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 학부모 상담을 위한 필요 요인에 대한 개념도
이지연(인천대학교) ; 장진이(이화여자대학교) ; 김문희(인천대학교) ; 한수진(인천대학교) pp.1-18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교사가 지각한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 학부모 상담을 위한 필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개념도 구성을 위한 초점 집단으로 학교에서 다문화 가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5명을 선정하여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아이디어 종합 단계, 진술문 분류 단계를 통해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 학부모 상담을 위한 필요 요인으로 총 66개의 진술문을 생성하였다. 이후 개념도 분석 단계에서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역량, 교사연수 지원, 상호이해 및 인식 개선, 물적․인적 지원, 학교상담 환경 조성, 프로그램의 다양성, 정보제공 및 문제해결 개입, 다문화 가정 구성원의 특성 등 총 8범주가 산출되었다. 또한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 학부모 상담의 필요 요인 각각에 대한 학교 현장에서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총 11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8범주 모두에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 수준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함의하는 바와 제한점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hat make parent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successful in school. To seek those factors perceived by teachers, this study used concept mapping and thereafter compared the levels of importance with the levels of execution among factors which were necessary to effective parent counseling. 15 teacher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successful parent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66 non-redundant statements extracted from that group interview were sorted and rated by themselves. Eight thematic cluster-map was generat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eacher Competence Enhancement’, ‘Teacher Training Support’, ‘Mutu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Material Resource and Human Resource’, ‘Multi-cultural School Counseling’, ‘Various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Providing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level of importance and execution in all the category. Finally, the stud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집단따돌림 관여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신지은(대구가톨릭대학교) ; 심은정(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19-39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관여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특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를 탐색하고, 집단따돌림에 대한 도움요청의지가 집단따돌림 관여유형, 대인관계특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공격적 태도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 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 중학생 543명을 대상으로 참여역할 질문지(PRQ), 학교풍토따돌림조사(SCBS),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KIAS),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FNE)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따돌림 관여유형에 따라 일부 대인관계특성의 차이가 있었다. 방관자는 온화/친절이 가장 특징적이었고, 방어자의 경우 자기확신/주장, 온화/친절과 사교성/쾌활 특성이 나타났다. 가해동조자의 경우 뚜렷한 특징이 없었으며, 가해자는 자기확신/주장, 비판/통제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피해자의 경우 냉담/배타성, 회피/고립, 비주장/소심이 특징적이었다. 둘째, 집단따돌림의 관여유형에 따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피해자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셋째, 도움요청의지는 먼저 집단따돌림의 관여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방어자가 도움요청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움요청의지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공격적 태도, 대인관계특성의 하위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도움요청의지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부적상관을 보였고, 도움요청의지와 공격적 태도의 상관 역시 부적상관을 보였다. 도움요청의지와 대인관계특성의 하위유형과의 관계에선 냉담/배타성, 회피/고립, 비주장/소심은 도움요청의지와 부적상관을 보였고, 자기확신/주장, 순응/양보, 온화/친절, 사교성/쾌활은 도움요청의지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집단따돌림에 대한 개입에서 관여유형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대인관계특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의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집단따돌림 상황에 대한 도움 요청을 증가시키기 위해선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bullying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and the fear of the negative evalu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t play different roles in bullying(a bystander, a defender, a bully-follower, a bully, a victim) as well as those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seek help in bullying. A total of 543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KIAS)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NE). Participant Role Questionnaire(PRQ) was used to categoriz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type of involvement in bullying.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 First, bullying was related to interpersonal disposition. Bystanders are characterized by warm/agreeable, while defenders by ambitious/dominant, warm/agreeable and gregarious/extraverted. Bully-follower did not show any distinct characteristics. Bullies were notably characterized by ambitious /dominant and arrogant/calculating. Finally, victims were characterized by cold/quarrelsome, aloof/introverted and lazy/submissive.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volvement in bullying showed that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cored the highest in the victim group and the lowest in the defender group. Third, regarding the willingness to seek help, defenders showed a greater willingness to seek help. Fourth, the willingness to seek help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aggressive attitudes. Fifth, th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of cold/quarrelsome, aloof/introverte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willingness seek for help, while ambitious/dominant, unassuming/ingenuous, warm/agreeable and gregarious/extraverted were fou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illingness to seek help.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o effectively address the problem of bullying in school, it will be necessary to include all those involved in bullying, not just victims or bullies, developing tailored interventions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roles assumed by each student in bullying. Such intervention might benefit from consideration of interpersonal disposition of each participant rol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s.

