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Korean, 검색결과: 21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constructed an ontology targeting journal article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Also, the performance of a triple structure ontology was compared with the knowledge base of an inverted index file designed for a simple keyword search engine. The coverage was three year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from 2007 to 2009. Protégé was used to construct an ontology, whilst utilizing an inverted index file to compare performance. The concept ontology was manually established, and the bibliography ontology was automatically constructed to produce an OWL concept ontology and an OWL bibliography ontology, respectively. This study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knowledge base of the ontology, using the Jena search engine with the performance of an inverted index file using the Lucene search engine. As a result, The Lucene showed higher precision rate, but Jena showed higher recall rate.

142
이소영(다음커뮤니케이션) ; 정영미(연세대학교) 2006, Vol.23, No.4, pp.179-196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17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형 포털에 적합한 커뮤니티 기반 개인화 검색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개인화 검색 서비스 모형은 이용자의 관심 주제를 파악하는 과정과 이를 반영한 검색 결과 재순위화 및 관련 주제 카테고리와 질의어 추천 과정으로 구성된다. 개인화 검색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 12일간 수집한 이용자 로그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개별 이용자의 주제 카테고리 선정에 사용한 카페 활동성 분석과 신지식 활동성 분석 데이터는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화 검색 결과와 추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n expanded model of personalized search service based on community activities on a Korean Web portal. The model is composed of defining subject categories of users, providing personalized search results, and recommending additional subject categories and queries. Sever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It was found that users’ activities on community services provide valuable data for identifying their interests, and the personalized search service increases users’ satisfaction.

초록보기
초록

법정 납본 제도는 국가문헌의 망라적 수집과 보존이라는 국가도서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 도구이다. 최근 급증하는 디지털자료의 특성으로 인해 인쇄자료에 기반을 둔 납본법을 개정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여러 나라 납본제도의 디지털자료 관련 최근 동향을 조사하였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립을 앞두고 디지털자료의 수집을 위한 법정 납본 제도의 확대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Legal deposit system is an essential tool for a national library to ensure the preservation and access to a nation's intellectual heritage over time. Substantial amounts of digital materials of national cultural value are already being published. There is a global trend towards extending legal deposit to cover digital materials in order to maintain comprehensive national archives. This paper gives a progress report of some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ose legal deposit laws have already updated or are under revision. Some strategies are suggested for the digital collection building of the Korean National Digital Library which will open in 2008.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학교도서관에서 사서교사가 실시하는 협동수업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연구에 초점이 있다. 협동수업은 학교도서관을 활용하여 일반 교과 (국어, 영어. 사회, 과학, 국사 등)의 수업을 교과 교사와 사서교사가 협동으로 실시하는 수업이다. 본고는 학교 교육의 중심축인 교육 과정과 교과 수업을 위한 기반 이론인 교수설계 이론 등을 바탕으로 한 협동수업의 모형 개발과 실천 방법을 이론-모형-지원에 의한 3단계로 제시한다.

Abstract

This thesis has a research focus in effectively Practicing cooperative instruction where teacher-librarians play a role. The cooperative Instruction means to practice cooperatively with the subject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teaching subject matters(Korean, English, Social studies. Science, History, and so forth), using the school library. This thesis presents three steps by theory-model-support for a practice method through developing a cooperative instruction model. This is based on curriculum which is an axis of school education and a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which is a base theory for subject matters

145
김은정(kt 그룹컨설팅지원실) ; 남태우(중앙대학교) 2012, Vol.29, No.2, pp.27-44 https://doi.org/10.3743/KOSIM.2012.29.2.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 공유를 위한 수집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제출의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제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관리규정과 선행연구를 통해 요인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바탕으로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국내 35개 기관 연구원 135명으로부터 설문 결과를 받았다. 결과분석을 통해 정보인프라, 동기부여, 장애 측면에서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데이터 수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researcher’s behavior and attitudes about depositing data from sponsored research. I analyzed the behavior, barriers, incentives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135 researchers in 35 Korean research institutes. The survey identified several factors that may encourage timely deposit of data b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analyzing factors, I propose the following methods in perception, incentives, use, policy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aspect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시각예술자원을 소장 기관이나 관리 주체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합검색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그 실현을 위한 기반 논의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시각예술자원 관리 기관의 자원 관리 및 검색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국외의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 검색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검색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환경적 측면과 메타데이터와 시스템적인 측면의 기반조성 및 적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a necessity of and a strategy for the integrated use and the single search across the visual arts resources. For this purpose, at first, analysis was made o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visual art resource management and retrieval systems. Secondly, the single search methods and its related technological foundation in foreign art resource institutions were categorized and analyse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foundation for creating a sustainable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and single search that enhance access to and use of art resources.

