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유명인의 광고 중복 출연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Repeated Appearance of Celebrity Endorser on Advertising Effects

초록

본 연구는 유명인 모델의 단일 광고 출연과 중복 광고 출연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713명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명인의 광고 출연정도에 따라 광고효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인이 단일 광고에 전속 출연한 광고가 복수의 광고에 출연한 광고보다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있어 효과가 높았으며,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효과의 방향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명인의 광고 중복 출연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광고모델, 광고효과, 유명인, 광고태도, Advertising Model, Advertising Effects, Celebrity Endorser,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dvertising Model, Advertising Effects, Celebrity Endorser,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empirical analysis and comparison concerning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ements and the attitudes toward non-exclusive and exclusive celebrity endors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fficacy of the commercials subject to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the celebrity did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the factors of the effects of the commercials such as the attitude toward the commercials and the attitude toward the brand, except for the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offered researchers a unique view of this field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celebrity endorser in advertising.

keywords
Advertising Model, Advertising Effects, Celebrity Endorser, Attitude toward Advertising

참고문헌

1.

김근배, 한상필 (1993). 유명인의 광고 중복 출연: 중복 출연에 대한 업계의 인식과 효과연구. 광고연구. 19, 121-150.

2.

문영숙 (1990). 상품관여도와 Celebrity Endorser의 광고효과 연구. 광고연구. 9. 253-281.

3.

박범길, 이정교 (2009). 유명 광고모델의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1(2). 155-190.

4.

이두희 (1997). 인터넷 마케팅과 광고: 통합적 접근. 광고학연구. 8(1). 195-214.

5.

이호배, 정이규 (1997). 유명인 광고모델 속성이 광고태도와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8(2). 167-188.

6.

진용주, 서구원 (2009). 유명인 모델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20(4). 107-120.

7.

한상린, 성형석 (2007). 산업재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인들이 관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저널. 9(1). 43-72.

8.

한상필 (2009). 국내 광고효과조사의 현황과 문제점: 광고회사 실무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0(3). 123-144.

9.

Alba, J., & Chattopadhyay, A. (1986). Salience Effects in Brand Recal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6). 363-369.

10.

Baker, J., & Churchill, A. (1977).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4(11). 538-555.

11.

Burke, R., & Srull, T. (1988). Competitive Interference and Consumer Memory for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55-68.

12.

Friedman, H., & Friedman, L. (1979).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9, 63-71.

13.

Kanungo, N., & Pang, S. (1973). Effects of Human Models on Perceived Products of Qual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7(1). 172-178.

14.

MacKenzie, S., Lutz, R., & Belch, G. (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2). 130-143.

15.

McCracken, G. (1989).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3). 310-322.

16.

Ohanian, R. (1991).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1(1). 46-53.

17.

Rubin, V., Mager, C., & Friedman, H. (1982). Company President, vs Spokesperson in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2(4). 21-3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