초등학생의 개인 및 부모환경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설경옥(이화여자대학교) ; 정승원(서울흑석초등학교) pp.41-58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5학년 아동 250명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변인을 가족 및 환경요인, 개인요인 그리고 아동의 학교 구성원으로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유대감 및 자신의 가치에 대한 지각인 학교소속감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에 대한 정보제공, 자녀의 학습방법 존중과 같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학습관여를 가족요인으로 그리고 성격 5요인 중 성실성과 내적동기를 아동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개인요인으로 측정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사교육 시간을 측정하여 사교육시간을 통제하고 부모요인이 개인요인 그리고 아동의 학교소속감의 경로를 통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 및 개인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아동의 학교소속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지적인 학습관여는 아동의 성실성과 내적동기 증가로 이어진 것은 물론 아동의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도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아동의 학교소속감은 학업성적 향상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부모의 학습관여는 자녀의 학업성취에 직접적 상관은 없었고 아동의 학교소속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Abstract

School belonging has been studied as a strong and consiste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research on school belonging with Korean students is scarce. Moreover, there is no study on the link between school belong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ole of school belonging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 hundred fifty 5th grad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school belonging as well as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that could affect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conscientiou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measured as an individual factor,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ren’s learning was measured as a family factor. We also measured time that students were involved with private learning institutions as a control factor.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School belong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School belonging also mediated the link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students’ individual factor of conscientiousness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또래괴롭힘: 주변인 개입과 사회적 맥락 변화의 필요성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pp.59-82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의 경험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또래괴롭힘의 본질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들을 개관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가해를 주도적 공격성의 대표적 예로서 정의하고, 사회적 힘과 영향력을 얻거나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서의 괴롭힘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주변인을 포함하는 집단현상으로서의 괴롭힘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지각된 인기도, 지각된 집단 규준,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에 대해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경험적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학교폭력 또는 또래괴롭힘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이 주변인 개입과 사회적 맥락 변화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반드시 기억해야만 하는 핵심사항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reviews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e nature of school bullying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or programs. First, this study defines bullying as an example of proactive aggression, and focuses on the function of bullying behaviors that helps adolescents to obtain or maintain social power and influence within peer group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ullying as a group phenomena, it reviews issues of perceived popularity and group norms,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in relation to bullying and defending behavior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critical points to remember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bullying prevention/intervention policies or programs,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bystander intervention and change of social context, based on the findings of empirical research.

