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의 이미지와 한국적 소구 광고 효과

The Image for Korea and Effects of Korean-appeal Ads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한국적 광고의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그 중에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전통소재를 이용한 한국적 광고에 있어, 광고 시청자들이 한국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가 한국적 광고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고의 한국적 소구 강도와 한국인들이 한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의 2(광고의 한국적 소구 강도: 강/약) × 2(한국의 이미지: 전통지향/현재지향) 요인설계를 하여, C대학에 재학중인 24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이미지가 전통지향적인 집단은 광고의 한국적 소구 강도가 강할수록 광고태도가 증가하는 반면 한국의 이미지가 현재지향적인 집단은 광고의 한국적 소구 강도가 강할수록 광고태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태도의 경우에는 한국의 이미지의 전통/현재지향성과 광고의 한국적 소구 강도간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그 경향성은 확인되었다. 따라서 광고 시청자들이 한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한국적 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광고효과, 한국의 이미지, 한국적 소구 광고, advertising effects, image for korea, korean-appeal ads, advertising effects, image for korea, korean-appeal a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appeal ad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korean-appeal ad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image that korean people have about their nation on advertising effect of Korean-appeal ads. An experiment is conducted in a 2(the strength of korean-appeal ads: strong and weak) × 2(image for Korea: traditional and recent) factorial design to test hypotheses. 241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as subjec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ad between the traditional-oriented tendency of image and the strength of korean-appeal ads was found. In detail, people who had traditional-oriented image preferred the ad which the strength of korean-appeal ad was strong to the ad which the strength of korean-appeal ad was weak, but people who had recent-oriented image were opposite. In case of the attitude toward br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raditional-oriented tendency of image and the strength of korean-appeal ads was not significant, although tendency was found.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korean-appeal ad may be dependent on the image for Korea.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advertising effects, image for korea, korean-appeal ads

참고문헌

1.

강명구, (1989) 광고의 문화적 역할에 관한 연구 , 광고연구

2.

고동화 , (1989) 광고크리에이티브 , 서울: 나남

3.

구기룡, , (1993) TV광고의 문화적 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조사, 광고연구

4.

김재휘, (2004) 신세대(New Generation)가 보는 한국전통문화 및 가치의 발견과 전략적 활용 , 태평양 장학문화재단 연구논문집

5.

김재휘, (2004) 20대가 바라보는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국가로열티 , 2004년도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6.

김태영 , (1996) 광고표현의 문화적 차이와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소비자 가치관을 중심으로,

7.

김효창, (2002) 한국적 광고에 대한 감정 반응요인과 그 효과 연구: TV CF를 중심으로,

8.

박주석, (2000) 제품관여도와 전통가치관이 광고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매개적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9.

신용삼, (1996) 한국적 광고 크리에이티비티: 한국적 표현법을 찾는 부단한 노력들, 사보 DAEHONG

10.

이기복 , (1999) 한국적 광고 크리에이티비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연구소 디자인論文集

11.

이명천, (1993) 한국적 광고표현의 원형모색을 위한 시론: 한국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탐구(2), 한국언론학회 춘계 학술발표

12.

이영희, (1991) 한국의 광고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다시다 고향의 맛’ 분석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3.

조전근, (2002) 원산지국가의 단서, 메시지 강도, 및 사전지식이 제품의 품질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4.

최상진, (1996) 문화심리적 측면에서 본 한국적 광고: 그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적 탐색, 한국심리학회 창립 50주년 ‘96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초록

15.

탁동일, (2000) 한국적 광고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경험분석: TV 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

한상필, (1994) 광고에 나타난 가치관의 수용: 연령별․성별 광고효과의 비교, 광고연구

17.

한상필, (2004) 소비자 애국심, 국가이미지, 광고접촉경험이 한국기업의 국제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국 소비자의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18.

Darley, J. M, (1986)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

Erickson, G. M, (1984) Image variables in multi-attribute product evaluations: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Festinger, L. ,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1.

Han, C. M. , (1989) Country image: Halo or summary constr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

Hong, S. T, (1989) Effects of country-of-origin and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on product evaluations: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

W. M. Jr. Kincaid, (1970) A Study of the perception of selected brands of produces as foreign or American and attitudes towards such brand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ustin

24.

MacKenzie, S. B, (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

Madden, T. J, (1988) Attitude toward the ad. An assessment of diverse measurement indices under different processing se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6.

Marton, K, (1978) Should a corporation keep a low profil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7.

Mitchell, A. A, (1981) Are product attitud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

Nagashima, A. , (1970)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U.S. attitudes toward foreign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29.

Papadopoulos, N, (1993) Product- country image: Impact and role in international marketing, NY: International Business Press

30.

Schletfer, S, (1968) Relativ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of foreign and domestic origin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

Schooler, R. D, (1965) Product bias in the central American common marke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2.

Stout, P. A., , (1986) Measuring emotional responses to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33.

Tse, D. K, (1992) An experiment on the salience of country-of-origin in the era of global brand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34.

Yaprak, A. , (1978) Formulating a multinational marketing strategy: A deductive, cross- national consumer behavior model,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