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권호 목록

중학생의 완벽주의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연은지(서강대학교) ; 김향숙(서강대학교) pp.263-281 https://doi.org/10.16983/kjsp.2013.10.2.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 및 정서조절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416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완벽주의 및 걱정, 그리고 주된 정서조절요인으로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벽주의는 중학생의 걱정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완벽주의의 하위차원 중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과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을 부분매개로, 개인적 기준추구 완벽주의와 사회적 기대 완벽주의는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을 완전매개로 걱정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걱정을 치료하는 데 있어,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의 감소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향상이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middle school students worry.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erceived emotional competence as mediating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nd worry. For this purpose, 41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asked to complete four questionnaires-Perfectionism Scal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rait Meta Mood Scale, and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As a resul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 in evaluation concerns and worry while perfection in personal standards and in social expectation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perceived emotional compete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 in evaluation concerns and worry. This results have implication that underlying mechanisms of worry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personality and emotion regulation and furthermore,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학교참여 다차원 구인에 대한 성별 및 학교급별 잠재평균분석
신현숙(전남대학교) ; 염시창(전남대학교) pp.283-305 https://doi.org/10.16983/kjsp.2013.10.2.283
초록보기
초록

학교참여는 학업성취, 학교적응, 비행, 학교중도탈락 등을 예측하며, 환경 맥락변인과 학생 개인변인이 결과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이처럼 교육연구와 실제에서 중시되고 있는 학교참여가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참여로 구성된 다차원 구인인지를 확인하고, 중학교 진학 이후에 학교참여의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 599명과 중학교 1, 2학년 573명(총 1,172명)에게 Wang, Willett와 Eccles(2011)의 학교참여척도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에 확인적 요인분석과 잠재평균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참여의 다차원적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및 학교급에 따라 구분된 4집단(초등학교 남학생, 초등학교 여학생, 중학교 남학생, 중학교 여학생) 모두에서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1요인 모형이나 2요인 모형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어 학교참여 요인구조의 형태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둘째, 4집단에서 학교참여 요인별 요인계수가 동일하다고 가정한 측정동일성 모형이 수락되었다. 셋째, 각 성별 집단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간 학교참여 요인별 잠재평균을 비교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는 절편동일성과 요인분산동일성이 충족되었다. 이에 집단간 잠재평균을 비교한 결과, 남녀 각 집단에서 중학생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참여 수준이 초등학생보다 낮았다. 잠재평균 차이의 효과크기에 근거해 볼 때, 초등학생의 학교참여 수준과 중학생의 학교참여 수준 간 차이가 정서적 참여 요인에서 가장 컸고, 이러한 차이가 남학생 집단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참여의 3요인이 조합을 이루는 학교참여 양식을 확인하고 이에 적절한 학교심리개입을 제공하며 학교참여 메타구인을 2차 요인으로 설정한 ‘2차 요인 모형’을 검증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School engagement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has been known not only as a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justment, and school dropout but also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school/family context or personal variables and adjustment outco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fit of a multidimensional model of school engagement consisting of three factors (i.e.,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and examine the decreasing tendency of school engage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Wang, Willett, and Eccles’s (2011) school engagement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1,172 students in Grades 5 to 8.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latent mea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questions.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in all of the four groups (i.e., elementary school boys, elementary school girls, middle school boys, middle school girls), the three-factor model of school engagement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one-factor model and the two-factor model. Second, the four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composition of the three factors and factor loading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cepts of the observed variabl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each gender. Given that both factor loadings and intercepts were invariant, latent mea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latent mean differences on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engagement. Both boys and girl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each factor of school engagement. The effect sizes of latent mean differences on each factor by gender and school level showed that after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affective engagement declined to a greater extent than did behavioral and cognitive engagement and the three factors of school engagement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for girls than for boys. Finally,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school engagement styles and testing the second-order model with one second-order factor (i.e., school engagement as a meta construct) and several first-order factors (e.g.,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engagement) was discussed.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욕구만족,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연구
김수연(충남대학교) ; 조한익(경상대학교) pp.307-328 https://doi.org/10.16983/kjsp.2013.10.2.3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욕구만족,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사범대학과 교육대학교 학생 450명이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기본욕구만족, 대학생활적응척도이고, 학업성취도 자료는 2012학년도 1학기 성적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기본욕구만족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와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과 유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유능성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기본욕구만족의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유능성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성취목표지향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욕구만족의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유능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달회피 목표지향성은 유능성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및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asic need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The study enrolled 450 College of Education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The instruments we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asic need satisfaction, and adjustment. GPA wa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t the first semester of 2012.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negative effects on autonomy and competence.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positive effects on adjustment. In the research of mediation effect,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university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hen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discrete factors of the basic need satisfaction, competence play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djustment, competence and relatedness played as positive mediating variables between mastery avoidance and adjustment.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terature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중학생들의 학교중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아동기 외상경험, 학교폭력 및 정신의학적 문제의 효과
석미란(한양대학교) ; 장은영(한양대학교) pp.329-348 https://doi.org/10.16983/kjsp.2013.10.2.329
초록보기
초록

아동기의 외상경험과 현재의 정신의학적 문제,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경험 및 학업성적 스트레스가 중학생들이 학교를 중퇴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경기도 한 도시에 소재한 한 중학교의 1학년과 2학년, 총 7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아동기 외상경험이 현재의 정서나 행동문제, 폭력경험 및 성적스트레스를 거쳐서 학교중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들을 검증하였다. 전체 자료에 대해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은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은 현재의 정신의학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학교중퇴 의도를 예측했다. 또한 아동기 정서적 학대는 현재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학교중퇴 의도를 예측했다. 신체적 학대는 학교폭력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방임은 학교폭력의 가해경험 및 학업성적스트레스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학교폭력의 가해경험과 학업성적스트레스는 학교중퇴 의도를 유의하게 직접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유의한 경로들 가운데 성차를 보이는 것이 있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는데, 아동기 방임이 청소년기 정신의학적 문제에 미치는 효과와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이 중퇴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여학생들에게서만 유의하였다. 반면에 정신의학적 문제가 중퇴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그 강도가 남학생들에게서 더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과 선행연구들과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of bullying, psychiatric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stres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a city of Gyeonggi-do. In order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 of childhood trauma and the mediational role of psychiatric problem, bullying and academic stres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odel confirmed a good fit to the data. Generally,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sociated with psychiatric problem in adolescents which resulted i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Also, childhood emotional abuse associated with victimizing which resulted in the intention. Even though perpetrating and academic stress failed to predict the intention, phys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and neglect was associated with perpetrating academic stress. We also explored gender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by multi-sample S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hs from neglect to psychiatric problems and from victimizing to intention of dropout were significants only in females. Additionally, the effect of psychiatric problems on intention of dropout was stronger in males. Finall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with the stream of previous research.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