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A Review of Dropout Prevention Programs for Students at Risk of Dropout

Abstract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integrative review of dropout prevention programs, giving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future programs. We reviewed 11 programs developed from the year 2000 to 2014 by applying Kratochwill and Stoiber (2002)’s Evidence-Based Intervention criteria and Kim (2011)’s model for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Analyses revealed that many studies did not conduct needs analysis and consultation in developing programs. The majority provided empirical bases for their programs without giving theoretical rationale. Only one study implemented an alternative program and compared it with the treatment group. None reported effect sizes, nor did they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the program sustained after the study ended. In addition, none of them reported validity information of the measures, nor did they examine the relations of program components to the criterion variables.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future dropout prevention programs.

keywords
학업중단, 학업중단 예방 프로그램, 근거 기반 개입, 개관, school dropout, dropout prevention programs, evidence-based interventions, review

Reference

1.

강석영, 양은주, 이자영 (2009).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2.

강승호 (2013). 신약개발에 필요한 의학통계학. 파주: 자유아카데미.

3.

교육부 (2014). 2014년 초․중․고 학생 학업중단 현황 조사(‘14.4.1. 기준).

4.

금명자, 권해수, 이문희, 이자영, 이수림 (2004). 학교밖청소년 욕구조사, 학교밖청소년 길찾기.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50, 21-44.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5.

김상현, 양정호 (2014).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복교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4(4), 31-60.

6.

김신영, 정경은 (2014). 무엇이 이들의 학교복귀를 가로막고 있는가? - 학업중단 청소년 경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6(3), 179-205.

7.

김은옥 (2008).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학교적응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창대 (1998). 정서교육과 집단상담. 집단상담연구, 1, 77-96.

9.

김창대 (2002). 청소년 집단상담의 운영.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10.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2011).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학지사.

11.

남기곤 (2011). 고등학교 단계 학업중단의 경제적 효과 추정. 시장경제연구, 40(3), 63- 94.

12.

류남애 (2014). 등교거부 학생을 위한 학교상담자용 단기개입모형의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은민, 김봉환. (2009). 가정학대 피해 가출 청소년을 위한 정서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93-111.

14.

박은혜 (2014).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인우 (1995).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제적 모형. 지도상담, 20, 19-40. 대구: 계명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16.

변창진 (1994). 프로그램개발. 대구: 홍익출판사.

17.

성태제, 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18.

양경화 (2006).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의 적응강화를 위한 단기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오수학, 김병준 (2002). 심리측정도구의 타당도에 관한 새로운 개념과 검증방법.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3), 111-126.

20.

오현경 (2012). 청소년 학업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오혜영, 지승희, 박현진 (2011).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9(2), 125-154.

22.

윤미경 (2002).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적응유연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윤철경, 김신영, 유성렬, 임지연 (2013).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이상경 (2012). 놀이를 통한 진로탐색 집단상담프로그램이 학업중단고등학생의 성취동기, 진로결정 자아효능감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정하 (2006). 잠재적 중도탈락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 향상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전효경 (2002). 학교적응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및 학습내적통제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최동선, 이상준 (2009).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 개발 지원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8.

충청남도청소년종합상담실 (2004).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사회적응프로그램 개발보고서. 충청남도청소년종합상담실.

2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학교 밖 청소년 사회적 비용 추계 연구. 2014년 청소년정책리포트, 3, 1-40.

30.

허균 (2010). 교육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분석 실천적 접근. 고양: 서현사.

31.

허은하 (2003). 잠재적 중도탈락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입에 관한 연구: 인지․정서․행동 모델을 적용하여.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홍나미, 신문희, 박은혜, 박지현 (2013).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청소년복지연구 15(1), 121-153.

33.

홍혜영, 소수연 (2001). 학교를 떠나려는 아이들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상담실, 87-157.

34.

Ajzen, I. (201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Reactions and reflections. Psychology & Health, 26(9), 1113-1127.

35.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3). APA 논문작성법[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강진령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0년 출판).

36.

APA Publications and Communications Board Working Group on Journal Article Reporting Standards. (2008). Reporting standards for research in psychology: Why do we need them? What might they be? The American Psychologist, 63(9), 839-851.

37.

Bem, D. J. (1995). Writing a review article for Psychological Bulletin. Psychological Bulletin, 118(2), 172-177.

38.

Carlson, C., & Christenson, S. L. (2005). Evidence-based parent and family interventions in school psychology: Overview and procedure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0(4), 345-351.

39.

Coe, R. (2002). It's the effect size, stupid: What effect size is and why it is importan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University of Exeter, England.

40.

Cohen, J. (2013).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41.

Curiel, H., Rosenthal, J. A., & Richek, H. G. (1986). Impacts of bilingual education on secondary school grades, attendance, retentions and dropout.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8, 357-367.

42.

Gall, M. D., Gall, J. P., & Borg, W. (2003). Educational research(7th ed). New York: Longman.

43.

Gerrard, M., Gibbons, F. X., Houlihan, A. E., Stock, M. L., & Pomery, E. A. (2008). A dual-process approach to health risk decision making: The prototype willingness model. Developmental Review, 28, 29-61.

44.

Kratochwill, T. R., Shernoff, E. S. (2004). Evidence-based practice: Promoting evidence- based interventions in school psychology. School Psychology Review, 33(1), 34-48.

45.

Kratochwill, T. R., & Stoiber, K. C. (2002).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school psychology. Conceptual foundations of the Procedural and Coding Manual of Division 16 and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School Psychology.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7(4), 341-389.

46.

Lehr, C. A., Hanson. A., Sinclair, M. F., & Christenson, S. L. (2003). Moving beyond dropout towards school comple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data-based interventions. School Psychology Review, 32(3), 342-364.

47.

Lever, N., Sander, M. A., Lombardo, S., Randall, C., Axelrod, J., Rubenstein, M., & Weist., M. D. (2004). A Drop-out prevention program for high-risk inner-city Youth. Behavior Modification, 28(4), 513-527.

48.

Lewis-snyder, G., Stoiber, K. C., & Kratochwill, T. R. (2002). Evidence-based intervention in school psychology: An illustration of Task Force coding criteria using group-based research desig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7(4), 423-465.

49.

Miller, D. N., Eckert, T. L., & Mazza, J. J (2009).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the schools: A review and public health perspective. School Psychology Review, 38(2), 168-188.

50.

Pearson, L. C., & Banerji, M. (1993). Effects of a ninth-grade dropout prevention program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ttendance, and dropout rat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1, 247-256.

51.

Prevatt, F., & Kelly, F. D. (2003). Dropping out of school: A review of intervention program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1, 377-395.

52.

Sternberg, R. J. (1991). Editorial. Psychological Bulletin, 109, 3-4.

53.

Sussman, S. (Ed.). (2000).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 CA: Sage Publications.

54.

Vasquez, E., & Slocum, A. T. (2012). Evaluation of synchronous online tutoring for students at risk of reading failure. Exceptional Children, 78(2), 221-235.

55.

White, J. L., & Kratochwill, T. R. (2005). Practice guidelines in school psychology: Issues and directions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practice and train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3(2), 99-115.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