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Predictors of the Intention of School Drop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School Violence, and Psychiatric problems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of bullying, psychiatric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stres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a city of Gyeonggi-do. In order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 of childhood trauma and the mediational role of psychiatric problem, bullying and academic stres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odel confirmed a good fit to the data. Generally,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sociated with psychiatric problem in adolescents which resulted i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Also, childhood emotional abuse associated with victimizing which resulted in the intention. Even though perpetrating and academic stress failed to predict the intention, phys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and neglect was associated with perpetrating academic stress. We also explored gender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by multi-sample S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hs from neglect to psychiatric problems and from victimizing to intention of dropout were significants only in females. Additionally, the effect of psychiatric problems on intention of dropout was stronger in males. Finall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with the stream of previous research.

keywords
Intention of school dropout, Middle school students, Childhood trauma, School violence, Academic achievement stress., 학교중퇴 의도, 중학생, 아동기 외상경험, 학교폭력, 학업성적스트레스

Reference

1.

경향신문 (2012. 12. 29). 학교서도 사회서도 발 딛지 못한 ‘무중력’ 아이들, 꿈을 품다.

2.

공성숙, 이정현, 신미연 (2009). 섭식장애 환자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간 갈등의 매개효과 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8, 31-40.

3.

교육과학기술부 (2013. 4. 22). “매년 6~7만명 발생하는 학업중단학생 통계 조사항목 개선”

4.

국민일보 (2013. 4. 16). 극단적 자살 10대 ‘소리없는 비명’,,, 성적․입시 스트레스 극에 달해 벼랑으로 내몰려.

5.

곽금주, 문은영 (1993). 사춘기 남녀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과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31-41.

6.

금명자 (2008).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 299-317.

7.

김미경, 김양희, 황사라, 정익중 (2012). 고등학생의 성적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65-187.

8.

김은경 (2008). 학대받은 아동의 정서와 인지적 편향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은경 (2009). 청소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수치심, 죄책감의 관계에서 내적통제성의 중재효과: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6, 45-75.

10.

김은정 (2009). 아동기 외상과 초기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은정, 김진숙 (2010).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 605-630.

12.

김준호, 박정선, 김은경 (1997). 학교주변 폭력의 실태와 대책.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3.

김현희 (2009).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와 시험불안과의 관계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혜성, 김혜련, 박수경 (2006).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로부터의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 집단비교를 통하여. 한국아동복지학, 21, 208-232.

15.

김혜원, 장명심 (2004). 청소년들의 교내 성폭력 경험과 정신건강의 관계: 성별에 따른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1, 124-149.

16.

민수홍 (1998). 가정폭력이 자녀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박재연 (2010).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345-376.

18.

백승정 (2010). 청소년의 부모 과잉허용 및 학업스트레스가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손원경 (1998).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지각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오미향, 천성문 (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인해, 15, 63-96.

21.

오혜영, 박현진, 지승희 (2012).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복귀강화 집단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 545-571.

22.

이상균 (2005). 청소년의 또래폭력 가해경험에 대한 생태체계적 영향 요인. 아동복지학, 19, 141-170.

23.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 (2000).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 69-84.

25.

이자영, 강석영, 김한주, 이유영, 양은주 (2010).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개념도 연구법의 활용. 청소년상담연구, 18, 225-241.

26.

이주원 (2008). 자아탄력성과 학업전략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위인지전략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장덕희 (2004). 가정폭력 경험특성이 자녀의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1, 65-91.

28.

장윤지 (2005). 학교폭력 유형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장휘숙 (2003).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30.

정승아, 안동현, 정선녀, 정윤경, 김윤영 (2008). 청소년 정신건강 및 문제행동 선별검사 개발 연구. 신경정신의학, 47, 168-176.

31.

한국일보 (2011. 5. 19). [웃어라! 청소년] 학업중단 청소년 문제 대안은.

32.

허정윤, 유영달 (2012).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가족과 문화, 24, 177-211.

33.

Ajen, I. (2001). Nature and operation of attitud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0, 179-211.

3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5.

Belt, W., & Abidin, R. R. (1996). The relation of childhood Abuse and early parenting experiences to current marital quality in a nonclinical sample. Child Abuse & Neglect, 20, 1019-1030.

36.

Briere, J., & Runtz, M. (1990). Differential adult symptomatology associated with three types of child abuse histories. Child Abuse & Neglect, 14, 357-364.

37.

Dutton, D. G. (1999). Traumatic origins of intimate rag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4, 431-447

38.

Haapasalo, J., & Pokela, E. (1999). Child-rearing and child abuse antecedents of criminality.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4, 107-127.

39.

Higgins, E. T.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In M. P. Zanna(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Vol. 30, pp.1-46). NY: Academic Press.

40.

Legano, L., Mchugh, M. T., & Palusci, V. J. (2009). Child abuse and neglect. Current Problem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Health Care, 39, 31.e1-31.e26.

41.

Olweus, D. (1993). Bull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xford: Blackwell Publishers.

42.

Yehuda, R., Halligan, S. L., & Bierer, L. M. (2001). Relationship of parental trauma exposure and PTSD to PTSD,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in offspring.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35, 261-270.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