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학부모의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초등교사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은폐와 사후반추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
신효빈(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동귀(연세대학교) pp.1-25 https://doi.org/10.16983/kjsp.2022.19.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부모의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초등교사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자기은폐’와 ‘사후반추사고’가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교사 400명(남교사 82명, 여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은폐, 사후반추사고,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은폐가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와 사후반추사고의 순차적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학부모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행동적 기제인 자기은폐와 인지적 기제인 사후반추사고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교사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으로 이행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사가 학부모로부터 받는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사회적인 상호작용 불안을 경험할 때 자기은폐와 사후반추사고에 초점을 두고 개입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concealment and post-event rumination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fear of students’ parents’ negative attitudes and their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and 400 responses were re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deter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search model’s goodness of fit was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re were four main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lf-concealment, post-event rumin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econd, self-conceal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 post-event rumination also had a medi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Fourth, self-concealment and post-event rumination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show the need for an intervention that address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concealment and post-event rumination when they experience anxiety about students’ parents’ negative evaluations.

대학생의 전공재변경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강혜영(한국기술교육대학교) ; 이동혁(건국대학교) pp.27-51 https://doi.org/10.16983/kjsp.2022.19.1.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 전공변경을 실행한 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재변경 의향 여부와 그 이유를 확인하고, 전공재변경 의향여부에 따라 전공변경 실행 과정(실행동기/ 실행방식)을 비교해봄으로써 전공재변경과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K대학교에서 전공변경을 실행한 학생 3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 가운데 전공 재변경 의향이 있는 학생은 11명, 재변경 의향이 없는 학생은 22명이었다. 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CQR-M)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변경을 희망하는 11명의 전공재변경 의향 이유는 크게 2개 영역(새로운 기회 추구/ 기존 선택에 대한 불만)과 4개 범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공재변경 의향이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 간에 전공변경 실행 과정을 실행동기 영역과 실행방식 영역 측면에서 비교한 결과, 실행 동기의 경우, 전공재변경 의향이 있는 학생들은 이전 학과에서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피하고자 하는 회피동기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전공재변경 의향이 없는 학생들은 희망진로와 취업을 성취하기 위한 접근동기 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행방식의 경우, 전공재변경 의향이 있는 학생들은 전공변경이 가능한 기본적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노력과 같은 다소 소극적인 실행방식을 보인 반면, 전공재변경 의향이 없는 학생들은 교내의 다양한 기관을 통한 정보탐색 및 타 전공 교과목 수강과 같은 적극적인 실행방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공재변경 의향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기술하고, 전공변경을 고려하는 학생 개인 및 대학의 지원 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had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identify the reasons why college students who already changed majors wanted to do so again. The second purpose wa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ing majors among college students who had already changed majors once. In this study,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33 college students who changed majors one time. Among them, 11 students were interested in changing majors again while the remaining 22 were not.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re were three major findings. The first finding was that students who intended to change majors again did so to find new opportunities for their futures and out of dissatisfaction with their second major. The second finding was that students who intended to change majors again had initially changed majors due to difficulties and discomforts that they had with their first major. However, this avoidance motivation was not observed in students who were not interested in changing majors again. The third result was that students who did not intend to change majors again searched more for career-related information while changing their majors initially than those who did. This paper presents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counselors, and college administrators.

한국심리학회지:학교