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소비자 선호와 라이프 스타일에 기초한 컨셉트 제품의 감성 이미지 분석

The analysis on psychological image of consumer products in relation with consumer lifestyles and their psychological needs

초록

본 연구는 미래의 디지털 하우스에 필요한 ‘컨셉트 제품(concept products)’의 특성과 기능에 관련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심리적 욕구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이다. 미래의 컨셉트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잠재적 욕구가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품 개발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평가모델(evaluation model)은 제시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컨셉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반응을 이들의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특정 소비자 집단의 심리적 욕구가 컨셉트 제품에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은 미래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69개의 컨셉트 제품이었으며, 평가자는 23명의 20-30대 남녀 소비자였다. 컨셉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욕구는 Q 방법을 통해 추출되었으며, 이 선호 반응은 평가자의 가치와 라이프 스타일에 근거하여 평가되었다. 미래 가정을 위한 ‘컨셉트 제품’은 ‘Smart House형’, ‘Sweet House형’, ‘Selfish House형’의 세 가지 심리적 욕구 유형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연계되어 컨셉트 제품에서 추구되는 기능과 이미지로 구체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심리적 욕구가 컨셉트 제품의 세부적인 기능과 디자인 이미지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를 구체화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소비자 문화와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기초한 정보를 컨셉트 제품의 기능과 이미지로 통합시키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keywords
concept products, consumer needs, emotionality image, life styles, 컨셉트 제품, 소비자 욕구, 감성 이미지, 라이프 스타일, concept products, consumer needs, emotionality image, life styles

Abstract

At this research, we have tried to identify the features and functions of concept products for digital house at near future in line with the life style of consumers and their needs. Although consumers' implicit needs has to be explored for developing future concept products,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efforts to set up evaluation model to be applied during the product development.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onsumers' subjective response on 'concept products' in line with their life style, and evaluate the ways to relate the psychological needs to the products. For this research, 69 concept products have been evaluated by 23 participants aged between 20-30. Subjective responses of consumers were extracted by Q-methodology, and their preference responses on products were evaluated by their response from the life style scale. The concept products for future house were classified by three categories reflecting different psychological needs; 'Smart House Type', 'Sweet House Type', 'Selfish House Type'. Three types of concept products were also the example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life styles through which are reflected on the products. At this research, we could identify how the consumers' life style and psychological needs are expressed on the specific functions and designs of consumer products. Through this research, we could propose a methodology to relate the consumer culture and life styles into the function and image of products.

keywords
concept products, consumer needs, emotionality image, life styles

참고문헌

1.

(2002) 한국 사회에서 나타난 심리적 세대 집단의 권위주의적 성향비교, 연세대학교

2.

(2000) 제품디자인을 위한 조형 이미지의 평가와 선호에 관한 연구,

3.

(1998) 한국 소비자의 가치체계연구 궁극적 가치와 소비신념의 가치구조를 중심으로 ,

4.

(2001) 신상품 컨셉도출을 위한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연구 Town Watching을 중심으로 , 서울디자인포럼학회

5.

(2002) 한국사회의 세대집단에 대한 심리학적 탐색 전이적 공존 관점을 통한 대학생 집단의 세대 이미지 분석 ,

6.

(1993) Things that make us smart Defending human attributes in the age of the machine,

7.

(1953) The Study of Behavior, The Univ of Chicago Press

8.

(1969)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theor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