147
유종덕(경기대학교) ; 최은주(경기대학교) 2011, Vol.28, No.1, pp.123-144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분석기법인 저자프로파일링분석과 전통적인 분석기법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환경에 맞는 지적 구조 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용색인을 이용하지 않고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저자프로파일링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지적 구조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학술지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uthor Profiling Analysis(APA) to Author Co-Citation Analysis (ACA). The former is a new analytic technique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whereas the latter is a traditional analytic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ppropriate methods to analyz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in the Korean research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dopted APA using Text Mining for analysis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rather than relying on citation index in order to determine a potential utility of the new analytic technique that can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148
오세훈(광운대학교) ; 이두영(중앙대학교) 2005, Vol.22, No.1, pp.167-189 https://doi.org/10.3743/KOSIM.2005.22.1.1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보학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이곳에 인용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 정보학의 연구 동향을 밝힌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 대상 학술지를 정보관리학회지로 선정하였고, 조사 대상 기간은 1984-2004년(창간호-제21권 제3호)이다. 조사 대상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논문과 이곳에 인용된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의 주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정보학의 주제 영역을 설정하였고, 연구 논문 302편의 주제 및 간행 시기별 분포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인용된 외국 문헌정보학 문헌 3,270편과 타 학문분야 문헌 2,492편의 주제 및 연령을 각각 조사,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rend of research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 of each citing and cited articles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original articles appeared in the journal from 1984 to 2004 were analyzed. 3,270 foreign literatur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being cited in the original articles and those 2,492 cited foreign literatures of other field the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analyzed by subject, by publication year, and by citing ag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 통합 검색 환경에서의 이용자 적합성 판단 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semi-structured) 인터뷰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참가자들은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통합 검색 환경에서 본인들이 관심 있거나 필요로 하는 다양한 검색을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문서가 적합한지와 그 판단 기준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적합성 판단 기준과 비적합성 판단 기준, 그리고 검색 환경이 변화하여도 이용자가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준들이 크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데이터 증가와 이용자 요구의 고도화로 특수성과 구체성이 중요한 적합성 판단 기준으로 부각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user relevance criteria in Korean search service environments that provide integrated search resul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articipants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 The participants conducted a web search using integrated search services, such as Naver or Daum on a self-selected topic. They were asked to judge the relevance of retrieved documents and to report their relevance criteria. As a result, the research indicated 8 user-defined relevance and non-relevance criteria. The research shows that specificity and richness are the two most important criteria yet, the user’s relevance criteria have not changed much despite the change in search environ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회색문헌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회색문헌이 학술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갖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결과를 재해석하여 회색문헌의 표준적 정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회색문헌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이용자 설문을 재해석하였으며, 정보관리담당자를 대상으로 회색문헌 활성화를 위한 집중관리기관 설립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직도 국내에서는 이용자와 정보관리담당자들은 회색문헌의 경계와 인식이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회색문헌의 활용도는 이용자의 인지여부와 정보관리 담당자의 인지여부에 크게 좌우되었다. 회색문헌의 수집과 관리, 배포를 위해서는 회색문헌집중관리기관이 필요하다.

Abstract

Despite of the importances, grey literatures are often overlooked as a resource in libraries because they have always had the reputation of being obscure and difficult to locate. Thus, an information system and network for the management of grey literature is essential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R&D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Declare the clear definitions and types of grey literatures- Suggest the utilizing methods of grey literatures- Identify the major functions or requirements of National Information Center on Grey Literatur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