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메뉴

Teacher Perception about Barriers to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eachers perceive barriers to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opinions of 16 teachers working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Daegu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A second set of data was gathered to classify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teachers’ statements through one-on-one interviews or the mai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arriers to the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as perceived by teachers were represented in 51 statements. Dimensional statement analysis revealed two dimensions: (a) ‘School counseling’s traits - School counselors’ traits’ and (b) ‘Psychological difficulties - Environmental difficultie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dentified 5 clusters: ‘The responsibilities as homeroom teachers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with counselors’, ‘Teachers lack of awareness of their ability to seek consultation with counselors’, ‘Teachers lack of trust in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of the school counselors’ role and lack of relevant experience with school counselors prevent teachers from seeking consultation‘, and ‘School counselors are overworked due to the school counseling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cluster was ‘Teachers lack of trust in school counselors’.

keywords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학교 자문, 장애요인, 개념도, teacher, school counselor, school consultation, barriers, concept-mapping

Reference

1.

강진령, 강복란 (2005). 초등학교 상담교사의 교사자문 모형 구안. 상담학연구, 6(3), 973-988.

2.

강진령, 손현동, 조은문 (2005). 중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3(2), 61-74.

3.

고홍월, 이혜은, 함은혜, 김지연, 최지현 (2019). 위(Wee) 센터 운영 효율성 증진을 위한 평가 방안 연구.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위탁연구보고서.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전문상담교사 운영 및 활동 매뉴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국민일보 (2017. 4. 7). 겉도는 학생 전문상담…교사 1명이 1400명 담당.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982854

6.

김계현, 김동일, 김봉환, 김창대, 김혜숙, 남상인, 천성문 (2009). 학교상담과 생활지도(2판). 서울: 학지사.

7.

김동일, 이명경 (2008). 학교상담 컨설테이션. 서울: 학지사.

8.

김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12(5), 1473-1488.

9.

김선경, 김화영 (2013).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4(5), 2735-2750.

10.

김은주 (2017). 교사소진의 원인과 대안 모색.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1), 1-38.

11.

김인규 (2012). 학교상담 발전방안 연구. 교육종합연구, 10(3), 235-256.

12.

김지연, 김동일 (2015a).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상담학연구, 16(1), 73-93.

13.

김지연, 김동일 (2015b).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 유형 탐색. 상담학연구, 16(4), 157- 175.

14.

김지연, 김동일 (2016).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학교관리자의 인식. 상담학연구, 17(3), 377-398.

15.

김지연, 이자명 (2016). 교사를 위한 심리적 어려움 및 지원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7), 235-260.

16.

김지정, 이영순 (2014). 전문상담교사의 적응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 (2), 223-244.

17.

김희정, 유형근, 정여주, 선혜연 (2014). 전문상담교사 양성 및 역량개발을 위한 표준 교육과정 개발연구. 교육부.

18.

뉴스1 (2018. 11. 14). 전남지역 학교폭력위원회 심의 건수 해마다 증가. http://www.news1.kr/articles/?3476842

19.

민경화, 최윤정 (2007).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 방법의 적용. 상담학연구, 8(4), 1291- 1307.

20.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21.

박상민, 김동일 (2011). 학교상담 컨설테이션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요구 및 우선순위. 상담학연구, 12(6), 1893-1914.

22.

박진희, 김소아 (2018). 학교상담업무에서 발생하는 전문상담교사의 갈등분석 연구. 한국교육, 45(3), 93-119.

23.

배인수, 이윤주 (2011).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 배치 학교 학생들의 심리적 장애. 상담학연구, 12(6), 2201-2233.

24.

성태제, 강대중, 강이철, 곽덕주, 김계현, 김천기, 김혜숙, 송해덕, 유재봉, 이윤미, 이윤식, 임 웅, 홍후조 (2018). 최신교육학개론(3판). 서울: 학지사.

25.

송수정, 오인수 (2016).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전문상담교사 제공 서비스의 도움요소와 불만족 요소 탐색. 교원교육, 32(2), 111-135.

26.

