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Welcome back to the critical period: The hermeneutic grounded theory approach focusing on the out-of-school youths of vulnerable families participating in the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ving school and then process of life of vulnerable families out-of-school youths through encounter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We applied Renn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or this study to integrally analyze in and out school, psychiatric characteristics, and recovery processes of life. This study analysis was constructed based on 137 meaning units, 30 subordinate categories, 9 hermeneutic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and process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we found that out-of-school youths had life cycle of undergoing repeated difficulty in the critical period which played a vital role in their development and growth at school, at home and in a world.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heir healing and growing occurred through the second prenatal period in which they modified the orbit of life cycle supported by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center and counselors' effective interventions and support. And finally, vulnerable families out-of-school youths were sustained learning and grew continually to raise their living foundation in a world out of school. This research could serve as a continual, specific exploration for the life circumstances and its recovery process of out-of-school youths in vulnerable families and understand their growing process through the interventions of social capital,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basis data for practical and political support and prevention of school dropout to youths of vulnerable families with difficulties in and out school.

keywords
out-of-school youths,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vulnerable families, hermeneutic grounded theory, 학교밖 청소년, 학교밖 지원사업, 취약가정, 해석학적 근거이론

Reference

1.

강준혁, 이근무, 이혁구 (2015). 자살자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자살원인 규명을 통한 자살자 삶의 재구성. 사회복지연구, 46(2), 257-291.

2.

교육부과학기술부 (2015). 2014년 초․중․고 학생 학업중단 현황 조사. 서울: 교육통계서비스.

3.

구본용, 신현숙, 유제민 (2002).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중퇴 모형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0(2), 35-57.

4.

권해수, 서정아, 정찬석 (2007). 대안학교와 소년보호교육기관 청소년의 학교밖 경험 비교: 개념도 방법론을 통하여. 상담학연구, 8(2), 657-674.

5.

금명자 (2008). 우리나라 학업 중단 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14(1), 299- 317.

6.

김 민 (2001). 자발적 학업중도탈락 현상 발생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143.

7.

김범구, 조아미 (2013). 잠재 계층 분석(LCA)을 이용한 학업 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24(3), 5-31.

8.

김선아 (2010). 학업중단청소년 유형별 현황 및 맞춤형 정책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9.

김영희 (2014). 학업중단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제주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0.

김영숙, 이근무 (2011).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해석학적 근거이론 접근 방법. 사회복지연구, 42(2), 41-70.

11.

김윤희, 조영태 (2008). 지역특성이 취약집단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인구학, 31(1), 5-30.

12.

김영희, 허철수 (2012).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분석. 상담학연구, 13(2), 1013-1028.

13.

김영희, 최보영. (2015). 특성화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과정.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1), 27-58.

14.

김인숙 (2011). 근거이론의 분기: Glaser와 Strauss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2), 351-379.

15.

김인숙 (2012). 근거이론 담론과 사회복지 지식형성. 비판사회정책, (34), 77-128.

16.

김지수 (2013). Stop 해야 Go할 수 있다: 평화로운 세상을 위해. 지역사회, 68, 92-97.

17.

김진숙, 이근무, 이혁구 (2011). 도박자 배우자들의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사회복지연구, 42(1), 83-115.

18.

박현선 (2010). 고위험군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사회복지연구 41(1), 175-201.

19.

백혜정, 송미경, 신정민 (2015).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석희정 (2014). 남성독거노인의 홀로 살아가는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6(3), 29-53.

21.

성윤숙 (2005). 학교 중도 탈락 청소년의 중퇴 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16(2), 295-343

22.

양명숙, 박민경 (2008). 가족건강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9(4), 1409-1429.

23.

양미진, 지승희, 이자영, 김태성 (2007). 아동, 청소년상담: 학업중단청소년의 사회적응력향상을 위한 캠프프로그램 개발연구. 상담학연구, 8(4), 1657-1675.

24.

양진운 (2012). 미국 비영주권자 한인가족 초기 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7, 5-40.

25.

오정아, 김영희, 김정운 (2014). 청소년의 학업중도포기 과정. 청소년학연구, 21(5), 141- 168.

26.

오혜영, 지승희, 박현진 (2011).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9(2), 125-154.

27.

오혜영, 박현진, 지승희 (2012).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복귀강화 집단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3), 545-571.

28.

오혜영, 박현진, 공윤정, 김범구 (2013).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개입방향. 청소년학연구, 20(12), 153- 179.

29.

윤재영, 박정현, 전경철 (2015). 해석학적 근거이론에 기반 한 성인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과정 경험 탐색. 지적장애연구, 17(2), 229-254.

30.

윤철경, 김신영, 유성렬, 임지연 (2013).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Ⅰ.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윤철경, 류방란, 김선아 (2010). 학업중단현황 심층분석 및 맞춤형 대책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2.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2014).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Ⅱ. 서울: 한국청소년정책개발원

33.

이미원, 유현실 (2013). 학교중단 청소년의 ‘나의 삶 찾기’과정: 천안시 거주 청소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1(1), 341-370.

34.

이선희 (2015). 공교육 학업중단경험 청소년의 대안교육 특성화고등학교 학업복귀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학교 담장 밖의 아이들, 또 다른 학교에 문을 두드리다. 청소년복지연구, 17(1), 333-356.

35.

이주연, 정제영 (2015).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청소년학연구, 22(11), 239-267.

36.