교과수업과 연계한 학급단위의 사회정서학습: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학교관련 성과에 미치는 효과
신현숙(전남대학교) pp.83-110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8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학생의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학교관련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사회정서학습의 두 가지 실시방법(교과수업과 연계한 학급단위의 사회정서학습, 구조화된 Strong Kids 커리큘럼)의 효과를 비교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개 학급(남녀 학생 176명)을 2개 학급씩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 집단, Strong Kids 커리큘럼 집단, 통제집단에 배정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또래간 갈등해결, 정서지능, 정적 및 부적 정서, 학업적 효능감, 학교소속감, 자기관리 학습기술, 수업참여 학습기술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공분산분석과 혼합설계 분산분석 및 계획비교를 실시한 결과,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사회정서적 유능성과 학교관련 성과를 향상시키고, 그 효과가 사회정서학습의 실시방법에 따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협력적 갈등해결을 증가시키고 공격적 갈등해결과 회피적 갈등해결을 감소시켰다. 특히,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보다는 구조화된 Strong Kids 커리큘럼이 협력적 갈등해결의 증가와 회피적 갈등해결의 감소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둘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정서지능과 정적 정서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구조화된 커리큘럼은 정서지능의 향상에,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은 정적 정서의 증가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반면, 부적 정서의 감소에 대한 사회정서학습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학업적 효능감을 향상시켰는데, 특히 수업연계의 방법이 구조화된 커리큘럼보다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학교소속감에 대한 사회정서학습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자기관리 및 수업참여의 학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구조화된 커리큘럼의 실시보다는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의 실시가 두 가지 학습기술의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끝으로, 수업연계 사회정서학습의 처치충실성을 확보하고 학교시스템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classroom-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on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s and school-relatd outcomes. The interventions involved 176 sixth graders in six classrooms. Two classrooms implemented SEL during academic instruction, two other classrooms employed Strong Kids curriculum, and the remaining two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designed to assess peer conflict resolution, emotional intelligence, positive/negative affect, academic self-efficacy, sense of school belonging, and learning skills. Analyses of covariance, mixed-design analyses of variance, and planned comparisons revealed that SEL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s and school-related outcomes but its effects varied with how it was implemented. First, SEL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operative resolution strategies and in decreasing both aggressive and avoidant strategies. In particular, Strong Kids curriculum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cooperative strategies and decreasing avoidant strategies than was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Second, S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affect; however, it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negative affect. Strong Kids curriculum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but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positive affect. Third, SEL was effective in enhancing academic self-efficacy but was not effective in heightening sense of school belonging.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facilitating academic self-efficacy than was Strong Kids curriculum. Fourth, SEL wa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skills. Compared to Strong Kids curriculum,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both self-management and class participation skill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light of the necessity of seeking ways to secure the intervention integrity of SEL linked to academic instruction and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choolwide SEL programming.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이해: 성격, 정서, 적응, 인터넷 사용동기와 중독을 중심으로
박지연(경상대학교) ; 송미경(서울여자대학교) ; 양난미(경상대학교) pp.111-137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11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른 성격특성, 부정적 정서, 대학생활 적응, 인터넷 사용동기 그리고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2시간 미만인 집단과 3시간 이상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에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남녀 대학생 433명이었고, 연구도구로는 인터넷 사용동기 척도, 대학생용 인터넷 중독 척도, 5요인 성격특성 척도, 소외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다변량분석 및 사후검증, 입력(Enter)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3시간 이상인 집단은 2시간 미만인 집단에 비해 신경증과 소외 정도는 높았고,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은 낮았으며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낮고 인터넷 중독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인터넷 중독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적응, 인터넷 사용동기의 집착동기였으며 성적동기는 2시간 미만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실태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써 그들이 인터넷 중독에 이르지 않도록 돕기 위한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internet us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with personality trait, negative emotion, college life adjustment, internet use motivation and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average internet use time. Specificall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order to find out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ver internet addiction; one group was use the internet for under 2 hours a day, and another group was use the internet for more than 3 hours a da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433 college students and the internet use motivation scale, internet addic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trait scale of 5 factors, alienation scal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any difference in sub-factors of respective scale as per group whi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variables affecting internet addict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Degree of college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group of less than 2 hours whil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neurosis and alienation was higher in the group of more than 3 hours. Both groups showed that factors meaningfully influencing internet addiction were the emotional adaptation, a sub-factor of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he obsession motivation, that of internet use motivation while the group of less than 2 hours revealed that sexual motivation was the only meaningfully factor. This study showed to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education of internet addiction

언어적 및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와 몰입의 관계: 자기의심의 조절효과
