The Korean ASR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53~.96). The subscales of the ASR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its higher-order-factors, such a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High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ASR and SCL-90-R related scales. The mean differences and Cohen's effect sizes of the subscales between latent clinical and normative sample supported the scale's discriminant validity. Item and test validity were also supported by Item Response Theory. Implications of using the ASR as a clinical and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냉담-무정서 특질과 자기애적 성격성향이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및 성차
송보경(동덕여자대학교) ; 이주영(동덕여자대학교) pp.633-658 https://doi.org/10.15842/kjcp.2014.33.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대상으로 냉담-무정서 특질과 자기애적 성격성향이 이들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보호관찰소에 입소 중인 29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한국판 냉담-무정서 특질 척도, 자기애적 성격성향 척도,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자기보고용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냉담-무정서 특질, 자기애적 성격성향, 비행의 하위요인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 청소년의 비행수준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성별에 따른 냉담-무정서 특질, 자기애적 성격성향, 비행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여자 청소년의 경우 냉담성이 비행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고, 남자 청소년의 경우 감정표현결여가 비행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냉담-무정서 특질의 하위요인과 자기애적 성격성향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냉담성은 여자 청소년의 비행을 잘 설명하였고 감정표현결여는 남자 청소년의 비행을 잘 설명하였으며, 자기애적 성격성향은 비행에 대해 냉담-무정서 특질의 설명력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on delinquen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A total of 295 adolescents on probation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Korean Inventory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Narcissistic Personality Criterion, and Youth self-repor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Girls showed more delinquent problems and girls’ delinquency showed greater correlation with callousness while boys’ delinquency showed greater correlation with lack of emotional expression. The CU trai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hen CU trait was controlled, narcissistic personality ha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for delinquency and this power was higher in girl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