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ta-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year of 2005 to 2015 which dealt the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on.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11 variables of triggering factors and 6 variables of suppressing factors. Second, the most influential triggering variable was depression, which was followed by negative emotion, hopelessness, dysfunctional family communication, maladaptive perfectionism, life stres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mpulsivity, job-seeking stress, emotion-focused stress coping style, and problem drinking, respectively. Third, the most influential suppressing variable was self-esteem. And it was followed by self-identity, attachment,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yl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college students' suicide.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교육과학부 (2011). 2010년 학교 급별 자살현황. 서울: 교육과학부.
강석화, 나동석 (2013).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4), 49-71.
강이영 (2008). 대학생의 자살 사례 연구. 생명연구, 10, 2-11.
강정규, 전상남, 신학진 (2013). 일부 대학생의자기완벽성, 우울, 절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527-536.
김경미 (2011). 대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방식과 자아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대봉 (2013).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경 (2011a). 대학생의 가족학대경험, 우울과 레질리언스 및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3). 109-127.
김민경 (2011b).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관계-부정적 정서와 사회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12), 101-129.
김민경 (2012a). 대학생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29, 34-57.
김민경 (2012b).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가족탄력성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경로모형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7(1), 61-83.
김민경 (2013).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및 문제음주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1(2), 29-38.
김보영, 이정숙 (2009). 청소년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9(5), 651-661.
김선남 (1994). 청소년 비행 관련 변인간의 인과적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송희 (2015). 대학생의 속박감과 자살생각의관계에서 성향적 낙관성의 조절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신연, 채규만 (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34(1), 1-13.
김아라, 송현주 (2014). 대학생의 스트레스가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희망성향의 조절효과. 재활심리연구, 21(3), 647-664.
김은정 (2002). 청소년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 최경원 (2012).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종합학술대회 논문집, 5, 351-352.
김정진 (2009).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연구-자살시도경험, 정신건강, 심리사회적문제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413-437.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연구, 7(1), 127-138.
김지삼 (2014). 청소년후기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복지상담교육연구, 3(1), 95-112.
김한나 (2011).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향수, 채규만 (2014).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2), 1-26.
김현순, 김병석 (2008). 노인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8(2), 325-343.
김현정, 고영건 (2014). 정신장애와 자살생각간 관계에서 특성 메타기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2), 105-117.
김형래 (2015). 병사 자살위험요인 Meta 분석과자살예방제도 개선방안 연구.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형수 (2002). 미국 노인자살과 예방대책의연구 및 시사점. 한국사회보장학회, 18(1), 163-182.
김형숙, 전경자, 김윤미 (2013). 한국 노인의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3(2), 349-363.
김효정, 정미애 (2010). 대학생의 가족기능과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43-50.
김효정 (2011). 대학생의 자살생각,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132-138.
김희수 (2011). 우울과 충동성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을 매개변인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문희, 김혜옥, 권영채 (2013). 건강행태, 스마트폰중독 및 자살생각지수가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557-569.
노상선, 조용래, 최미경 (2014).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우울증상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735-754.
문동규, 김영희 (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과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상담학연구, 12(3), 945-964.
문동규 (2012).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노인복지연구, 55, 133-158.
민윤기 (2005). 대학생의 자살위험요인 지각과자살생각 평가. 학생생활연구, 31, 31-52.
박 경 (2011). 수용, 외상 후 성장, 우울과 자살사고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19(4), 281-292.
박대성 (2013).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2), 728-736.
박명실 (2005). 대학생 자살위험 집단유형의 분류, 평가 및 집단 상담치료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병금 (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생태체계 요인 탐색.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선란 (2012).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욱 (2013).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옥 (2009). 청소년의 자살사고 관련 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 22(2), 13-23.
박재연, 김정기 (2014).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지지와 친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 167-189.
박재황, 황지영 (2013). 대학생의 스트레스와자살생각과의 관계: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 긍정 정서, 부정 정서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5), 25-48.
박희주 (2015).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좌절된 소속감과 심리적 극통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선숙, 하은호, 류언나, 송미승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미치는 영향.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8(4), 157-163.
서미순 (2005). 청소년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인균, 이연실 (2014).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남․녀 대학생 비교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6(3), 25-53.
서혜석 (2006).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관한인과모형. 청소년학연구, 13(5), 207-232.
손정남 (2007).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대한 판별분석. 정신간호학회지, 16(3), 267-275.
신경란, 홍창희 (2013). 대학생의 지각된 문제해결능력과 자살사고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89-407.
신미경, 이혜련, 원종순 (2013). 간호대학생의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4), 419-428.
신새봄 (2015).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과 자아분화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대학생활적응을 매개변인으로-.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용출, 나동석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귀인성향의 매개효과와 대학생활적응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6), 203-226.
양경미, 방소연, 김순이 (2012). 대학생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스트레스연구, 20(1), 41-50.
여환홍, 백용매 (2010). 경계선적 성격특성,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우울이 자살관련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047-1066.
오성삼 (2002).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건국대학교출판부.
오승환 (2009).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스트레스의 영향: 우울,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6, 53-73.
오혜진 (2013). 지각된 스트레스, 무망감, 우울및 자살생각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우채영, 김판희 (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을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다차원적 구조 분석. 청소년학연구, 18(4), 219-240.
유남희 (2014).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 영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상미, 이승연 (2008).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119-136.