이은주(경북대학교) pp.139-157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구실 만들기(self-handicapping)와 몰입경험의 관계가 언어적(claimed) 및 행동적(behavioral) 자기구실 만들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었다. 특히 몰입경험에 대해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와 언어적 자기구실 만들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언어적 및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와 몰입의 관계는 자기의심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몰입경험은 감소하는 반면, 언어적 자기구실 만들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몰입경험은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자기구실 만들기가 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가 몰입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자기의심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연구결과의 교육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Self-handicapping has showed an association with various motivational outcomes in both adaptive and maladaptive ways. This study proposed that claimed and behavioral self-handicapping were different in its association with flow experience and that these relationship were moderated by the level of self-doubt. Participants included 240 undergraduate students (54% female). Results showed that claimed self- handicapp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low experience whereas behavioral self-handicapp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low experience. However, the positive effect of claimed self-handicapping on flow was not significant for those with the lower level of behavioral self-handicapping. The association between behavioral self-handicapping and flow was moderated by level of self-doubt. The negative effect of behavioral self-handicapping on flow experience was significant only for those with the lower level of self-doub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폭력피해교사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관한 질적 연구
이규미(아주대학교) ; 손강숙(아주대학교) pp.159-178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많이 일어나고 있는 학생이나 학부모에 의해 가해진 교사대상 폭력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최근 1년간 학생 또는 학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하였고 연구에 참여하겠다고 동의한 중․고교 교사 10명을 인터뷰하여 그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관련경험은 언어적, 관계적, 신체적 폭력 등 다양하였으며, 사건직후 교사들은 이를 학교 관리자에게 직접 보고하거나 동료교사를 통해 간접 보고 하였고 동료교사에게 도움을 청했다. 교사들은 동료교사의 지지가 크게 도움이 되었으나 사적으로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를 터놓지 못했다. 사건직후 전형적으로 분노, 후회, 수치심의 정서 및 다양한 신체화 증상을 경험했다. 본 연구결과 교사들은 장기적으로 학생지도상의 문제를 드러냈다. 즉 모든 사례에서 강조된 “일반적” 범주의 핵심개념은 장기적으로 학생을 위한 생활지도에 대해 위축된 태도를 취하거나 포기하고 있으며, 교사를 위한 상담기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교사대상 폭력피해는 외상경험의 하나로 교사들의 정신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학생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를 보호하고 치유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 등에 대해,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violence against teachers by students and parents which happened a lot recently and find psychosocial sequela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To do so, 10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who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and parents at least once within a year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e violence experienced was of different forms, such as verbal, relational, and physical, etc. Teachers could not report their experience to their close relatives, but they report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ir fellow teachers and asked for their help after the accident. The support of teachers’ colleagues was helpful. They experienced many different types of somatization such as anger, regret, shame, etc after the acci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experienced in long term, problems related to student guidance. The core idea of the category “general” emphasized the fact that teachers developed in long term, atrophied attitudes towards student guidance or gave it up and there is a need of counseling opportunity for them. In conclusion, the violence victimization against teachers means that they experience trauma and it has a strong influence on not only teachers’ mental health but also negative effects for student guidance. And final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t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protect and heal teacher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유신복(경북대학교) ; 손원숙(경북대학교) pp.179-200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크게 두 가지의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먼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 등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한 정서표현성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정서표현성 프로파일별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및 K지역에 위치한 8개 초등학교 5, 6 학년 총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인 측정을 위하여 자기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정서표현성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뿐 아니라 학교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 정서표현성은 자율성 및 학교행복감에는 부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으나, 자녀의 유능성 및 관계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또는 부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자율성-관계성, 자율성-유능성 등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유능성 및 관계성은 긍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프로파일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는데,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모두 평균 이상인 집단, 모두 낮은 집단, 또한 둘 중 하나의 정서표현성이 높은 집단 등이었다. 이 중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균형을 이루거나 긍정 정서표현성만 높은 프로파일의 경우가 다른 프로파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행복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정 정서표현성의 효과와 더불어서 보다 적응적인 형태의 정서표현성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happiness. Also we identified the sub-groups by a cluster analysi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n explored their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3 students sampled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We hypothesized a structural model in that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onomy, and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petence, or relatedness and in turn, thes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 their school 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terms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also play a positive role for the child’s psychological needs and happi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can contribute to their child’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future work with the person-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r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ts effects on other psychological traits.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는 관계구조 검증
