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Organic Model에 의한 TV CM 효과측정: 맥주 3 사 비교

The Measurement of TV CM AD using Organic Model

초록

본 연구는 Organic Model을 토대로 하여 텔레비전 광고의 효과측정을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CLT방식을 이용하여 소집단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광고효과는 재인과 회상반응을 중심으로 기존의 광고효과측정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지수(index)가 측정되었다. 피험자는 대학생과 직장인 50명씩 총 100명이었으며, 성별분포는 50:50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표집방법은 성별특성과 직업별 특성을 고려한 유층표집방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실험설계는 2x2요인설계가 사용되었으며, 광고효과측정에 대상이 되는 TV CM으로는 맥주3사(하이트, 라거, 카스)광고였다. 자료분석결과 맥주3사 광고의 총상기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반응 율을 나타냈다. 3사 광고의 선호도를 보면 라거광고의 경우 타사광고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광고효과의 요소별 측정결과를 분석해 보면 전체적으로 라거>카스>하이트 광고의 순으로 평가를 보이고 있으며, 라거 광고가 타 경쟁사 광고에 비해 매우 호의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구성요소의 평가에서도 같은 경향성을 보였으며, 특히 라거 광고의 경우 김승우 모델과 관련하여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광고 소구점 이해도 반응에서 하이트 광고는 깨끗한 이미지, 라거 광고는 즐거운 맥주의 이미지, 카스 광고는 신선한 이미지가 잘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추후 맥주광고의 제작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asurement of TV CM AD using Organic Model. More specifically, To identify reason for index-related deficits in measurement of advertising. Research findings from studies in advertising, measurement, and advertising survey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two between subjects factors assembled in a 2×2 design. Two age groups were selected for study, age low thru 20, and age 21 thru hi. This study required subjects from two different populations. In the experiment, 50 university students and 50 Workers were randomly distributed among the cell of a 2×2 factorial design. The number of subjects needed per cell to obtain an abequate sample size for statistical estimation is an important and crucial issue. In the significant marketing studies, cell sample sizes employed were in the range of 30 to 50 subjects. Thus, the desired number of subjects per cell was 50 case. The experimental stimulus was a TV CM advertisement. Conducting research using typical CM stimuli under as realistic conditions as possible.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