윤명숙, 김서현 (2012). 대학생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2), 5-32.
윤명숙, 이효선 (2012).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3), 109-137.
윤석주 (2014). 전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동귀, 배병훈, 함경애, 천영아 (2015).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 1990-2014년 국내 출간논문에 대한 동향 및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305-333.
이명자 (2006).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의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발육발달, 14(1), 51-60.
이여진, 고정자 (2010). 남녀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동계, 154-155.
이은숙, 봉은주 (2014). 대학생의 음주결과기대, 우울 및 자살생각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20(2), 121-128.
이정미 (2011).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숙 (2014). 대학생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지영 (2007).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창진, 오은주 (2011). 남녀전문대생의 자살생각과 가족의사소통과정 간의 관계. 대학생활연구, 17(1), 60-75.
이현지, 김명희 (2007).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무망감, 우울, 자살사고의 관계에 관한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4(3), 243-264.
임병구 (2010).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숙빈, 허명륜, 김세영, 안혜영, 강샛별, 김미송, 문혜미, 박선하, 원아랑, 이지혜, 조미소 (2014). 심리적 탄력성과 자기 통제력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3(4), 278-287.
임현승, 고대영 (2013). 우울, 영성 및 사회적지지가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영성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교회사회사업, 24, 207-230.
정구철 (2014).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별을 통한 폭발적행동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2), 775-784.
정상혁 (2005). 우리나라 자살의 사회·경제적비용부담에 관한 연구.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보건교육연구센터, 11, 1-128.
정숙희, 전명희 (2011). 기독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신앙과 학문, 16(2), 231-254.
정숙희, 류수정 (2013). 기독 대학생의 사회부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4(3), 207-237.
정은영 (2007). 자살행동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하성 (1989).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서울:백산출판사.
정하윤, 정귀임 (2013).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3), 149-160.
조계화, 김영경 (2008).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극복경험. 한국간호과학회, 38(2), 258-269.
조선일보 (2012). 3.27일자 신문기사.
조은경 (2015). 대학생의 외상화된 자기체계와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좌절된 대인관계욕구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 하 (2008). 중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일상적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향숙 (2009). 일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연구.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2(1), 3-14.
차미영 (2010).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차부근 (2001). 학업성취와 관련된 지적특성에대한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차선경, 이은미 (2014).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650-658.
최명식 (2007). 대학내 자살에 관한 연구. 인간이해, 28, 1-49.
최소정, 배대석, 장문선 (2010). 자살생각과 관련된 부모와의 애착, 역기능적 신념 및우울간의 관계분석. 상담학연구, 11(2), 571-582.
최우경, 김진숙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1), 255-272.
최우경 (2013).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부적응적인지적 정서조절,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및자살생각의 구조적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윤정 (2012).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이 대학생 자살생각에 미치는 과정분석-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2), 307-333.
최윤진, 채규만 (2012). 자살생각과 관련된 인지적 요인-내부초점적 반응약식의 매개효과와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2(3), 315-329.
최지영 (2012). 대학생의 영적 안녕, 우울이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 집단과무교 집단의 비교.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3(1), 237-262.
최현정, 홍혜영 (2011). 대학생의 낙관성과 삶의 이유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8(4), 149-170.
하정희, 안성희 (2008). 대학생들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0(4), 1149-117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 집단별 자살 동향과 정책 제언.
홍영수 (2004).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대한 생활스트레스 및 자기존중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5(2), 153-181.
홍진아 (2004).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도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미구, 김은주 (2008).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한국노년학회, 28(4), 865-885.
Bostick, K. E., & Everall, R. D. (2007) Healing from suicide: adolescent perception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35(1), 79-96.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ed.). Hillsdale, N. J:Lawrence Eribaum Associates.
Easterbrook, P. J., Gopalan, R., Berlin, J. A. (1991). Publication bias in clinical research. The Lancet, 337, 867-872.
Fergusson, D. M., Woodward, L. J., & Horwood, L. J. (2000). Risk factors and live proces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al behavior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Psychological Medicine, 3(1), 23-39.
Field, A. P. (2001). Meta-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 Monte Carlo comparison of fixed- and random-effects method. Psychological Methods, 6, 161-180.
Garnefski, N., & Dieskstra, F. W. (1997). Adolescents from one parent, stepparent and intact families: Emotional problems and suicide attempts. Journal of Adolescence, 20(2), 201-208.
Hong, Y. S., & Jeon, S. Y. (2005).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19, 125-149.
Kuo, W. H., Gallo, J. J., & Tien, A. Y. (2001). Incidence of suicide attempts and ideation in adults: the 13-year follow-up of a community sample in Baltimore. Maryland. Psychological Medicine, 31(7), 1181-1191.
Light, R. J., & Pillemer, D. B. (1984). Summing up: The science of reviewing research.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Milkulincer, M., Shaver, P. R., & Pereg, D. (2003). Attachment theory and affect regulation: The dynamics,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attachment-related strategies. Motivation and Emotion, 27, 77-102.
Park, B. K. (2007).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ocu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mediat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 505-522.
Rubenstein, J. L., Heeren, T., Housman, D., & Rubin, C. (1989). Suicidal behavior in “normal” adolescent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9(1), 59-71.
Wilson, D. B. (2001). Effect size determination program. College Park, MD: University of Maryland.
Wu, C., Lo, Y., Feng, F., & Lo, Y. (2010). Social skills training for Taiwanese students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16,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