이치열 (2010). 학업중단 청소년 문제에 대한 성찰과 전망. 교육생각, 봄호(2010. 03. 17).

37.

이희정 (2015).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예측변인과 종단적 변화: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6(4), 209-227.

38.

임해영 (2013). 미혼모 양육과입양결정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근거이론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39.

임해영, 이혁구 (2013). 미혼모의 입양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접근. 한국사회복지학, 65(3), 53-78.

40.

임해영, 이혁구 (2014).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사회복지연구, 45(3), 35-69.

41.

정옥분 (2009).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42.

조소연 (2016). 탈북청소년 커밍아우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주금옥 (2002). 정규교육 중도탈락 청소년의 진로장애 지각에 관한 탐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진성희, 이동주 (2010). 온라인협동학습에서 공동체의식과 토론참여도 및 학습만족도간의 관계.

45.

최미경 (2015). 결혼이주여성의 자살정황에 관한 탐색.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9(1), 61- 87.

46.

하춘광, 석희정 (2015).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63-80.

47.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4). 학업중단예방 및 학교밖 청소년 지원정책의 발전방향. 서울: 여성가족부.

48.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2014 학교밖청소년 통합지원프로그램 두드림․해밀 결과보고집. 서울: 여성가족부

4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학교 밖 청소년 사회적 비용 추계 연구. 2014년 청소년 정책리포트, 3, 1-40.

50.

황순길 (2013).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현황과 정책과제.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방안 모색 학술세미나 자료, 제주도: 제주도 청소년상담복지개발센터.

51.

Benoliel, Q. J (1996). Grounded Theory and Nursing Knowledg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6(3), 406-428.

52.

Charmaz, K. (2004). Premises, principles, and practices in qualitative research: Revisiting the foundation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4(7), 976-993.

53.

Chavez, E. L., Oetting, E. R., & Swaim, R. C. (1994). Dropout and delinquency: Mexican- American and Caucasian non-Hispanic youth.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3(1), 47-55.

54.

Fleming, C. B., Catalano, R. F., Mazza, J. J., Brown, E. C., Haggerty, K. P. and T. W. Harachi. (2008). After-school activities, misbehavior in school, and delinquency from the end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beginning of high school: a test of social development model hypothese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8(2), 277-303.

55.

Gary, T., & David, J. (2006). Reinventing Grounded Theory: Some Questions about Theory, round and Discovery.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2(6), 767-795.

56.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grounded theory. Weidenfeld and Nicholson, 24(25), 288-304.

57.

Glaser, B. G. (1992). Emergence vs forcing: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CA: Sociology Press.

58.

Guba, E., & Lincoln, Y. (1981).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59.

Kendall, J. (1999). Axial Coding and the Grounded Theory Controvers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1(6), 743-757.

60.

Layder, D. (1993). New strategies in social research:. Cambridge: Polity Press.

61.

Levitt, H., Butler, M., & Hill, T. (2006). What clients find helpful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3), 314.

62.

McWhirter, J. (2006). The Bridegroom Messiah and the People of God: Marriage in the Fourth Gospe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Mistry, K. B., Minkovitz, C. S., Riley, A. W., Johnson, S. B., Grason, H. A., Dubay, L. C., & Guyer, B. (2012). A new framework for childhood health promotion: the role of policies and programs in building capacity and foundations of early childhood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2(9), 1688-1696.

64.

Morse, J. (1994). Emerging from the data: the Cognitive Processes of Analysis in Qualitative Inquiry in J. Morse, Critical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London: Sage.

65.

Nilsson, M., Forsberg, A., Bäckman, L., Lennerling, A., & Persson, L. O. (2011). The perceived threat of the risk for graft reje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rgan transplant recipi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2), 274-282.

66.

Ortman, J. M., Velkoff, V. A., & Hogan, H. (2014). An aging nation: the older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US Census Bureau.

67.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CA: Sage.

68.

Rennie, D. L. (1998).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pressing need for a coherent logic of justification. Theory and Psychology. 8(1), 101-119.

69.

Rennie, D. L. (200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methodical hermeneutics: reconciling realism and relativism. Theory and Psychology, 10(4), 481-502.

70.

Rennie, D. L. (2006). Embodied categorizing i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ory and Psychology,. 16(4). 483-503.

71.

Rennie, D. L., & Fergus, K. D. (2006). Embodied categorizing in the grounded theory method methodical hermeneutics in action. Theory & Psychology, 16(4), 483-503.

72.

Rennie, D. L. (2007). Methodical hermeneutics and humanistic psychology. The Humanistic Psychologist, 35(1), 1-14.

73.

Rosario, M., Schrimshaw, E. W., & Hunter, J. (2005). Psychological distress following suicidality among gay, lesbian, and bisexual youths: Role of social relationship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4(2), 149-161.

74.

Rumberger, R. W. (2011). High School Dropouts in the United States. Cambridge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75.

Schreiber, R. S., & Stern, P. N. (2001). 근거이론방법연구〔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신경림과 김미영 역, 서울: 현문사.

76.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 Delhi, India: Sage.

77.

Walker, D., & Myrick, F. (2006). Grounded theory: An exploration of process and procedur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6(4), 547-559.

78.

West, D. B. (2001). Introduction to graph theory.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79.

Wilson, H. S., & Hutchinson, S. A. (1991). Triangulation of qualitative methods: Heideggerian hermeneutics and grounded theor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2), 263-276.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