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고등학생용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경미(연세대학교) ; 윤성연(연세대학교) pp.1-26 https://doi.org/10.16983/kjsp.2015.12.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부모의 자녀에 대한 과보호적 양육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Korean- 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1에서는 다양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 과보호 양육태도의 특성을 파악하고 86문항을 작성하여 교육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만 15-17세의 학생(N=331)을 대상으로 1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5개의 잠재 하위요인을 추출, 문항을 수정하여 33문항의 과보호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서울 소재의 6개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N= 458), 최종적으로 한국 과보호특성이 4요인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들은 성취지향, 체면문화, 통제, 동일시로 명명되었으며 문항변별도 확인 후, 각각 4문항, 4문항, 4문항, 3문항으로 총 15문항이 도출되었다. 추가적인 확인적 요인분석(N= 458)을 실시한 결과, 척도의 추출된 4요인 구조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연구 3을 통해 한국 과보호 척도(K-POS)의 유의한 수준의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기존 과보호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척도들의 하위 문항간의 상관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는 한국의 문화특수적 과보호 양육태도를 측정하기에 심리측정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 (K-POS). In study 1, several focus-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of parental overprotection in Korea and the initial pool of items was constr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331) was conducted and yielded 5 factors with 33 items. The revised 33 items were administered to 956 adolescents whose data was split into two data sets. In Study 2, additional EFA and a CFA were conducted to finalize the instrument. An exploratory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n= 478) with promax rotation was conducted for mothers and fathers separately. Four factors-Identification (three items), Control (four items), Goal achieving (four items) and Face culture (four items)-were extracted, resulting in a 15-item scale. To validate the four-factor mode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n= 478) and good/moderate fit indices were found for both mothers and fathers. In study 3, evidence of K-POS’s moderat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s well a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provid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특성화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과정
김영희(제주대학교) ; 최보영(제주대학교) pp.27-55 https://doi.org/10.16983/kjsp.2015.12.1.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의 적응과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등학교를 그만둔 이후 1년 이상 경과하였고 제도권 내로 복교하지 않은 청소년 16명으로부터 근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이 적응과정에서 겪는 중심현상은 ‘불안’이었고, 인과적 조건은 ‘진로성숙’, ‘성취감’, ‘트라우마’였으며,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의지력’, ‘심리적 안정’, ‘성향’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지원체계 활용’과 ‘자극’이었으며, 중심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도전하기’, ‘탈출하기’, ‘시도하지 않기’였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결과는 ‘성장’과 ‘미해결’로 나타났다. 이들은 방종단계, 자각단계, 변화시도단계, 재정립단계를 거쳐 적응수준을 높여갔으며, 변화시도단계에서 겪는 시행착오에 적절하게 대응을 못할 땐 안주단계에 머물렀다. 핵심범주는 ‘불안을 딛고 정체성 찾아가기’였고, 이에 따른 적응유형은 목표추구형, 과도기형, 무기력형, 탈출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과정을 발달과정으로 이해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적응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youth who quit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is study, the base data of 16 adolescent who left vocational high school over a year and didn`t return to school was collected and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 showed that dropouts experienced ‘anxiety’, causal conditions were ‘career maturity’, ‘achievement’, ‘trauma’ and contextual conditions of the phenomenon were ‘willpowe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clination’. Also, Intervening conditions were ‘support system utilization’ and ‘motiva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phenomenon were ‘to challenge’, ‘to escape’ and ‘not to try’. Finally, ‘being developed’ and ‘being unsettled’ were observed as the consequence of the phenomenon. As the youth passed through indulgence stage, consciousness stage, trying change stage, and reestablishment stage, their adjustment process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youth stayed with status quo when they couldn't respond appropriately. The core category was ‘overcoming anxiety and finding identity’ and goal pursuit, transition, lethargy and escape types were showed as the following from the core category. This study gave an idea not only that process of development is needed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youth`s adjustment process, but also provided basis data that could help in increasing level of them.

친구관계의 질 척도(FQS)의 타당화 연구: 초기 청소년기 집단을 대상으로
유고은(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 이민영(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pp.57-71 https://doi.org/10.16983/kjsp.2015.12.1.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 집단을 대상으로 개발한 Friendship Quality Scale(FQS)를 국내 타당화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2학년 학생 466명의 자료에 기초하여 FQ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신뢰도는 .63~.85범위 이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원척도에서와 동일하게 5개의 요인구조(동료애, 갈등, 도움, 안정감, 친밀감)가 지지되었다. 더불어 FQS가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에게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관계기술척도(PRSS), 또래애착 척도(IPPA-R), 자아존중감 척도(RSE)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수렴 타당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임상 및 일반 집단 간의 평균 차이검증을 통해 FQS의 변별 타당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FQS가 초기 청소년의 친구관계 질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인 것으로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riendship Quality Scale (FQS) for pre- and early adolescence. The participants were 466 students in 5th-9th grad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QS was a reliable instrumen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upported a 5 factor model: companionship, conflict, help, security, and closeness. Also the 5 factor structure of the FQS fit well with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sample. Convergent validity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ng correlations between the FQS and other scales (Peer Relational Skill Scal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erse, Rosenberg Self-Esteem Scale). In addition,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ean differences on the subscales between the clinical groups and non-clinical group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instrument were discussed.

중학생의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남숙경(경남대학교) pp.73-86 https://doi.org/10.16983/kjsp.2015.12.1.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와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276명이 대상으로 참여하였다.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와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각 하위요인별 자아개념(일반자아, 학문자아, 중요타인자아, 정서적자아)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중단의도는 도움추구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동시에 각 하위요인별 자아개념(일반자아, 학문자아, 중요타인자아, 정서적자아)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도움추구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and the intention to seek help. In this study, a total of 276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hierarchie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ncept(gener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significant others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and the intention to seek help. That is, intention to seek help was directly affected by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and indirectly affected through self-concept. These finding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role of self-concept.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황명선(아주대학교) ; 신효정(아주대학교) pp.87-109 https://doi.org/10.16983/kjsp.2015.12.1.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의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 소재의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40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생의 문제행동, 교사소진,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의 관계를 교사효능감이 매개하는 지 분석한 결과,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효능감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의 경쟁모형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 알아보았으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교사 소진 예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o compare the model of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with that of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o investigate social support’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 misbehavior, teacher efficacy and burnout. The data were gathered from a survey of 24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240 questionnaire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at are available were finally selected. The student misbehavior,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burnout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eacher efficacy mediated the student misbehavior and teacher's burnout. Second, social support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student misbehavior and teacher efficacy. In other words,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teacher efficacy was found. Third, social support didn’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teacher efficacy and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 suggests practical intervention to prev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