김은진(경희대학교) ; 양명희(경희대학교) pp.201-218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2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정서조절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정서조절이 이후 학업성취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정서조절이 정서와 학습전략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이르는 이론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의 평균이 정적 정서, 부적 정서, 학습전략에 비해 가장 낮았다. 둘째, 정서조절이 정서와 학습전략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본 연구에서 설정하였던 이론모형이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셋째, 이러한 관계 구조는 남녀, 중고 집단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emotional regulation in the academic setting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To that end, based on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model of emotional regulation which leads to academic achievements by the mediation of emo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which subsequently verified their relationship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the goodness of fit indices of the theoretical model are excellent, thereby confirming that emotional regulations ha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by mediation of emotions and learning strategies. It was concluded that emotional regulations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where it increased positive emotions and reduced negative emotions, to induce students to actively practice the learning strategies, ultimately exercising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shows that emotional regulation is related to positive emotions and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proves that support and a fostering of emotional regulation can be an alternative method for increasing the positive emotions of learners, and promoting learning strategies for them. It was shown that this relationship structure is applicable to all students,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고등학생의 자기지향과 타인지향·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조절학습 및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현주(경북대학교) ; 손원숙(경북대학교) pp.219-239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2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자기조절학습과 시험불안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학교유형(특목고, 일반고)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가 조절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795명(일반고 413명, 특목고 382명)이고, 변인 간 구조적 관계분석을 위해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학교유형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하여 다집단 SEM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기조절학습, 타인지향․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시험불안 간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특목고 학생들은 자기지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일반고 학생들은 시험불안 중 인지적 영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EM 분석 결과, 완벽주의 성향, 자기조절학습 및 시험불안 간 직접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자기조절학습은 두 유형의 완벽주의 성향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고 있었다. 한편 전체 효과 대비 매개율을 검토했을 때,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크기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타인지향․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시험불안 간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 성향과 시험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는 학교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을 보다 적응적인 방향으로 교육시키기 위한 학교장면에서의 노력,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과 시험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추가변인 탐색의 필요성, 및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제언을 추가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tendency, self-regulated learning, and test anxiety. Also this study would examine i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ory learning is moderated by the school type such as special high schools with high-performing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95 high school students(413 from special high schools, and 382 from general high schools) sampled from D city, Korea.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Self-Regulated Learning Scale(SRLS) and 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AR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he on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ther-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The students attending to special schools tended to show the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an those in general high schools, while showing the lower test anxiety in cognitive domain. Seco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significantly mediated between two types of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Considering the size of effect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ere relatively similar, but the direct effect between other-oriented․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was the larger than its indirect effec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perfectionism and test anxiety by school types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a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he literature 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studying perfectionism are also discussed.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 경험에 대한 이해와 학교상담의 개입
윤운영(가톨릭대학교) ; 유금란(가톨릭대학교) pp.241-262 https://doi.org/10.16983/kjsp.2013.10.1.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 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기존의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상실은 사랑하는 사람이나 대상의 상실 외에도 다양하지만, 특히 아동 및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모의 이혼이나 사별 등을 포함한 상실 경험과 이로 인한 슬픔이 어떻게 드러나는 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실에 대해 충분한 관심과 보살핌을 받지 못한 아동 및 청소년들은 우울, 무감각, 죄책감, 분노 등의 정서적 고통 외에도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이들의 고통을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는 학교가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학교상담에 기초한 개입은 아동과 청소년들이 상실과 슬픔에 따르는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ASCA 모형을 중심으로 생활지도, 개별계획, 반응적 서비스, 체계지원 등의 영역에서 아동 및 청소년들의 슬픔과 상실경험에 학교상담자가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들을 간략하게 살펴보았으며, 앞으로도 계속 아동 및 청소년의 상실 경험에 학교상담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와 지속적인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진행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grief and loss of youth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sepecifically reviewed on experience of loss (e.g. death of parents or friends, experiencing parents' divorce or loss of siginificant relationships) and grieving process of youth. Children and youth with loss could experience emotional difficulties (e.g. depression, detachment, guilty, and anger depressions) with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change. Thus, it is critical for school counselors or psychogists to understand their grief and loss for providing effective interventions. The study reviewed effective interventions based on ASCA national model and implications to Korean culture were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