신효선 (2009). 전문상담교사를 위한 협력적 자문기술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연문희, 강진령 (2002). 학교상담: 21세기 학생 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28.

연합뉴스 (2018. 10. 5). ‘정서적 위기’ 초중고생 10만명 육박...자살위험군 3년새 2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379751

29.

유정이 (2002). 교육환경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15(2), 315- 328.

30.

유정이, 박성호, 유성경 (2003). 상담자와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 연구. 청소년상담연구지, 11(2). 111-120.

31.

이규미, 권해수, 김희대 (2008). 문상담교사의기 정착 과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819-837.

32.

이동형 (2011). 학교자문에서의 저항에 대한 사회인지이론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2), 111-132.

33.

이명경 (2006).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학교상담 컨설테이션 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이상민, 오인수, 서수현 (2007). 한국적 학교상담 모형개발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학교상담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39-567.

35.

이수정, 신효정 (2014).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협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발달지원연구, 3(1), 31-49.

36.

이영아, 손은령 (2015).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문화연구, 21(6), 141-168.

37.

이지원, 손현동 (2015). 상담전공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 유발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교원교육, 31(4), 1-26.

38.

이지희, 김희대, 이상민 (2012).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상담학연구, 13(1), 193-214.

39.

정미경, 김갑성, 류성창, 김병찬, 박상완, 문찬수 (2010).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0.

정진철, 양난미 (2018).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개관연구. 상담학연구, 19(4), 47-70.

41.

조윤경, 정지영, 임은미 (2018).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 교원교육연구, 35(3), 315-337.

42.

한국교육개발원 (2012). Wee 클래스 운영. 한국교육개발원.

43.

허난설 (2015). 근거 이론을 활용한 초등교사 소진 및 대처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73-101.

44.

허명회, 양경숙 (2011). SPSS 다변량자료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45.

홍수미, 김희정 (2017).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담자 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인간이해, 38(2), 33-54.

46.

Beesley, D. (2004).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counsellor effectiveness: Collaborating for student success. Education, 25(2), 259-270.

47.

Butler, T. S., Weaver, A. D., Doggett, R. A., & Watson, T. S. (2002). Countering teacher resistance in behavioral consultation: Recommendations for the school-based consultant. The Behavior Analyst Today, 3(3), 282-288.

48.

Caplan, G. (1970). The Theory and Practice of Mental Health Consultation. New York and London: Plenum press.

49.

Dougherty, A. M. (2009). Psychological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in School and Community Settings. Belmont, Calif.: Brooks/Cole.

50.

Gonzalez, J. E., Nelson J. R., Gutkin, T. B., & Shwery, C. S. (2004). Teacher Resistance to school-based consultation with school psychologists: A survey of teacher perception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12(1), 30-37.

51.

Goodyear, R. K., Tracey, T. J. G., Claiborn, C. D., Lichtenberg, J. W., & Wampold, B. E. (2005). I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an illustr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52.

Hamilton-Roberts, A. (2012). Teacher and counsellor perceptions of a school-based counselling service in south wale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40(5), 465-483.

53.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54.

Kruskal, J. B. (1964). Multidimensio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 of 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Psychometrika, 29(1), 1-27.

55.

Monteiro-Leitner, J., Asner-Self, K. K., Milde, C., Leitner, D. W., & Skelton, D. (2006). The role of the rural school counselor: Counselor, counselor-in-training, and principal perception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9, 248-251.

56.

Randolph, D. L., Graun, K. (1988). Resistance to consultation: A synthesis for counselor- consultant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7(3), 182-184.

57.

Shernoff, E. S., Frazier, S. L., Maríñez-Lora, A. M., Lakind, D., Atkins, M. S., Jakobsons, L., Hamre, B. K., Bhaumik, D. K., Parker-Katz, M., Neal, J, W., Smylie, M. A., & Patel, D. A. (2016). Expanding the role of school psychologists to support early career teachers: A mixed-method study. School Psychology Review, 45(2), 226-249.

58.

Wilczynski, S. M., Mandal, R. L., & Fusilier, I. (2000). Bridges and barriers in behavioral consultation. Psychology in the Schools, 37(6), 495-504.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